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우계【愚溪】당(唐) 나라 유종원(柳宗元)이 적거(謫居)했던 곳으로, 계곡이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좌천된 호남의 남부 지방을 말한다.

우계【牛溪】조선 중기의 학자 성혼(成渾 1535~1598)의 호. 그가 임진왜란 초기에 선조(宣祖)가 몽진(蒙塵)길에 올라 임진강을 건너는데, 그의 집이 강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있으면서도 나와 보지 않았다고 하여 당시 사람들이 좋지 않게 평하였음.

우계간우부문덕【虞階干羽敷文德】우순씨(虞舜氏)가 문덕(文德)을 크게 발휘하여 양 섬돌 사이에서 무무(武舞)인 간무(干舞)와 문무(文舞)인 우무(羽舞)를 춤추니 70일째 되는 날 유묘(有苗)가 감화되어 귀의했다고 한다. 《書經 大禹謨》

우계무간우【虞階舞干羽】우순(虞舜)이 유묘(有苗)를 토벌하다가 항복받지 못하고 돌아와서 덕을 닦으며 궁중 뜰에서 간우(干羽)의 춤을 추니 70일 만에 유묘가 와서 항복하였다.

우계우덕부【虞階禹德敷】우 나라 뜰에 우의 덕이 퍼지다. 무력을 쓰지 않고도 문치(文治)가 잘되어 감. 우(禹)가 순(舜)의 명을 받아 유묘(有苗)를 정벌하였으나 한 달이 되도록 그곳 백성들이 명을 거역하고 있었으므로 익(益)이 우에게 권하여 싸움을 중지하고 덕을 펴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우는 그의 말대로 포위를 풀고 반사(班師)한 다음 두 쪽 뜰에서 춤을 추면서 문덕(文德)을 폈었음. 《書經 大禹謨》

우곡【愚谷】깊은 산골에 오래도록 은거할 것을 상징한 말로, 옛날 우공이란 사람이 태항산(太行山)을 향하여 깊은 골짜기에 집을 짓고 살면서, 앞에 큰 산이 있어 생활의 불편함을 느낀 나머지, 자손 대대에 걸쳐서라도 이 산을 꼭 파내고야 말겠다고 결심을 하자, 신(神)이 그의 집념에 감동하여 마침내 그 산을 옮겨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인데, 이 때문에 그 골짜기를 우공의 골짜기라고 한 것이다. 《列子 湯問》

우곡【紆曲】모퉁이 굽은 구석

우곡【愚谷】우공곡(愚公谷)을 이름.

우공【寓公】나라를 잃고 남의 나라에 우거하는 임금을 가리킨 말.

우공【禹貢】우(禹)는 자기 거처하는 집도 낮게, 음식과 의복도 박하게 하여 검소를 본분으로 하였으나 그가 우공(禹貢)에서 지방 조세를 정하면서 태산 골짜기의 토산물로는 명주실ㆍ모시ㆍ납ㆍ괴석을 그 지방 공물(貢物)로 정하였음. 《書經 禹貢》

우공【禹貢】우공은 중국 국토를 아홉 주로 나누어 각 구역의 산천 분포와 교통, 물산의 상황이며 공부(貢賦)등급에 관한 것까지 기술한 상서(尙書) 하서(夏書)의 편명으로, 중국의 국토를 의미한다.

우공가도【虞公假道】춘추 시대 때 진(晉) 나라의 순식(荀息)이 진 나라의 굴(屈) 땅에서 나는 말 네 마리를 우(虞) 나라에 주고 괵(虢) 나라를 치러 가는 길을 빌려 달라고 하였다. 그러자 우공이 말을 탐내어 길을 빌려 주고서 진 나라의 선봉이 되어 괵 나라를 쳤는데, 괵 나라가 함락된 뒤에 우 나라도 진 나라에 의해 멸망되었다. 《春秋左傳 僖公 2年》

우공고문【于公高門】한(漢) 나라 우공(于公)이 지방 관리로 옥송(獄訟)을 공평하게 처리하면서 그 음덕(陰德)으로 집안을 일으킬 자손이 나올 것을 기대하고 대문을 높이 만들어‘[高門] 달았는데, 과연 그의 아들 우정국(于定國)이 승상의 지위에 올랐던 고사가 있다. 《漢書 于定國傳》

우공곡【愚公谷】옛날 우공이라는 사람이 높은 산을 정면으로 향하여 집을 짓고 살다가 산북(山北)의 꽉 막힘과 출입하기 불편함을 싫어하여, 자신이 다 못하면 자손 대대로 이어가면서까지 이 산을 딴 곳으로 옮기기로 계획하고 옮기는 작업을 시작하니, 산신(山神)이 그의 정성에 감동하여 그 산을 옮겨주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列子 湯問》

우공문【于公門】음덕 있는 집안의 자손은 번창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우공문호【于公門戶】자손들이 복을 받을 수 있을 만큼 많은 음덕(陰德)을 쌓았다는 말이다. 한(漢) 나라 우공(于公)이 공평하게 일을 처리하면서 자신의 자손 중에 가문을 크게 일으킬 자가 나오리라고 예기(豫期)하고 고관(高官)의 수레가 통과할 수 있도록 집 대문을 크게 만들었었는데, 과연 그의 아들 우정국(于定國)이 승상의 지위에 올랐던 고사가 전해 온다. 《漢書 卷71》

우공서【禹貢書】우공은 서경(書經)의 편명. 우 임금이 홍수를 다스린 다음 구주(九州)의 공부(貢賦)를 정한 내용이다.

우공이산【愚公移山】우공이란 사람이 산을 옮김. 어떤 어렵고 큰 일이라도 사람이 뜻을 세워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비유하는 말이다. 즉, 난관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센 의지를 가지고 노력한다면 결국 성공할 수 있다는 뜻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