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잔도【棧道】산골짜기나 절벽 같은 데에 널빤지를 사다리처럼 걸쳐서 만든 길로, 아주 험한 길을 뜻한다.

잔방【殘芳】시들고 남은 꽃.

잔배냉적【殘杯冷炙】먹다 남은 술과 다 식은 고기 구이로, 치욕을 당하는 것을 비유한 말로 쓰인다.

잔수【潺水】두치강(豆耻江)의 일명.

잔원【潺湲】물이 졸졸 흐르는 모양, 급하고 깨끗한 물의 흐름.

잔저사【盞底蛇】응침(應郴)이 주부(主簿) 두선(杜宣)을 술자리에 초청했는데, 두(杜)가 보니 술잔 속에 뱀이 있는지라, 마시지 못하고 돌아가 병이 났다. 뒤에 바로 그 자리에 술자리를 다시 베풀고 보니, 뱀은 활[弩] 그림자였으므로 두의 병이 나았다. 풍속통(風俗通) 진(晋) 악광(樂廣)과 그의 친객 간에도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晋書 樂廣傳》

잔촉【殘燭】다 타고 얼마 남지 않은 촛불. 밤이 깊어진 것을 뜻함.

잔화【殘花】늦은 봄날 마지막 작별을 고하는 꽃을 말한다.

잔회기위어【殘膾棄爲魚】월왕(越王) 구천(句踐)이, 물고기로 회(膾)를 하여 먹다가 오(吳) 나라 군사가 온다는 말을 듣고 남은 것을 강에 버렸더니 모두 고기가 되었다 한다.

잠【箴】경계하는 글.

잠갑배【蘸甲杯】술잔을 손으로 잡을 적에 손톱이 술에 적셔지는 것을 말한 것으로, 즉 철철 넘치는 술잔을 의미한다.

잠내【簪柰】이는 왕후의 죽음을 뜻한다. 한 성제(漢成帝) 때에 삼오(三吳)의 여자가 흰 꽃[白花]을 꽂아서 바라보매 마치 흰 능금꽃[素柰]과 같았는데, 이에 대하여 전하는 말에 “천공(天公) 직녀(織女)가 죽어서 그렇게 옷을 입은 것이다.”고 하더니, 이때에 두 황후(杜皇后)가 붕어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잠로【湛盧】칼이름. 오왕(吳王) 합려(闔閭)의 보검(寶劍)이었다고 한다.

잠룡【潛龍】주역(周易) 건괘(乾卦)에, “물속에 잠겨 있는 용이니 쓰지 말 것이다.[潛龍勿用]” 한 데서 온 말로, 뛰어난 재주를 가진 인재가 때를 만나지 못해 불우한 처지에 있는 것을 말한다.

잠룡【潛龍】쓰이지 못하고 숨어 있음을 말한다. 주역(周易) 건괘(乾卦) 초구잠룡물용(初九潛龍勿用) 주(注)에 “초양(初陽)이 아래에 있어 쓰이지 못하므로 그 상이 잠룡과 같다.” 하였다.

잠리【簪履】비녀와 가죽신. 즉 높은 벼슬아치들의 예복(禮服) 차림을 뜻하는데, 비녀란 곧 관(冠)에 꽂는 것이다.

잠마【蠶馬】고신씨(高辛氏) 때 어떤 사람이 이웃 나라에 납치되어 가고 그가 타던 말만 남아 있자 그의 아내가 “우리 남편을 찾아오는 사람에게는 내 딸을 시집보내겠다.” 하니, 그 말이 벌떡 일어나 나갔다가 수일 만에 주인을 찾아 태워가지고 들어왔다. 그런데 그 뒤부터는 말이 아무것도 먹지 않고 트집을 부리므로 남편이 그 사실을 물으니, 부인이 남편을 찾기 위해 맹세한 사실을 말하자 그는 당장 말을 쏘아 죽여서 가죽을 벗겨 뜰에 널어놓았는데, 그의 딸이 그 옆을 지나자 말가죽이 갑자기 일어나서 그 처녀를 싸가지고 뽕나무 위로 올라갔다. 이래서 그 처녀가 누에로 화(化)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原化傳拾遺》

잠모【岑牟】군대의 고각사(鼓角士)들이 쓰는 모자.

잠미시【蠶尾詩】청(淸) 나라 왕사정(王士禎)이 지은 잠미집(蠶尾集)의 시를 말한다. 잠미집 10권, 속집 2권, 후집 2권이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