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옥수【玉樹】세설신어(世說新語) 용지(容止)의 “위 명제(魏明帝)가 후비의 아우 모증(毛曾)을 하후현(夏侯玄)과 함께 앉도록 하였는데, 당시 사람들이 갈대가 옥나무에 의지하였다 했다.”에서 나온 것으로, 자태가 준수하고 재간이 뛰어난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옥수【玉樹】옥같이 깨끗한 나무로, 외모가 준수하고 재간이 남다른 사람에 대한 미칭이다.

옥수【玉樹】옥수경지(玉樹瓊枝)의 준말로 귀가(貴家)의 자제를 비유하는 표현이다.

옥수【玉樹】자태가 준수하고 재간이 넉넉한 사람을 말함. 세설신어(世說新語) 상서(傷逝)에 “유량(庾亮)이 죽자 하충(何充)이 장사지내는 곳에 이르러 말하기를 ‘옥수를 흙 속에 묻으니 어찌 사람으로 하여금 그리운 정을 끊을 수 있게 하랴.’ 했다. 하였음.

옥수【玉樹】좋은 나무 이름. 병아(騈雅) 석목편(釋木篇)에 “옥수(玉樹)는 느티나무처럼 생겼는데 잎이 가늘다.” 했고, 진서(晉書) 사현전(謝玄傳)에 “종형(從兄) 사랑(謝朗)과 함께 숙부(叔父)의 중히 여김을 받았는데, 현이 말하기를 ‘저는 한 그루 옥수(玉樹)처럼 우리집 뜰에 서고자 합니다.’ 라고 했다.” 하였는데, 이는 인물이 뛰어남을 비유한 말이다.

옥수가【玉樹歌】망국(亡國)의 노래를 뜻한다. 남조 진(南朝陳)의 후주(後主)가 정사는 돌보지 않고 매일 귀비(貴妃) 등과 함께 노닐면서 궁녀들에게 새로 지은 시에 곡을 붙여 노래를 부르게 하다가 끝내 나라를 망하게 한 고사가 있는데, 그 곡 가운데 전해 오는 이른바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를 줄여서 보통 옥수가라고 부른다. 《陳書 皇后傳論》

옥수겸가【玉樹蒹葭】옥수는 뛰어난 사람으로, 상대방을 추켜주는 말이고, 겸가는 보잘것없는 사람으로, 자신을 낮추어서 하는 말로, 미천한 사람이 고귀한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을 말한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용지(容止)에, “위(魏)나라 명제(明帝)가 황후(皇后)의 동생 모증(毛曾)으로 하여금 하후현(夏侯玄)과 함께 앉게 하니, 당시 사람들이 겸가가 옥수에 기대었다.[蒹葭依玉樹]고 하였다.” 하였는데, 겸가는 모증을 가리키고 옥수는 하후현을 가리킨다.

옥수경지【玉樹瓊枝】남의 자제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옥수엄【玉樹掩】영재(英才)의 죽음을 뜻하는 말이다. 진(晉) 나라 사람 유량(庾亮)이 죽어 하관(下棺)을 할 때, 하충(何充)이 “옥수가 묻힌다.[埋玉樹]”면서 슬픔을 가누지 못했던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傷逝》

옥수여도의【玉樹如叨倚】선목(仙木)으로 사람의 고결한 풍채를 비유한다. 세설신어(世說新語)에 “위(魏) 나라 모후(毛后)의 아우 모증(毛曾)이 하후현(夏侯玄)과 자리를 함께 하자 사람들이, 마치 갈대가 옥수에 기댄 것 같다.” 하였다.

옥수지란【玉樹芝蘭】금옥 같은 나무요 향기 나는 난초라는 뜻으로, 남의 훌륭한 자제를 일컬을 때 쓰는 말이다.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진 후주(陳後主)가 매양 빈객을 불러 장귀비(張貴妃) 등을 데리고 잔치하고 여러 귀인(貴人)에게 시를 짓도록 하여 그 중에서 잘된 것을 뽑아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곡조를 만들었는데, 뒤에 옥수ㆍ후정 2곡으로 나뉘었다.

옥순【玉筍】당(唐) 나라 이종민(李宗閔)이 공거(貢擧)를 맡아 뽑은 사람이 풍채 좋은 선비들이었으므로 세상에서 옥순(玉筍)이라 일렀다. 《唐書》

옥순【玉筍】문과(文科)에 급제한 자를 뜻하는 말이다.

옥순【玉筍】미인(美人)의 손가락을 비유한 말로서, 뛰어난 인재가 많이 늘어서 있는 것을 형용한 말이다.

옥순【玉笋】옥순은 차의 별칭이다. 옛날 차의 이명(異名)으로, ‘석화 자순(石花紫笋)’ 혹은 ‘영아 진순(靈芽眞笋)’이라는 표현을 써 왔다. 그리고 차를 소재로 읊은 동파(東坡)의 시에 “화유 담긴 물병 하나[一甌花乳]”라는 표현이 있는데, 여기서의 화유(花乳)도 역시 차의 이명이다. 《蘇東坡詩集 卷13 和蔣夔寄茶》

옥순【玉笋】풍채가 좋은 인물들이 옥으로 뽑아 올린 죽순과 같다는 뜻이다.

옥순반【玉筍班】영재(英才)들이 늘어서 있는 줄이라는 뜻으로, 옥당의 관원이 되는 것을 가리킨다. 이종민(李宗閔)이 지공거(知貢擧)로 있을 때 그의 문하에 청수하고 준걸스런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어 당시 사람들이 그들을 일러 옥순반이라 하였음. 《因話錄》

옥순봉【玉筍峰】단양 팔경(丹陽八景)의 하나.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