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자산수【子山愁】전란을 만나 객지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뜻한다. 자산(子山)은 북주(北周)의 시인 유신(庾信)의 자(字)로, 후경(侯景)의 난을 당해 강릉(江陵)으로 도망쳐 피신하였으며, 높은 관직에 오른 뒤에도 늘 고향을 생각하며 애강남부(哀江南賦)를 지어 노래하였다고 한다. 《北史 卷83》

자산중석【煮山中石】옛날 백석선생(白石先生)이라는 신선이 벽곡(辟穀)을 하기 위해 돌을 구워 먹은 고사에서 온 말이다.

자산출천【刺山出泉】한서(漢書) 이광리전(李廣利傳)에 이광리가 선마(善馬)를 빼앗으러 군사를 동원하여 이사성(貳師城)으로 갈 때 물이 없어 군사들의 목이 타자 광리가 패도(佩刀)로 산을 치니 물줄기가 솟아났다고 하였다.

자삼청철【紫蔘靑鐵】모두 지방의 특산물을 뜻하는데, 황정견(黃庭堅)의 송고자돈부하남시(送顧子敦赴河南詩)에 “자삼은 캘 만하니 진공하는데 옳거니와 청철은 많지 않으니 돈을 주조하지 말게나[紫蔘可掘宣包貢 靑鐵無多莫鑄錢]”한 데서 온 말이다.

자상【子桑】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의 우언(寓言)에 나오는 한사(寒士) 자상호(子桑戶)를 가리키는데, 그는 맹자반(孟子反) 자금장(子琴張)과 셋이 막역한 친구 사이였다고 한다. 10일 동안 내리는 장맛비 속에 자신의 운명을 한탄하고 있는데 친구인 자여(子輿)가 ‘아무래도 자상이 고달프게 지내겠구나.’ 하고 밥을 싸들고는 자상을 먹여 주려고 찾아갔다는 이야기가 있다.

자상과병【自象戈兵】이괘의 괘상(卦象)을 말한 것. 주역(周易) 설괘전(說卦傳)에, “이(離)는 불이요, 태양이며, 번개요, 중녀(中女)요, 갑주(甲冑)요, 과병(戈兵)이라.” 하였음.

자상빈【子桑貧】자상(子桑)은 장자(莊子)가 꾸며낸 인물로, 10일 동안의 장맛비에 갇혀 자신의 가난한 운명을 한탄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莊子 大宗師》

자상유가시【子桑有歌詩】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의 마지막 부분에 나온다. 자상(子桑)이 자신의 빈궁한 처지를 슬퍼하며 그 원인을 아무리 따져 보아도 알 수가 없어 결국은 명(命)이라고 결론을 짓는 내용이다.

자새【紫塞】북방 변경의 요새지를 뜻한다. 진(秦) 나라가 쌓은 국경의 장성(長城) 흙빛이 붉으므로 자새(紫塞)라 한다. 또는 북방 국경인 안문(雁門)에는 풀빛이 붉으므로 자새(紫塞)라고도 한다.

자색【紫色】바르지 못한 사설(邪說)을 말한다. 공자는 사이비(似而非)를 미워하여 “자주색을 미워하는 것은 빨강색[朱]을 혼란시킬까 해서이고, 향원(鄕原)을 미워하는 것은 덕(德)을 어지럽힐까 해서이다.” 하였다.《孟子 盡心下》 자주색은 중간 색깔이며 빨강색은 바른 색깔인데, 자주색은 빨강색과 사이비하여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에 양주ㆍ묵적의 사설이 공맹(孔孟)의 정도(正道)를 어지럽힘을 비유한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