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지구우【止邱隅】시경(詩經) 소아(小雅) 면만(綿蠻)에 “綿蠻黃鳥 止于丘隅" 가 있음.

지귀【至貴】지극히 오묘한 말.

지균【指囷】쌀 창고를 손으로 가리켜 보임. 삼국 시대 오(吳) 나라 노숙(魯肅)이 주유(周瑜)에게 쌀 창고를 가리켜 보이면서 그것을 주유에게 준 고사에서 온 말인데, 후세에는 일반적으로 친구 간에 서로 도와주는 것을 비유하여 말한다.

지극【止棘】파리 떼를 말한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청승(靑蠅)에 참소하는 사람들을 파리로 비유하여 경계시키면서 “윙윙대는 파리 떼 가시나무에 앉아 있네[營營靑蠅 止于棘]”라고 하였다.

지극지승【止棘之蠅】시경(詩經) 청승(靑蠅)에 “앵앵거리는 쉬파리 가시나무에 앉았도다. 참소하는 사람 못 할 짓 없이 사방의 나라 교란하도다.” 하였다.

지금【秪今】다만 이제.

지기【支祈】우(禹)가 치수하면서 세 번이나 동백산(桐柏山)에 가 만난 회와(淮渦)의 수신(水神)으로 우는 그 수신을 경진(庚辰)이라는 신에 맡겨 제어하게 했던 바, 경진이 그를 귀산(龜山)의 발에다 묶어두고 꼼짝 못하게 하여 회수(淮水)가 비로소 제 길을 찾아 흐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무지기(巫支祈). 《繹史 夏禹紀注》

지기【知己】자기를 참으로 알아주는 이를 말한다. 옛날에, “선비는 지기(知己)를 위하여 죽어 준다.”는 말이 있다.

지기【支祈】지기는 보통 지기(支祁)라고 하는데 물귀신인 무지기(无支祁)의 약칭이다. 하우씨(夏禹氏)가 홍수를 다스릴 때 그의 목을 굵은 쇠사슬로 묶어 바다 속에 가두었다는 전설이 태평광기(太平廣記) 권467 인용 주석에 나온다.

지기【支機】직녀성(織女星)의 베틀 고인돌. 집림(集林)에, “有人尋河源 見婦人浣紗 問之 曰此天河也 乃與一石而歸 問嚴君平 君平曰 此織女支機石也”라고 보임.

지기괴【支祈怪】지기는 괴신(怪神)의 이름으로 지기(支祁), 또는 지기(支奇)ㆍ무지기(無支奇)ㆍ무지기(巫支祁)라고도 한다. 옛날 우(禹) 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때에 동백산(桐柏山)에서 회수(淮水)를 빙빙 돌게 하는 물귀신을 잡아 회양(淮陽)의 귀산(龜山) 밑에다 가두어 두었더니, 회수가 그제야 순히 흘렀다 한다.《太平御覽 八百八十二 神鬼部二》 지기를 가두었던 곳에 우물이 있는데 지기정(支祈井)이라 한다. 《鳳陽府志》

지기석【支機石】지기석은 베틀을 고인 돌. 전설에, 한 무제(漢武帝)가 장건(張騫)으로 하여금 하수(河水)의 근원을 찾아보도록 하였는데, 장건이 뗏목을 타고 천하(天河)에 당도하니 어떤 부인이 비단을 빨고 있다가 그에게 돌 하나를 줬다. 장건은 돌아와 그 돌을 가지고 성도의 점장이 엄군평(嚴君平)에게 물어보자 그 돌은 직녀의 베틀을 고인 돌이라 했다 한다.

지기석【支機石】직녀(織女)가 베틀을 괴었다는 돌. 옛날 어떤 사람이 하원(河源)을 찾아 올라가다가 빨래하는 부인(婦人)을 만나 여기가 어디냐고 묻자 그 부인이, 여기는 천하(天河)라고 하면서 돌 하나를 주었다. 그래서 가지고 돌아와 엄군평(嚴君平)에게 물으니, 군평이 “이것이 바로 직녀의 지기석이다.” 하였다.

지기정【支祁井】우(禹) 임금이 물난리를 평정시키고, 수신(水神) 무지기(巫支祈)를 진압했던 고사로서 그 지역에 있는 우물 이름을 지기정(支祁井)이라고 한다고 한다.

지기지우【知己之友】서로 뜻이 통하는 친한 벗.

지긴지요【至緊至要】더할 나위 없이 긴요함.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