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정무【定武】정무본(定武本) 난정(蘭亭)을 말함. 당(唐) 나라 석본난정(石本蘭亭)으로는 정무본을 제일 아름답게 여김.

정무신룡【定武神龍】난정첩(蘭亭帖)의 정무본과 신룡본을 말함.

정문【程門】정이(程頤)가 사는 집의 문으로, 송사(宋史) 제428권 양시전(楊時傳)에, “양시가 어느날 정이를 방문하였는데, 정이가 명상에 잠겨 앉아 있었다. 이에 양시와 유작(游酢)이 곁에 시립한 채 가지 않고 있었다. 정이가 명상에서 깨어났을 때에는 문 밖에 눈이 한 자가 쌓였다.” 하였다.

정문세효【鄭門世孝】정성근(鄭誠謹)의 아들 주신(舟臣)과 매신(梅臣)을 일컫음. 이들 삼부자는 모두 효성스러웠는데 매신은 벼슬살이에 있어서도 청렴결백하였다.

정문일침【頂門一鍼(針)】정수리에 한 대의 침을 놓음. 정신을 차리도록 하는 따끔한 한 마디의 충고. 약점을 찔러 따끔하게 훈계함.

정문입설【程門立雪】유초(遊酢)와 양시(楊時) 두 사람이 눈오는 밤에 스승인 정이천(程伊川)을 모시고 서 있었다는 고사. 제자가 스승을 극진히 섬기는 것을 말한다.

정미방【赬尾魴】시경(詩經)에 “방어는 꼬리가 붉다.”는 말이 있는데 해설하는 자의 말에, “방어는 피곤하면 꼬리가 붉는 것인데 은나라 백성이 포악한 정치에 피곤함을 비유한 것이라.” 한다.

정미벽서【丁未壁書】을사사화(乙巳士禍) 2년 뒤인 명종 2년(1547)에 “여자 임금이 위에서 정권을 잡고 간신 이기(李芑) 등은 아래에서 권력을 농락하고 있으니 나라가 곧 망할 것은 뻔한 일이다. 어찌 한심하지 않으리요 …….”라는 내용의 글이 양재역 벽 위에 붙어 있는 것을 정언각(鄭彦慤)이 위에 고하면서 다시 사림(士林)에 화를 끼친 사건이다. 을사사화 당시 대윤(大尹)을 숙청한 소윤(小尹)의 윤원형(尹元衡)ㆍ이기(李芑)ㆍ정순붕(鄭順朋) 등이 대윤의 잔여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집권층인 자신들을 비방하는 내용의 벽서를 조작하여 그 혐의를 유림들에게 뒤집어 씌워 송인수(宋麟壽)ㆍ이약빙(李若氷)은 사사(賜死)되고, 이언적(李彦迪)ㆍ정자(鄭磁)는 극변안치(極邊安置)되는 등 많은 유림들이 화를 당했음.

정반자【鄭半刺】반자는 통판(通判), 즉 판관(判官)의 별칭이다.

정배대영【停杯對影】이백(李白)의 월하독작(月下獨酌) 시에 “꽃나무 아래 한 병 술 들고 아무도 없이 혼자 잔질한다오. 잔을 들어 명월을 맞이하니 그림자 대하여 삼인이 되었네.[花間一壺酒 獨酌無相親 擧杯邀明月 對影成三人]" 하였다.

정백【鄭白】전국 시대 정국(鄭國)이 쌓은 정국거(鄭國渠)와 한 무제(漢武帝) 때 백공(白公)이 쌓은 백거(白渠), 즉 수로 관개 사업을 말한다.

정백【鄭伯】정백(鄭伯)은 춘추 시대 정 장공(鄭莊公)을 가리키는데, 노 희공(魯僖公) 5년 8월, 위(衛) 나라의 수지(首止)에서 제후(諸侯)들이 회동했을 적에 유독 정백만이 맹약(盟約)에 불참하고 도피하여 돌아갔으며, 노 선공(魯宣公) 11년에 있었던 여(厲) 땅의 전쟁에서도 유독 정백만이 불참해 도피하여 돌아갔던 데서 온 말이다.

정백【亭伯】정백은 후한(後漢) 최인(崔駰)의 자(字)로, 당시 실권자였던 대장군(大將軍) 두헌(竇憲)에게 밉게 보여 요동(遼東) 장잠현(長岑縣)으로 쫓겨났다. 《後漢書 崔駰列傳》

정백【庭柏】조주백수자(趙州柏樹子)를 말함.

정백심산지【貞白尋山誌】도홍경(陶弘景)은 양(梁) 나라 말릉인(秣陵人)인데, 자는 통명(通明)임. 어려서 갈홍(葛洪)의 신선전(神仙傳)을 얻어 보고 문득 양생(養生)의 뜻이 있었음. 책 1만여 권을 읽고 금기(琴棋)를 잘 하였으며, 초예(草隸)에도 익숙하였다. 천성이 저술을 좋아하였는데, 음양ㆍ오행(五行)ㆍ산천ㆍ지리ㆍ방도(方圖)ㆍ산물(産物)ㆍ의술ㆍ본초(本草)에 더욱 밝았으며, 고금도검록(古今刀劍錄)을 지었음. 시(諡)는 정백 선생(貞白先生)임. 또 청 나라 정유요(丁惟曜)도 자가 정백(貞白)인데 심양산수지(瀋陽山水志)를 지었음.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