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원보【元輔】귀한 신분의 중신(重臣)을 가리키는 말이다. 원복【元服】남자가 스무살이 되어 어른의 의관(衣冠)을 입는 의식. 원(元)은 머리[首]를 뜻하고 복(服)은 착용(着用)을 뜻한 것으로, 즉 머리에 관(冠)을 쓰는 것을 말한다. 원봉【元封】한 무제(漢武帝)의 연호. 한 무제가 원봉 원년에 태산에 봉선제(封禪祭)를 지냈다. 원부납극【院孚蠟屐】납극(蠟屐)은 꿀밀을 발라 반들반들하게 만든 나막신. 동진(東晉) 때 고사 완부는 나막신을 매우 좋아하여 꿀밀을 발라서 광택(光澤)을 냈다 한다. 원비【猿臂】원숭이 팔. 한 나라 때 장군 이광(李廣)이 원숭이처럼 팔이 길어 활을 잘 쏘았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원비장【猿臂將】원비장(猿臂將)은 한 무제(漢武帝) 때에 북평 태수(北平太守) 등 여러 변방의 태수를 지냈고, 특히 대장군(大將軍)으로서 흉노(匈奴)와 70여 차례의 전쟁을 하여 매우 큰 공훈을 세웠던 이광(李廣)을 가리킨다. 그는 키가 크고 특히 원숭이처럼 팔이 길어서 활을 더욱 잘 쏘았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원비장군【猿臂將軍】한 문제(漢文帝) 때 이광(李廣)이 팔이 길어 활을 잘 쏘아서 흉노가 두려워하여 감히 발호하지 못했다. 흉노와 70여 차례 싸워 이겼으나 끝내 후(侯)에 봉해지지 못했고 뒤에 대장군(大將軍) 위청(衛靑)의 패배로 인해 견책당하자 자살하였다. 원빈【元賓】당 나라 한유(韓愈)의 제자 이관(李觀)의 자. 원빈애【元賓愛】원빈은 이관(李觀)의 자(字)이다. 그는 한유(韓愈)가 아끼는 친구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한유의 시집(詩集)에 수록되어 있는 ‘중운(重雲)’, ‘북극(北極)’이란 시에서도 알 수 있거니와, 그보다도 이사석(李師錫)에게 보낸 답서(答書)에 보면, 짧은 글 속에 무려 아홉 번이나 원빈(元賓)을 언급하여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따라서 원빈은 누구보다도 한유의 사랑을 많이 받은 사람으로 전한다. 《韓昌黎集 卷三 答李秀才書》 원사진인【遠徙秦人】중국 사서(史書)엔 진(秦)의 도망한 백성이 한(韓)으로 왔다고 적혀 있다. 원사허음【遠師許飮】진(晉)의 혜원법사(慧遠法師)가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하고 서신을 보내 도잠(陶潛)을 초청했는데, 도잠이 초청을 받고 말하기를, “제자(弟子)는 술을 좋아하여 법사께서 술을 마셔도 좋다고 허락하면 곧 가겠습니다.” 하자, 혜원이 그를 허락하였음. 《盧阜雜記》 원사혼박도【爰絲混博徒】사(絲)는 한(漢) 나라 원앙(爰盎)의 자(字)이다. 원앙이 벼슬을 그만두고 집에 있을 때 박도(博徒 노름꾼)인 극맹(劇孟)의 인물됨을 높이 평가하여 대우를 잘했던 고사가 있다. 《史記 卷101》 원상애객【原嘗愛客】전국 때 조(趙)의 평원군(平原君 勝)과 제(齊)의 아들 맹상군(孟嘗君 田文)들이 다 문객 3천 명을 두었었다. 원서【爰書】죄인(罪人)의 범죄 사실을 조사한 서류이다. 원(爰)은 교환한다는 뜻으로, 옛날에 재판관의 편파를 막기 위하여 서로 옥서(獄書)를 교환해서 심리했던 데서 온 말이다. 원섭전【原涉傳】한서(漢書) 유협전(游俠傳)에 속한 원섭(原涉)의 전기(傳記). 원섭은 한(漢) 나라 적 사람이며, 자(字)는 거선(巨先). 원성【元聖】원성은 주공을 가리킨다. 주공의 이름은 단(旦)인데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아우이다. 원성【元聖】큰 성인으로, 일반적으로 이윤(伊尹)이나 공자(孔子)를 가리킨다. 원성실성【圓成實性】원만하게 이루어진 진실의 본성. 원성유충자【元聖惟沖子】대성인은 주(周)나라의 주공(周公)을 말하고 어린 임금은 무왕(武王)의 아들이자 그의 조카인 성왕(成王)을 말한다. 어린 나이에 왕이 된 성왕을 주공이 도와 섭정을 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