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이신【李紳】당 나라 사람. 그는 체구가 아주 작았기 때문에 단리(短李)라고도 한다. 재질이 뛰어나 등용되었고 뒤에 소인들의 모함으로 화란을 당할 뻔했으나 다시 정인(正人)들의 구호로 오랫동안 공명을 누렸다. 《唐書 卷一百七十三 李紳傳》

이신위마【以神爲馬】나를 변화시켜 엉덩이를 수레바퀴로 삼고, 신(神)을 말[馬]로 삼아서 내가 탈 것이다. 장자(莊子)

이신택【履信宅】백거이(白居易)가 원진(元稹) 사후에 장안(長安) 이신리(履信里)에 있던 그의 옛집을 방문하여 지은 ‘과원가이신택(過元家履信宅)’이라는 시가 있다. 《白樂天詩集 卷11》

이실【貳室】이실은 부궁(副宮)을 이르는데, 맹자(孟子) 만장하(萬章下)에 “순(舜)이 올라가서 제요(帝堯)를 뵈니, 제요가 순을 이실에 관사를 정해 주어 사위로 삼았다.” 한 데서 온 말이다.

이실직고【以實直告】사실로써 바르게 고하다. 있는 사실 그대로 바른 대로 고함

이심전심【以心傳心】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함. 깊고 깊은 이치는 말로는 다 풀 수 없고 마음속으로 깨달아야 함. 서로의 처지나 생각을 말을 통하지 않고서도 이해함. 불립문자(不立文字), 심심상인(心心相印), 교외별전(敎外別傳)

이십년전봉백리【二十年前逢百罹】시경(詩經) 왕풍(王風) 토원(兎爰)에서 온 말로, 시경의 본뜻은 소인들이 득세함으로써 정직한 사람이 화를 입는 것을 노래하였다.

이십번풍【二十番風】꽃소식인 이십사번 화신풍(二十四番花信風)을 말한다. 한 달이면 기(氣)가 둘, 후(候)가 여섯으로 소한(小寒)에서부터 곡우(穀雨)까지 4개월에 걸쳐 모두 24후로서 5일마다 한 후씩 계산하여 꽃 한 가지에 해당시키는 방법이다. 《焦氏筆乘》

이십사고【二十四考】당(唐) 나라 때의 명장 곽자의(郭子儀)가 중서령(中書令)으로 고시(考試)를 스물 네 번이나 주관했던 것을 말한다.

이십사교【二十四橋】중국의 화려한 양주(楊洲)에 24교(二十四橋)가 있다.

이십사교명월【二十四橋明月】양주(楊州)의 아름다움을 말하는 이십사교 밝은 달밤[二十四橋明月夜]이라는 시가 있다.

이십사번풍【二十四番風】이십사번 화신풍(二十四番花信風)을 말한 것이다. 바람이 꽃피는 시기에 맞추어 불어오는데, 한 달을 2기(氣) 6후(候)로 나누어, 소한(小寒) 때부터 곡우(穀雨)까지 4개월 동안에 8기 24후가 된다.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당 나라 사공도(司空圖)가 지은 글로서 시의 품격을 스물 넷으로 나누어 논한 것임.

이십팔괘【二十八卦】주역(周易) 64괘(六十四卦)의 3분의 1인 28괘의 괘자(卦字)를 구(句)마다 넣어서 28구(句)의 시를 지었는데, 구마다 괘자를 표시하였다.

이십팔수【二十八宿】옛날 중국에서 해, 달, 별 등의 소재를 밝히기 위해 황도(黃道)에 따라 천구(天球)를 스물여덟으로 구분한 것으로, 동쪽 분야의 각(角)ㆍ항(亢)ㆍ저(氐)ㆍ방(房)ㆍ심(心)ㆍ미(尾)ㆍ기(箕), 북쪽 분야의 두(斗)ㆍ우(牛)ㆍ여(女)ㆍ허(虛)ㆍ위(危)ㆍ실(室)ㆍ벽(壁), 서쪽 분야의 규(奎)ㆍ누(婁)ㆍ위(胃)ㆍ묘(昴)ㆍ필(畢)ㆍ자(觜)ㆍ삼(參), 남쪽 분야의 정(井)ㆍ귀(鬼)ㆍ유(柳)ㆍ성(星)ㆍ장(張)ㆍ익(翼)ㆍ진(軫) 등의 별자리를 가리킨다.

이십팔수체【二十八宿體】각(角), 항(亢), 저(氐), 방(房), 심(心), 미(尾), 기(箕), 두(斗), 우(牛), 여(女), 허(虛), 위(危), 실(室), 벽(壁), 규(奎), 누(婁), 위(胃), 묘(昴), 필(畢), 자(觜), 삼(參), 정(井), 귀(鬼), 유(柳), 성(星), 장(張), 익(翼), 진(軫) 등 이십팔수의 글자를 한 구에 한 자씩 넣어서 짓는 시를 말한다.

이씨산방【李氏山房】송(宋) 나라 때 이상(李常)이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 만 권의 장서를 쌓아 두고는 이씨산방이라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