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죽가【竹柯】예기(禮記)에 “竹貫四時而不改柯易葉" 이라 하였음.

죽각【竹閣】절[寺]의 별칭으로 죽원(竹園) 또는 죽림정사(竹林精舍)라고도 한다.

죽계【竹溪】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현(泰安縣)에 있는 지명. 이곳에 당(唐)의 일류 문장이었던 이백 (李白)ㆍ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裵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 등이 시사(詩社)를 결성했었다.

죽계육일【竹溪六逸】당 나라 문장 이백(李白)이 소시적에 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裵亭)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과 함께 조래산(徂徠山)에 있으면서 날마다 침취(沈醉)하며 호를 죽계육일이라 하였음.

죽계일사【竹溪逸士】죽계는 지명. 당 현종(唐玄宗) 때 죽계의 여섯 일사(逸士)들이 모임을 만들고 날마다 술을 마시며 풍류를 즐겼던 고사인데, 여섯 일사는 공소보(孔巢父)ㆍ이백(李白)ㆍ한준(韓準)ㆍ배정(裵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이었다.

죽고【粥鼓】절에서 불경(佛經)을 읽을 때에 두드리는 제구. 나무를 가지고 물고기 모양으로 만드는데, 이를 두드려서 승려들에게 식사 시간을 알리기도 한다. 목어(木魚).

죽군【竹君】대나무의 시어(詩語).

죽궁【竹宮】한 무제가 감천(甘泉) 환구(圜丘)의 사단(祠壇)에 모여드는 유성(流星)과 같은 귀신의 불빛들을 보고 망배(望拜)했다는 궁실 이름이다.《漢書 禮樂志》 두보(杜甫)의 시에 “죽궁에서 때때로 망배를 하고, 계관에서 간혹 신선 찾누나.[竹宮時望拜 桂館或求仙]”라는 구절이 있다.《杜少陵詩集 卷18 覆舟》

죽궁망배【竹宮望拜】한서(漢書) 예악지(禮樂志)에, “천자(天子)가 죽궁(竹宮)에서 망배(望拜)하는데, 모시고 제사 받드는 백관(百官)들이 모두 숙연하여 마음이 동했다.”는 것이 보임.

죽남【竹南】죽남은 오준(吳竣)의 호이고, 여완(汝完)은 그의 자이다.

죽년【竹碾】대나무 맷돌

죽당【竹堂】조정을 가리킨다. 위서(魏書) 정도소전(鄭道昭傳)에 “고조(高祖)가 시위하는 신하들에게 현호방장죽당(懸瓠方丈竹堂)에서 향연(饗宴)을 베풀었을 때, 도소와 그 형 의(懿)가 함께 모시고 앉았다.” 하였다.

죽력【竹瀝】대나무를 불에 구워 받아낸 대나무 진액으로, 담(痰)을 녹이고 열을 내리는 약으로 쓰인다.

죽력의이【竹瀝薏苡】죽력은 푸른 대쪽을 구워서 받아 낸 진액(津液)을 말하고, 의이는 율무를 말한다.

죽루【竹樓】죽루는 기와 대신 대나무를 쪼개어 지붕을 덮은 누각을 이름. 황주(黃州)의 황강군에는 서까래 만씩한 대나무가 많아서 집집마다 그것으로 지붕을 이었다고 하는데, 송(宋) 나라 왕우칭(王禹偁)이 일찍이 황주태수로 있을 적에 누각을 지으면서 기와 대신 대나무로 지붕을 덮고 이를 죽루라 이름하여 황강죽루기(黃岡竹樓記)를 지었다.

죽림【竹林】죽림칠현(竹林七賢). 진(晉) 나라 때 세상을 피하여 노장(老莊)의 허무(虛無)를 숭상한 완적(阮籍), 혜강(嵇康), 산도(山濤), 향수(向秀), 유령(劉伶), 왕융(王戎), 완함(阮咸) 등 일곱 사람을 가리킨 말. 죽림에서 청담(淸談)을 나누며 놀았던 데서 온 말이다.

죽림우【竹林友】진(晉) 나라 초기에 노장학(老莊學)을 숭상하면서 죽림에서 노닐었던 완적(阮籍)ㆍ혜강(嵇康)ㆍ산도(山濤)ㆍ상수(向戍)ㆍ유령(劉伶)ㆍ왕융(王戎)ㆍ완함(阮咸) 등 죽림칠현(竹林七賢)을 가리킨다.

죽림유【竹林遊】숙질(叔姪)간의 회합(會合)을 말한다. 죽림칠현(竹林七賢) 가운데 숙부인 완적(阮籍)과 조카인 완함(阮咸)이 있었던 데에서 비롯된 말이다.

죽림지유【竹林之遊】숙질(叔姪)간의 정다운 만남을 뜻한다. 죽림칠현(竹林七賢)인 완적(阮籍)과 완함(阮咸)이 숙부와 조카의 관계였던 고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죽림칠현【竹林七賢】완적(阮籍) 산도(出濤)ㆍ상수(尙秀)ㆍ혜강(嵇康)ㆍ유영(劉伶)ㆍ완함(阮咸)ㆍ왕융(王戎). 이들은 난세를 피해 죽림에 은둔하였음.

죽림현【竹林賢】진(晉) 나라 때 노장 사상(老莊思想)을 숭상하던 사람들. 곧 혜강(嵇康)ㆍ완적(阮籍)ㆍ산도(山濤)ㆍ왕융(王戎)ㆍ상수(向秀)ㆍ완함(阮咸)ㆍ유령(劉伶) 등 일곱 사람을 가리킨다.

죽림환【竹林歡】죽림칠현(竹林七賢) 가운데 완적(阮籍)과 완함(阮咸)이 숙부와 조카 사이였던 고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晉書 卷49 阮籍傳 附 阮咸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