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와당【瓦當】와당은 고대(古代)의 궁전(宮殿)에 사용하던 기왓장 끝에 새긴 문자(文字)를 말한다.

와대고취【蛙代鼓吹】북 치고 피리 부는 것을 말한다. 공치규(孔稚珪)의 문정(門庭) 안에 잡초를 베지 않아 개구리가 그 속에서 우는데 치규가 “내가 이것으로 고취를 대신한다.” 하였다. 《南史 孔稚珪傳》

와도【臥陶】누워 있는 도연명(陶淵明)이라는 뜻이다. 도연명의 ‘여자엄등소(與子儼等疏)’에 “오뉴월 중에 북창(北窓) 아래에 누워 있으면 서늘한 바람이 이따금씩 스쳐 지나가곤 하는데, 그럴 때면 내가 태곳적 희황(羲皇) 시대의 사람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곤 한다.”라는 말이 나온다.

와독서가【臥讀書架】누워서 글 읽는 서가.

와련【媧鍊】옛날에 여와씨(女媧氏)가 오색돌을 반죽하여 허물어진 하늘을 때웠다 한다.

와록침창【臥綠沈槍】두시비해(杜詩批解) 권3 중과하씨5수(重過何氏五首)의 “비에는 쇠갑옷이 버려져 있고 이끼엔 푸른창이 누워 있다네[雨抛金鍞甲 苔臥綠沈槍].”에서 나온 것으로, 무기가 여기저기 널려 있다는 것이다.

와료【窪寥】텅 비고 깊숙한 모양.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에 “비고 깊어 그 바닥은 보이지 않고 허공에서 솔바람 소리만 들린다.”고 했다.

와룡【臥龍】삼국 시대에 제갈량이 젊어서 살던 곳인데, 집 위의 산 이름이 와룡강(臥龍崗)이므로 와룡 선생이라고 자칭하였었다. 제갈량의 친구인 서서(徐庶)가 일찍이 선주(先主)에게 제갈량을 소개하면서 ‘와룡’이라 일컬은 데서 온 말이다.

와룡【臥龍】흔히 때를 만나지 못한 영웅을 지칭한 말이나 여기서는 잠복해 있는 간웅(奸雄)이라는 뜻.

와룡려【臥龍廬】촉한(蜀漢) 제갈량(諸葛亮)의 도호(道號)가 와룡선생(臥龍先生)이므로 빌어서 쓴 말이다.

와리【臥理】누워 다스릴 만하다는 것은 급암이 회양태수에 제수되자 거절하고 인장을 받지 않자, 무제가 말하기를 “그대는 회양군수 자리를 박하다고 보는가. 내가 지금 그대를 불렀으나 회양의 관리와 백성들이 서로 화합하지 않으니, 그대의 힘을 빌어 편히 누워 다스리고 싶다.” 하였다는 데서 나온 것이다. 《史記 卷一百二十 汲黯傳》

와명원불관사공【蛙鳴元不管私公】진(晉) 나라 혜제(惠帝)는 어리석고 숙맥이어서, 비원[上林]에서 개구리 우는 소리를 듣고, “저 개구리가 공사(公事)로 하여 저렇게 우느냐, 혹은 사사일로 하여 저렇게 우느냐.” 하고, 물은 일이 있었다.

와부【瓦釜】와부는 흙으로 만든 취사 기구로서 비루하고 용렬한 소인을 가리킨다.

와부뇌명【瓦釜雷鳴】질그릇과 솥이 부딪치는 소리를 듣고 천둥이 치는 소리로 착각함. 무식하고 변변치 못한 사람이 아는 체하고 크게 떠들어댄 소리에 여러 사람이 혹하여 놀라게 된 것을 뜻한다.

와부황종【瓦缶黃鍾】질장군[瓦缶]은 소인을 뜻하고 황종은 군자를 뜻한 것이다.

와설도【臥雪圖】후한(後漢)의 원안(袁安)이 눈 속에 누워 있는 그림. 큰 눈이 내린 날 낙영 영(洛陽令)이 민정을 살피러 나갔다가 원안(袁安)의 집 앞을 지나다 보니 그 집 앞엔 사람이 출입한 흔적이 없었다. 낙양령이 곧 들어가 보니 그는 눈 속에 뻣뻣이 누워 있었다.”왜 출입도 안하는가?" 고 물으니 그는 “큰 눈이 내려 굶주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남에게 의뢰함은 옳지 않다.”고 대답하더라는 것이다. 《後漢書 袁安傳 注》

와설안【臥雪安】후한(後漢) 때 큰눈이 내려 한 길이나 쌓였을 적에 낙양령(洛陽令)이 친히 순찰을 돌다가 원안의 집 앞에 이르러 보니, 사람이 다닌 자취가 없으므로, 원안이 이미 죽은 줄 알고 사람을 시켜 눈을 치게 하였는데, 원안이 죽지는 않고 눈 속에 누워 있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