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좌각【左角】좌각의 다툼은 장자(莊子) 칙양(則陽)의 “달팽이의 왼쪽 뿔에 있는 나라는 촉씨(觸氏)라 하고 오른쪽 뿔에 있는 나라는 만씨(蠻氏)라 하는데, 서로 땅을 빼앗기 위해 전쟁을 벌여 수만 명의 군사가 죽고 진격한 지 15일 만에 돌아왔다.” 한 데서 나온 것으로, 극히 하찮은 일로 서로 다투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인용된다. 곧 세상의 온갖 영고 성쇠는 다 허무하다는 것이다.

좌간【坐慳】중국 속담에 “간탐하면 바람을 만나고, 인색하면 비를 만난다.[慳値風 嗇値雨]”는 말이 있으므로, 소식(蘇軾)의 약공택음시일대풍시(約公擇飮是日大風詩)에 “새벽의 거센 바람에 먼지가 하늘에 가득해라 그 까닭 생각하니 어찌 간에 저촉된 게 아니랴[曉來顚風塵暗天 我思其由豈坐慳]” 한 데서 온 말이다. 《蘇東坡集 卷十六》

좌객【座客】좌중에 있던 손님.

좌견우방【左牽右防】가축을 다룰 때 뜻밖의 사고를 방지하는 사전의 준비를 뜻한다. 예기(禮記) 곡례 상(曲禮上)에 “말과 양을 바치는 자는 오른손으로 몰고 가고, 개를 바치는 자는 왼손으로 몰고 간다.[效馬效羊者 右牽之 效犬者 左犬之]”고 하였는데, 정현(鄭玄)이 해설하기를 “개가 사람을 물 경우 오른손으로 방어하기 위해서이다.”라고 하였다.

좌계【左契】좌권(左券)과 같은 말로, 즉 계약(契約)이란 뜻인데 나누어 좌우(左右)를 만들어 각기 한 쪽씩 가지고서 신(信)을 삼음. 노자(老子)에, “성인(聖人)은 좌계(左契)를 가지며 사람에게 책하지 아니한다.” 하였음.

좌고우면【左顧右眄】좌우를 자주 둘러본다. 무슨 일에 얼른 결정을 짓지 못함을 비유함

좌관천리【坐觀千里】앉아서 천리 밖을 봄. 멀리 앞을 내다봄.

좌단【左袒】웃옷의 왼쪽 어깨를 벗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편들어 동의함을 이르는 말.

좌당【左璫】환관(宦官)의 관(冠)의 장식품인데, 전하여 환관의 뜻으로 쓰인다.

좌대신【坐待晨】맹자(孟子) 이루 하(離婁下)에 “주공은 세 왕을 겸하여 네 가지 일을 시행할 것을 생각하시되 부합하지 않는 것이 있으면 우러러 생각하여 밤으로 낮을 잇고 다행히 터득하면 앉아서 새벽을 기다리셨다.” 하였다.

좌도【左徒】좌도는 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벼슬 이름인데, 굴원(屈原)이 그 벼슬을 지냈다 하여 굴원을 가리킨다.

좌도소【左徒騷】좌도는 전국 시대 초(楚)의 관직 이름. 굴원(屈原)이 초의 회왕(懷王) 때 좌도였었음. 《史記 屈原傳》

좌도수【左徒愁】좌도(左徒)는 관명으로 즉 좌도를 지낸 굴원을 가리키는데, 굴원이 소인의 참소에 의해 쫓겨난 후 근심 걱정으로 나날을 보내면서 이소(離騷)를 지었고, 또 그가 지은 어부사(漁父辭)에는 “뭇사람이 다 취했는데 나 혼자만 깨었다[衆人皆醉我獨醒].” 하였다.

좌도편【左徒篇】좌도는 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벼슬 이름인데, 굴원(屈原)이 그 벼슬을 지냈다 하여 굴원을 가리킨다. 좌도의 글은 굴원이 소인의 참소로 인해 조정에서 쫓겨나 귀양살이하면서 자신의 불우함을 노래한 이소경(離騷經)을 비롯한 초사(楚辭)를 말한다.

좌두【莝豆】좌두는 말에게 먹이는 여물. 사기(史記) 범휴전(范睢傳)에 “수가(須賈)를 당(堂) 아래 앉히고 그 앞에다 좌두를 놓은 다음 두 자자당한 죄인을 시켜 말처럼 좌두를 먹게 했다.” 하였다.

좌리【座梨】놓아두기만 하고 먹지 않는 배로, 진귀(珍貴)함을 뜻한다. 《唐書 崔澹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