*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전【轉】도리어. 

전【蹍】밟다. 

전【荃】향초(香草) 이름인데, 굴원(屈原)이 지은 이소경(離騷經)에 임이란 말을 전(荃)이라고 대신 썼다.

전각【剪刻】재단하고 조각하는 것을 말한다

전감【傳柑】송(宋) 나라 소식(蘇軾)이 한림 학사(翰林學士)로 있을 때 지은 시 ‘상원시음루상(上元侍飮樓上)’에 “猶有傳柑遺細君”의 구절이 있는데, 자주(自注)에 “누상(樓上)에서 황제를 모시고 술을 마실 때면 귀척(貴戚)들이 다투어 근신(近臣)에게 황감(黃柑)을 주곤 하였는데, 이를 일컬어 전감(傳柑)이라 하였다.” 하였다. 《蘇東坡詩集 卷36》

전감의혈기시호【戰酣蟻穴幾時好】몽환(夢幻)과 같은 세속의 권력을 서로들 차지하려고 아귀 다툼을 벌이는 세태를 풍자한 것이다. 개미 구멍 속의 이른바 대괴안국(大槐安國) 속에 들어가 온갖 부귀 영화를 누리다가 꿈에서 깨었다는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고사를 인용한 것이다.

전감절【傳柑節】상원(上元) 즉 정월 15일을 이름. 고사(故事)에 상원일 밤에 근신(近臣)들이 임금을 모시고 술을 마시면 귀척(貴戚)들이 다투어 황감(黃柑)을 근신들에게 전해 주었던 데서 온 말이다.

전갱【籛鏗】전갱은 요(堯) 임금 때 사람으로 팽성(彭城)에 봉하였기 때문에 팽조(彭祖)라고도 하는데, 7백 67살이 되었어도 노쇠하지 않았다 한다. 《列仙傳》

전거【氈車】담요로 포장을 친 호인(胡人)의 수레를 말한다.

전거【轉車】불법(佛法)을 말한 것. 먼저 부처나 뒤에 부처나 그 발자취가 굴러가는 수레와 같다는 데에서 나온 말임. 《沈約 千佛讚》

전거【專車】수레를 혼자 타고 다님을 말한다. 진서(晉書) 화교전(和嶠傳)에 “교가 중서령(中書令)에 승진되자 임금이 매우 예우(禮遇)하였다. 그때 순욱(荀勖)이 감령(監令)이 되었는데, 교는 순욱의 사람됨을 비루하게 여겨 그와 수레를 함께 탈 적마다 호기를 부려 수레를 독차지하고 앉으므로, 임금이 감령으로 하여금 다른 수레를 타도록 하였다.” 한다.

전거【前車】후인이 경계해야 할 지나간 일들. 순자(荀子) 성상(成相)에, “앞 수레가 이미 전복되었는데도 뒤에 가는 수레가 그것을 모른다면 깨달을 때는 언제일 것인가.” 하였음.

전거가감【前車可鑑】전인(前人)의 실패를 보고 후인(後人)은 이를 경계로 삼아야 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전거지감【前車之鑑】앞 수레를 거울로 삼음. 지난날의 실패를 교훈으로 삼아 다시는 실패하지 않도록 대비함

전거후공【前倨後恭】이전에는 거만하다가 나중에는 공손하다는 뜻으로, 상대편의 입지에 따라 대하는 태도가 상반되는 것을 비유한 고사성어.

전겸모【典兼謨】상서(尙書)의 요전(堯典), 순전(舜典)과 대우모(大禹謨), 고요모(皐陶謨) 등을 가리키는바, 상서(尙書)를 가리킨다.

전겸익【錢謙益】청(淸) 나라 정치가이자 시인. 자는 수지(受之), 호는 목재(牧齋). 우산종백(虞山宗伯)으로 시에 능하였고, 벼슬이 예부 상서(禮部尙書)에 벼슬이 이르렀다. 열조시집(列朝詩集)을 만들었는데, 고종(高宗) 때에 와서 비방(誹謗)의 내용이 많다 하여 책판[版]을 불태워버리고 간행을 금했다가 청 나라 말기에 와서야 다시 간행되었음. 저서에는 초학집(初學集)ㆍ유학집(有學集)ㆍ목재집(牧齋集)이 있고, 집록(輯錄)으로는 열조시집(列朝詩集)이 있음. 《淸史 錢謙益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