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자거【刺擧】간악한 자를 탄핵하여 배척하고 공이 있는 이를 거양(擧揚)하는 대간의 일을 말한다.

자건【子建】삼국 시대 위(魏) 나라의 문장가인 조식(曹植)의 자이다.

자검【紫劍】웅검(雄劍)인 간장(干將)과 자검(雌劍)인 막야(莫邪)가 땅속에 묻혀 자기(紫氣)를 내뿜고 있던 중에 발굴되어 세상에 나온 뒤, 서로 오래도록 떨어져 있다가 나중에는 함께 합쳐져 두 마리의 용으로 변한 뒤 물속으로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拾遺記 卷10ㆍ晉書 張華傳》

자검【紫劍】자검은 옛날 용천검(龍泉劍)이 땅속에 묻혀 하늘 위로 자기(紫氣)를 발산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말이다.

자격지심【自激之心】제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한 생각을 가짐. 스스로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

자겸【子謙】최명길(崔鳴吉)의 자(字)이다.

자경【子卿】소무(蘇武)의 자(字).

자경【子敬】왕헌지(王獻之)의 자.

자경【蔗境】진(晉) 나라 고개지(顧愷之)가 단수수를 먹을 때는 항상 꼬리에서부터 먹기 시작하여 밑둥으로 들어가면서 ‘차츰 가경(佳境)으로 들어간다.’하였음. 그래서 사람들이 고(苦)로부터 낙(樂)으로 가는 일을 들어 자경(蔗境)이라 하였음. 수숫대는 본디 밑둥이 더 달기 때문임.

자경금【紫瓊琴】붉은 구슬로 장식한 거문고. 이백(李白)의 의고시(擬古詩)에 “선인이 나에게 녹옥배를 끼쳐주고 겸하여 자경금도 주었다오[仙人遺我綠玉杯 兼之紫瓊琴]”한데서 온 말이다.

자경누호아【子卿累胡娥】자경(子卿)은 한(漢) 나라 소무(蘇武)의 자(字)이며 호아(胡娥)는 흉노(匈奴)의 여자를 이른다. 소무는 일찍이 장군이 되어 흉노에 사신으로 갔는데, 양국 관계가 악화되어 그만 억류되었다. 그리하여 온갖 협박과 회유를 받았으나 끝내 항복하지 않고 충절을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왔는데, 억류되어 있는 동안 오랑캐 여자를 사귀어 한 아들을 낳으니, 이름을 통국(通國)이라 하였다. 《漢書 卷五十四 蘇建傳》

자경적노【子卿適虜】한(漢) 나라 소무(蘇武)의 자이다. 소무는 한 나라 무제(武帝)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는데, 흉노의 선우(單于)가 갖은 협박을 하는데도 굴하지 않은 채 온갖 고생을 하면서 19년 동안 억류되어 있다가 소제(昭帝) 때 비로소 한 나라로 돌아왔다. 《漢書 卷54 蘇建傳 蘇武》

자경절【子卿節】자경은 한 나라 소무(蘇武)의 자이다. 소무가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 중랑장(中郞將)으로 있다가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는데, 흉노의 선우(單于)가 갖은 협박을 하면서 항복하기를 강요하였다. 그런데도 굴하지 않다가 큰 구덩이 속에 갇혀서 눈을 먹고 가죽을 씹으면서 지냈다. 그러다가 다시 북해(北海)로 옮겨져서 양을 치며 지냈는데, 그때에도 한 나라의 절(節)을 그대로 잡고 있었다. 갖은 고생을 하면서 19년 동안 머물러 있다가 소제(昭帝) 때 흉노와 화친하게 되어 비로소 한 나라로 돌아왔다. 《漢書 卷54 蘇武傳》

자경청전【子敬靑氈】자경은 진(晉) 나라 때의 왕헌지(王獻之)를 이름. 자경은 그의 자. 왕헌지가 어느 날 밤 재중(齋中)에 누웠을 때 도둑이 들어 모든 물건을 다 훔쳐가므로, 헌지가 도둑에게 말하기를, “청색 모전(毛氈)은 우리 집의 세전지물이니 그것만은 놓고 가거라.”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八十》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