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위우동【委羽洞】절강성(浙江省) 황암현(黃巖縣)에 있는 위우산(委羽山)의 골짜기로 도가서(道家書)에서 말하는 동천(洞天)의 하나. 세상에서 선인(仙人) 유봉림(劉奉林)이 학(鶴)을 붙잡다가 깃을 떨어뜨린 곳이라 한다. 위원충【魏元忠】당 나라 송성(宋城) 사람으로 중종(中宗) 때에 중서령(中書令)을 지냈음. 《新ㆍ舊唐書 魏元忠傳》 위위【暐暐】빛이 환한 모양 위위【委委】평온하고 아름다움 위유【韋柳】당(唐) 나라의 위응물(韋應物)과 유종원(柳宗元)을 가리킨다. 위육【位育】하늘과 땅의 조화를 돕는다는 뜻. 모두 제자리에 편안히 있게 되고 만물이 충분히 길러지는 것을 말한다. 중용(中庸) 수장(首章)에 “중화(中和)를 지극히 하면 하늘과 땅도 자리를 정하고 만물도 길러진다.[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 하였다. 위의감주괴【威儀監酒蕢】흙을 쌓아서 만든 북. 부고(拊鼓)라고도 하며, 괴초(蒯草)를 묶어서 만든 괴부(蕢桴)라는 북채로 연주하였으므로 이른 말임. 위이【위이】깃발이 나부끼는 모양. 위이【委移】침착하고 서두르지 아니함. 물이 유유히 흘러함. 위이불맹【威而不猛】위엄(威嚴)은 있으나 결코 난폭하지 않음. 위인모이불충호【爲人謀而不忠乎】증자(曾子)가 행한 일일삼성(一日三省) 중 한 가지. 다른 사람을 위해서 일을 도모하는 데에 정성을 다하지 못한 점이 있었는가? 위자【魏紫】아름다운 모란꽃의 종명(種名)이다. 위자요황【魏紫姚黃】구양수(歐陽脩) 목단보(牡丹譜)에 “전사(錢思)가 말하기를 ‘사람들이 모란(牡丹)은 꽃 중의 왕이다.’ 하지만, 지금 요씨(姚氏)의 집에 있는 노랑꽃[姚黃]은 참으로 꽃 중의 왕이라 할 만하고 위씨(魏氏)의 집에 있는 자주꽃[魏紫]은 왕후라 할 만하다.’ 하였다.” 했다. 위정대부지【危鼎待扶持】쇠운(衰運)이야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사직(社稷)만은 무슨 일이 있어도 부지(扶持)해야 한다는 뜻이다. 위제이수자【委諸二竪子】병마(病魔)에 시달리게 한다는 뜻이다. 춘추 시대 진(晉) 나라 경공(景公)의 꿈에 질병이 두 명의 수자(竪子)로 변해 고황(膏肓) 사이로 숨어들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春秋左傳 成公 10年》 위제잉득평원류【魏齊仍得平原留】위제(魏齊)가 수가(須賈)의 말을 듣고 범저(范雎)를 때려 갈비가 부러지고 이도 부러뜨리고 하여 죽은 줄로만 알았었는데, 그후 범저는 장록(張祿)으로 변성명을 하고 정안평(鄭安平)의 주선으로 진 소왕(秦昭王)의 사자 왕계(王稽)를 따라 진 나라로 가서 재상이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위제는 겁이 나서 조(趙) 나라로 도망가 평원군(平原君) 집에 숨어 있다가 결국 진 소왕이 범저의 원한을 갚아 주기 위해 그의 머리통을 요구했던 바람에 끝내 죽고야 말았음. 《史記 卷79》 위족【衛足】춘추좌전(春秋左傳) 성공(成公) 십칠년(十七年)에 “제(齊) 나라 대부(大夫) 포견(鮑牽)이 발꿈치를 베는 형벌을 받자, 공자(孔子)는 이에 대하여 평하기를 ‘포장자(鮑莊子)의 지혜는 해바라기만도 못하다. 해바라기는 오히려 잎으로 태양을 가려 제 발인 뿌리 부분을 호위한다.’ 했다.” 하였다. 이 때문에 해바라기를 ‘발을 호위한다.[衛足]’고 이르게 되었다. 위족불여규【衛足不如葵】좌전(左傳) 성공(成公) 17년에 “경극(慶克)이 성맹자(聲孟子)와 간통한 사실을 안 포장자(鮑莊子)가 이를 국무자(國武子)에게 고하니 국무자가 경극을 꾸짖었다. 이를 안 경극의 부인이 국무자에게 참언을 올렸으므로 포장자가 다리를 끊기는 형벌을 받았는데, 이에 대하여 공자가 ‘포장자의 지혜는 해바라기만 못하다. 해바라기는 충성을 해도 오히려 그 뿌리[足]를 보호하니까. 했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