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좌마【左馬】좌전(左傳)과 국어(國語)의 저자인 좌구명(左丘明)과 사기(史記)의 저자인 사마천(司馬遷)을 말한다.

좌막【佐幕】좌막은 장수의 막부(幕府) 안에서 직무를 담당하는 것.

좌망【坐忘】도가에서 추구하는 것으로,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있는 말인데 수양(修養)으로 앉아서 상대와 나에 대한 존재를 의식(意識)하지 않고 현실의 모든 것을 잊는다는 것이다. 사물과 자기의 존재를 다 잊어버리고 담담하게 아무런 상념이 없는 정신세계를 말함.

좌명공【佐命功】조선 정종(定宗) 2년,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에 박포(朴苞) 등의 무리를 평정한 공으로 이저(李佇) 등 38명에게 내린 훈명(勳名).

좌발【髽髮】좌발은 복머리로, 상중(喪中)에 부인들이 머리를 묶는 것을 말한다. 촉나라의 제갈량(諸葛亮)이 죽었을 때 촉나라 부인네들이 모두 머리를 묶어 애도를 표했다고 한다. 소동파시집(蘇東坡詩集) 제4권 시일지하마적시(是日至下馬磧詩)에, “하루 아침에 별이 떨어져서, 마침내 촉나라 부인들 좌발하게 하였네[一朝長星落 竟使蜀婦髽].” 하였다.

좌발문도【坐發門桃】훌륭한 문생(門生)을 내었다는 말. 과거(科擧)의 시관(試官)으로서 인재(人材)를 뽑는 것을 말한다.

좌보【左輔】경도(京都)의 동쪽 지역을 가리킨다.

좌보명주【左輔名州】좌보(左輔)는 한(漢) 나라 삼보(三輔)의 하나인 풍익군(馮翊郡)이다.

좌부【左符】좌부(左符)는 지방관에게 지급하는 어부(魚符)의 좌측 반분(半分)을 말한다.

좌불수당【坐不垂堂】마루 끝에 앉는 것은 위험하기 때문에 앉지 않는다. 위험한 일에 가까이 하지 않음을 뜻한다.

좌불안석【坐不安席】앉기에 편안한 자리가 아님. 마음에 불안이나 근심 등이 있어 한 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함

좌사【左史】주(周) 나라 때의 사관(史官)에 좌사와 우사가 있었는바, 사관을 가리킨다. 좌사와 우사(右史)는 각각 언론과 행위의 기록을 맡았었는데, 나중에 기거랑(起居郞)과 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 바뀌었다.

좌사【左思】진(晉) 나라 임치(臨淄) 사람으로 자는 태충(太沖)임. 사조(辭藻)가 워낙 뛰어났었다. 박학능문(博學能文)하여 촉도(蜀都)ㆍ오도(吳都)ㆍ위도(魏都)에 대한 삼도부(三都賦)를 지었으며 그의 시에 “山水有淸音" 이라는 글귀가 있음. 《 晉書 左思傳》

좌사군룡세갑병【坐使群龍洗甲兵】두보(杜甫)의 병거행(兵車行)에, “어떻게 하면 장사(壯士)를 시켜 은하수(銀河水)의 물을 당겨 갑옷과 칼날을 깨끗이 씻어 영원히 쓰지 않게 할꼬.” 하였다. 군룡(群龍)은 비를 내리는 용을 말한 것이다.

좌상객【座上客】후한(後漢)의 공융(孔融)이 후진(後進)들을 잘 이끌어 주었으므로, 한직(閑職)에 물러나 있을 때에도 늘 빈객이 끊이지 않았는데, 공융이 이에 “늘상 좌상객이 집안에 가득하고, 술동이에 술이 떨어지지만 않는다면, 내가 걱정할 것이 뭐가 있으랴.[坐上客恒滿 樽中酒不空 吾無憂矣]”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蒙求 下 孔融坐滿》

좌상춘【座上春】상대방의 덕을 미화하는 말로, 덕이 봄날처럼 온화하다는 뜻이다.

좌서공【坐書空】진(晉) 나라 은호(殷浩)가 파면되자 온종일 공중에 글자를 쓰고 앉아 있었는데, 누가 엿보니, ‘돌돌괴사(咄咄怪事)’ 넉 자만 자꾸 쓸 뿐이었다.

좌소【坐嘯】본디는 한가하게 앉아서 퉁소를 분다는 뜻인데, 정사를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좌승양대【左丞涼臺】좌승은 중서성(中書省) 벼슬 이름으로 당 나라 때 중서령을 지낸 배도(裵度)를 가리킨다. 배도가 벼슬에서 물러나 낙양(洛陽) 남쪽의 오교(午橋)에 꽃나무 만 그루를 심고서 그 중앙에 여름에 더위를 식힐 누대와 겨울에 따뜻하게 지낼 집을 짓고 녹야당(綠野堂)이라 이름을 붙인 뒤에 백거이(白居易)ㆍ유우석(劉禹錫)등 문인들과 모여 시주(詩酒)로 소일하였다. 《新唐書 卷一百七十三 裵度傳》

좌씨화【左氏禍】좌씨는 국어(國語)와 춘추좌전(春秋左傳)을 지은 좌구명(左丘明).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태사공 자서(太史公自序)에 “좌씨는 눈이 멀고는 국어(國語)를 지었다.” 한 말이 있으므로, 여기에서 말한 화(禍)란 곧 봉사가 되는 것을 말한다.

좌액문【左掖門】궁궐 정문의 왼편에 있는 소문(小門)을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