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유마【維摩】석가와 동시대 사람으로 출가(出家)하지 않은 채 보살(菩薩)의 행업(行業)을 닦은 석가의 속제자(俗弟子). 일찍이 불제자인 사리불(舍利弗)ㆍ미륵(彌勒)ㆍ문수사리(文殊舍利) 등에게 대승(大乘)의 교리를 설법하였는데, 항상 병을 앓았다 한다. 유마【流馬】유마는 삼국 때 촉한(蜀漢)의 승상(丞相) 제갈량(諸葛亮)이 제작한 것인데 촉도(蜀道)가 험하기 때문에 식량을 운반하기 위하여 만들었던 기계로 목우(木牛)와 함께 유명하다. 《水經 沔水注, 三國志 蜀志 諸葛亮傳》 유마【維摩】유마는 석가(釋迦)와 동시대에 살면서 대승(大乘)의 불법을 수행했다는 거사(居士)의 이름으로, 유마힐(維摩詰)의 준말이다. 유마가 일부러 병을 칭탁하고 석가에게 나아가지 않자, 석가가 보살들을 보내 문병하게 하였는데, 병의 원인을 묻는 문수 보살(文殊菩薩)의 질문에 “중생이 병에 걸렸기 때문에 내가 병든 것이니, 중생의 병이 나으면 나의 병도 없어질 것이다.[一切衆生病 是故我病 若一切衆生得不病者 則我病滅]”라고 대답한 유명한 고사가 전한다. 《維摩經 文殊師利問疾品》 유마거사【維摩居士】유마 거사는 석가(釋迦)와 같은 시대의 사람으로 석가의 교화를 도운 비야리성(毘耶離城)의 장자(長者)인데, 중생이 병들었으므로 자신도 병이 들었다고 자리에 누운 뒤, 병문안을 온 여러 보살들에게 불이법문(不二法門)의 유마경(維摩經)을 설했다고 한다. 유마방장실【維摩方丈室】유마 거사(維摩居士)가 중생의 병이 다 낫기 전에는 자신의 병도 나을 수 없다면서 드러눕자, 석가모니(釋迦牟尼)가 문수보살(文殊菩薩)을 보내 문병(問病)케 하자 유마 거사가 불이법문(不二法門)을 펼쳤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維摩詰所說經 方便品 入不二法門品》 유마병【維摩病】자신의 도를 아껴 남과 가벼이 만나지 않으려는 고의적인 병. 유마(維摩)는 여래(如來)의 속제자(俗弟子)로 세속에 있으면서 여래의 교화를 도운 법신(法身)의 대사이다. 부처가 비야리성(毗耶離城)에 있었으므로 성안에 있는 5백 장자(長者)의 아들들이 여래에게 설법을 청하였다. 이때 유마는 고의로 병을 칭탁하자 여래는 문수보살(文殊菩薩)과 여러 비구(比丘)들을 보내어 문병하게 하니, 그는 여러 가지 신통력을 보여 불가사의(不可思議)한 해탈상을 보여줬다. 유마병신【維摩病身】유마는 석가와 동시대 사람인 유마힐(維摩詰)인데 고의로 병을 핑계한 고사가 있음. 유마식기【維摩息機】유마는 유마라힐(維摩羅詰)로 석가와 같은 시대 사람이고, 기심은 물아(物我)와 이해를 따지는 간사한 마음을 뜻한다. 유마실【維摩室】유마방장실(維摩方丈室)의 준말, 즉 유마 거사의 방장(方丈)이란 말로 절[寺]을 이름인 듯함. 후한서(後漢書) 서역전(西域傳) 논(論)의 주에, “維摩詰三萬二千獅子座 高八萬四千由旬 高廣嚴淨 來入維摩方丈室 包容無所妨礙”라고 보임. 유마조【猶馬曹】마조는 동진(東晉)의 왕휘지(王徽之)의 별칭. 왕휘지가 환충(桓沖)의 기병대 병참군(兵參軍)이 되었는데, 충(沖)이 “경은 어느 부서에 있는가?" 하니, 휘지가 “마조(馬曹)인 것 같습니다.” 하였다. 하찮은 벼슬을 뜻한다. 유마질【維摩疾】중이 질병을 얻었음을 비유한 말. 유마경(維摩經)에 의하면, 고승 유마거사(維摩居士)가 병이 있어, 국왕(國王)ㆍ대신(大臣) 등이 가서 문병을 하였는데, 이 때 문수(文殊)가 묻기를 “거사께서는 무슨 까닭으로 이 질병을 얻은 것입니까?”하니, 거사가 말하기를 “일체 중생(一切衆生)이 병들었기 때문에 내가 병든 것이니, 일체 중생이 병들지 않을 수 있다면 나의 병도 없어질 것이다.”고 했다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