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사【主司】장시관(掌試官)을 가리킨다. 주사【柱史】주사(柱史)는 주하사(柱下史)의 약칭으로 즉 주하사 벼슬을 지낸 노자(老子)를 가리킨다. 주사단조【柱史丹竈】주사는 주하사(柱下史)라는 벼슬 이름의 약칭으로 도교(道敎)의 원조(元祖)인 노자(老子)를 가리킨 말이고, 연단(鍊丹)은 도교에서 말하는 장생불사약(長生不死藥)인 단약(丹藥)을 굽는 것을 말하는데, 노자가 청우(靑牛)를 타고 파촉(巴蜀)에 가서 단약을 구웠다 한다. 주사소단조【柱史燒丹竈】주사는 주하사(柱下史)의 약칭으로 이 벼슬을 한 도교(道敎)의 원조(元祖) 노자(老子)를 가리킨다. 연단(煉丹)은 도교에서 말하는 장생 불사약(長生不死藥)인 단약(丹藥)을 굽는 것을 말하는데, 노자는 청우(靑牛)를 타고 파촉(巴蜀)에 이르러 단약을 구웠다 한다. 주사예【周史裔】주사의 후예. 춘추시대 때 주(周)나라 장서실(藏書室)사관(史官)을 지낸 노자(老子)의 후예인 이응(李膺)을 가리킨다. 주사직【朱絲直】아첨함이 없이 공명정대하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남조 송(宋) 포조(鮑照)의 ‘백두음(白頭吟)’에 “곧기는 붉은 가야금 줄과 같고, 맑기는 옥호의 얼음 같아라.[直如朱絲繩 淸如玉壺氷]”라는 표현에서 나온 것이다. 《文選 卷28》 주산자해【鑄山煮海】소식(蘇軾)의 ‘표충관비(表忠觀碑)’에 “산에서 채굴한 광석을 녹여 동을 만들고, 바다의 물을 끓여 소금을 만드는 등, …… 자원이 풍부하기가 천하에 으뜸이었다.[鑄山煮海 …… 甲於天下]”라는 말이 나온다. 주산지측【周山之側】시전(詩傳)에 “우르릉 저 천둥 소리가 남산 옆에서 나네.[殷其雷 在南山之側]”하는 시가 있다. 이 시는 출정한 남편이 고생함을 민망히 여겨 어서 돌아오기를 바라는 여인의 노래이나, 구설(舊說)은 뭇 선비들이 주문왕(周文王)의 어진 정사를 천둥에 비겨 주(周) 나라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시로 해석한다. 주생【周生】주생은 당(唐) 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전하지 않는데, 도술(道術)이 있어 ‘구름을 타고 달을 취했다.[梯雲取月]’는 전설이 있으므로 한 말이다. 주서초모【誅鋤草茅】띠풀을 호미질하여 없애다. 주선왕【周宣王】주(周) 나라를 중흥한 왕으로 노(魯) 나라의 난리를 평정하였다. 주성【酒聖】술 가운데 성인(聖人)으로, 맑은 술[淸酒]을 말한다. 탁주(濁酒)는 현인(賢人)이라 한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서막전(徐邈傳)에, “평소에 술에 취한 사람이 술 가운데 맑은 것을 일러 성인이라고 하고, 탁한 것을 일러 현인(賢人)이라고 하였다.” 하였다. 주성【酒星】술을 맡았다는 별, 곧 주기성(酒旗星)을 가리킨다. 주성강【周成康】주나라의 성왕(成王)과 그 아들 강왕(康王)은 선대에서 받은 왕업을 잘 계승하여 천하의 태평을 이룩하니 형벌을 쓸 일이 없어서 옥(獄)이 40년이나 비어 있었다. 주성치백【周成褫魄】주성왕(周成王) 때에 큰 바람이 불고 폭우(暴雨)가 쏟아지고 우레가 쳐서 큰 나무가 뿌리 채 뽑아지고 들에 벼가 모두 쓰러지니, 성왕이 놀래어 쫓겨 나가 있던 주공(周公)을 도로 맞아 들였다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