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우륵【于勒】우륵은 가야금(伽倻琴)을 맨 처음 만들어 낸 신라 때의 악사(樂師)로 지금의 충주(忠州)에 살았는데, 지금 충주에 있는 탄금대(彈琴臺)와 금휴포(琴休浦)는 바로 그가 가야금을 타던 곳이라 한다. 우릉불로두어척【羽陵不勞蠹魚剔】목천자전(穆天子傳)에 “우릉에서 좀 먹는 책을 볕에 쬐었다.”는 말이 있다. 우린【于鱗】명(明) 나라 문인 이반룡(李攣龍)의 자(字)이다. 반룡은 어려서 고아가 되고 집도 가난하였으나, 자라면서 시가(詩歌)를 좋아하고 훈고학(訓詁學)을 싫어하여 날마다 고문만을 읽었다 한다. 우림【羽林】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에 궁궐을 금위(禁衛)하는 군사를 우림(羽林)이라 하였다. 한(漢) 나라 때 처음 설치한 것으로 금군(禁軍)을 칭하는데, 깃처럼 빠르고 숲처럼 많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우림랑【羽林郞】우림은 관명(官名)으로 숙위(宿衛)와 시종(侍從)을 맡았던 관직이다. 우림령곡【雨淋鈴曲】명황잡록(明皇雜錄)에 “임금이 서촉(西蜀)에 행행(行幸)하여 맨 처음 사곡(斜谷)에 들어섰을 때 장마가 열흘 동안 계속되었는데 잔도(棧道) 안에서 빗방울 소리가 났다. 임금이 마침 귀비를 상념(傷念)하던 터라 그 소리를 취하여 우림령곡을 만들어 한을 나타냈다. 그때 이원 제자(梨園弟子)들 가운데 장야호(張野狐) 한 사람만이 필률(觱篥)을 다루었으므로 이 곡을 불게 하여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다.” 하였다. 우림성【羽林星】우림성은 천군(天軍)을 관장하는 장성(將星)이다. 우림천군【羽林】우림은 별 이름이다. 우마풍【牛馬風】서로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이라는 뜻이다. 춘추좌전(春秋左傳) 희공(僖公) 4년 조(條)에, “그대는 북해(北海)에 있고 과인은 남해(南海)에 있으니, 이는 암내난 말과 소라서 미칠 수가 없는 것과 같네.[風馬牛不相及]”하였다. 우맹【優孟】우맹은 초(楚) 나라 배우인 맹(孟)을 말함. 손숙오(孫叔敖)는 초 장왕(楚莊王) 때의 어진 정승이었는데, 그가 죽은 뒤 그의 아들이 워낙 빈곤하자, 우맹이 그를 구해줄 목적으로 손숙오의 의관(衣冠)을 차리고 초 장왕 앞에 나타나니, 초 장왕이 크게 놀라며 손숙오가 다시 살아온 것으로 여기고 그를 정승으로 삼으려 했었다는 고사가 있다. 《사기(史記) 卷一百二十六》 우맹의관【優孟衣冠】우맹(優孟)은 명우(名優)인데, 초 장왕(楚莊王)을 섬겼다. 손숙오(孫叔敖)가 죽으니, 그 아들이 빈곤(貧困)하여 나무꾼이 되자, 우맹은 거짓 손숙오가 되어 그 의관을 착용하고 노래를 지어 불러 초장왕을 감동시켜서, 손숙오의 아들이 마침내 벼슬을 얻었다. 그래서 후세에 가장(假裝)을 들어 우맹의관(優孟衣冠)이라 칭하게 되었음. 《史記 滑稽傳》 우맹종비위오【優孟終非蔿敖】가짜는 아무리해도 진짜만은 못함. 춘추 시대 초(楚)의 악공(樂工)인 우맹(優孟)이 해학과 기지가 대단했는데, 재상 위오(蔿敖)가 죽고 그의 아들이 매우 곤궁하게 되자 우맹이 위오의 생시 복장을 하고 일년 이상이나 위오의 거동과 모습을 익힌 다음 장왕(莊王)을 찾아가 노래로써 왕을 감동시켰다고 함. 《史記 卷一百二十六》 우면【牛眠】우면은 장사를 지낸 묘지를 말하는데, 진(晉) 나라 때 소가 누워서 잠자는 곳을 길지(吉地)라고 여겼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晉書 周訪傳》 우면산【牛眠山】후손에게 복이 돌아온다는 풍수(風水) 상의 길지(吉地)를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