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정법사【政法師】송운 유정(松雲惟政)으로, 사명당을 가리킨다.

정변기【正奇】정(正)과 기(奇)는 병법의 술어로, 적진과 대치하여 교전하는 등의 상법(常法)을 정이라 하고, 매복, 엄습 등의 변법(變法)을 기라 한다. 《孫子 勢》

정병소장송【井甁笑張竦】정병은 우물가에 매달린 두레박이란 뜻으로 즉 법도 있는 선비를 상징한 말이다. 양웅(揚雄)이 주잠(酒箴)을 지어 주객(酒客)이 법도 있는 선비를 힐난하는 내용으로 물건에 비유하여 말하기를 “자네는 마치 두레박[甁]과 같다. 우물[井] 꼭대기에 걸려 있어 항상 위태롭고 술은 한 방울도 입에 들어오지 않으며 외로이 새끼줄에만 매달려 있으니, 술부대[鴟夷]만 못하다. 술부대는 하루종일 술이 담겨 있고 항상 공가(公家)의 쓰임을 받으니 이렇게 따지면 술이 뭐가 나쁜가.”고 한 데서 온 말인데, 한(漢) 나라 때 장송(張竦)과 진준(陳遵) 두 사람은 매우 친한 친구 사이였으나 장송은 아주 근신하며 법도가 있는 선비였고, 진준은 이와 반대로 아주 술을 좋아하여 매일같이 빈객들을 모아 놓고 주연을 베풀며 조금도 구애됨이 없이 자유분방한 성격이었으므로, 진준이 양웅의 주잠을 보고 스스로 우물의 두레박과 술부대를 들어 친구인 장송과 자신에게 비유한 고사이다. 《漢書 卷九十二 陳遵傳》

정복시【貞復時】봄이 가까웠다는 뜻. 정은 내괘(內卦)를 가리키는데, 지뢰복(地雷復)의 내괘의 초효(初爻)가 양(陽)이므로 양이 처음 생김을 말한다. 《易經 地雷復》

정봉【征蓬】바람에 날리는 쑥대처럼 이리저리 돌아다님을 뜻한다.

정봉【丁奉】삼국 시대 오 나라 안풍(安豊) 사람으로, 손량(孫亮)을 섬겼는데, 위 나라와 싸우면서 단병(短兵)으로 접전을 벌여 대승을 거두었다. 《三國志 卷五十五》

정부【正夫】이형상(李亨祥)의 자(字), 호는 다계산인(茶溪散人).

정빈【汀蘋】물가[汀洲]의 빈화(蘋花)가 시인(詩人)의 읊음에 자주 나온다.

정사【政事】정사란 관리의 출척(黜陟)ㆍ천전(遷轉) 등에 관한 사령(辭令), 요즈음의 인사행정에 해당하는 말이다.

정사농【鄭司農】정사농은 후한(後漢) 때의 경학자(經學者)로 모두 대사농(大司農)을 지냈던 정중(鄭衆) 또는 정현(鄭玄)을 지칭하는 말이다.

정산서원【鼎山書院】정산서원은 이황(李滉)과 조목(趙穆)의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정상간【井上看】자여(子輿)란 사람이 병이 들었을 때 비틀거리며 우물가에 가서 자기 몸을 비쳐 보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大宗師》

정상색조잔【井上索螬殘】쓸데없는 청렴을 이름. 전국 시대 제(齊) 나라 진중자(陳仲子)가 오릉(於陵)에 살면서 자기 형이 준 것도 의리가 아닌 녹(祿)이라 하여 먹지 않고 3일이나 굶다가, 귀에는 소리가 들리지 않고 눈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으므로, 엉금엉금 기어 우물가로 가서 굼벵이가 먹다 남은 오얏 하나를 먹고 나서야 귀에 소리가 들리고 눈에 보이는 것이 있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孟子 滕文公下》

정색【精色】밝은 색, 귤의 외색(外色). 내백(內白)은 껍질 속이 희다.

정서군막【征西軍幕】묘청(妙淸) 토평(討平).

정서다좌리【征西多佐吏】정서장군이었던 유량(庾亮)을 가리키는데, 유량의 막하(幕下)에는 특히 은호(殷浩) 등 재능 있는 좌리(佐吏)가 많았었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晉書 卷七十三》

정서이견【情恕理遣】잘못이 있으면 온정으로 참고 이치에 비추어 용서함.

정설【井渫】우물이 이미 준설(浚渫)됨. 스스로 몸가짐을 깨끗이 함의 비유. 설(渫)은 더럽고 흐린 것을 쳐버려 깨끗이 함이다. 주역(周易) 정괘(井卦)에 “깨끗한 우물 물 먹지 않으니 마음 슬프다[井渫不食 爲我心惻].” 하였다.

정설불식【井泄不食】주역(周易) 정괘(井卦) 구삼(九三)에 “우물을 깨끗이 쳤는데도 먹지를 않으니 내 마음이 슬프다. 임금이 밝아서 길어다 먹기만 하면 모두 복을 받으리라.[井渫不食 爲我心惻 可用汲 王明 並受其福]”라는 말이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