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자작지얼【自作之孼】자기가 저지른 일로 인해 생기게 된 재앙. 자승자박(自繩自縛). 자장【子長】사기(史記)의 저자인 한(漢) 나라 사마천(司馬遷)의 자임. 사마천은 일찍이 20세부터 중국 천하를 두루 유람하여 식견을 넓히었다. 《史記 卷一百三十》 자장【柘漿】자(柘)는 감자(甘蔗)의 뜻으로, 자장은 감자의 즙(汁)을 가리킨다. 자장【子將】후한 때 인물(人物) 평론을 잘하기로 이름이 높았던 허소(許劭)의 자이다. 자장격지【自將擊之】남을 시키지 않고 몸소 군사를 거느리고 나가 싸움. 자장원유【子長遠遊】자장은 사기(史記)를 지은 사마천(司馬遷)의 자이다. 사마천은 천성이 유람하기를 좋아하여 일찍이 남쪽으로 강수(江水), 회수(淮水)를 유람하고 회계(會稽)로 올라가서 우혈(禹穴)을 보고 구의산(九疑山)을 보았으며, 북쪽으로는 문수(汶水)와 사수(泗水)를 건너 제로(齊魯) 지방을 거쳐 양(梁)과 초(楚)지방까지 두루 유람하였다. 이때 얻은 산천에 대한 지식으로 인해 명문장가가 되었다고 한다. 《史記 卷一百三十 太史公自序》 자장유【子長遊】견문을 넓히기 위해 멀리 유람하는 것을 말한다. 자장은 사기(史記)를 지은 사마천(司馬遷)의 자(字)이다. 사마천은 천성이 유람하기를 좋아하여 일찍이 남쪽으로 강수(江水), 회수(淮水)를 유람하고 회계(會稽)로 올라가서 우혈(禹穴)을 보고 구의산(九疑山)을 보았으며, 북쪽으로는 문수(汶水)와 사수(泗水)를 건너 제(齊)와 노(魯) 지방을 거쳐 양(梁)과 초(楚) 지방까지 두루 유람하였다. 이때 얻은 산천에 대한 지식으로 인해 명문장가가 되었다고 한다. 《史記 卷130 太史公自序》 자장포궤【子張鋪几】예기(禮記) 중니연거(仲尼燕居)에 “사(師)야, 너는 꼭 궤연(几筵)을 준비하고 나서 수작(酬酌)해야만 예(禮)가 된다고 여기느냐.” 한 말을 빗대어 인용한 것. 사는 자장(子張)의 이름. 자전광【武庫紫電光】붉은 번갯빛이란 바로 곧은 절조를 비유한 것으로, 당(唐) 나라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 “자줏빛 번개와 맑은 서릿발 같은 절조는 왕 장군의 무고로다.[紫電淸霜王將軍之武庫]” 한 데서 온 말이다. 자전무고【紫電武庫】당(唐) 나라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 “솟아오르는 교룡 같고 날아오르는 봉황과 같나니 그 글은 맹 학사(孟學士)와 같은 문장의 대가에 비길 만하고, 자줏빛 번개 같고 차가운 서릿발과 같나니 그 절조는 장군 왕승변(王僧辯)의 삼엄한 무기고에 비길 만하다.[騰蛟起鳳 孟學士之訶宗 紫電淸霜 王將軍之武庫]”라는 말이 나온다. 자정【紫淸】천상으로, 신선이 사는 곳을 뜻한다. 자주즙용【資舟楫用】서경(書經) 상서(商書) 열명상(說命上)에 “큰 물을 건너게 되면 너를 큰 배로 쓰겠고 큰 가뭄이 들면 너를 써서 장마비를 내리게 하리라.”는 대목에서 인용된 것으로, 천자를 보좌하는 대신에 비유하여 쓰는 말이다. 자주지보【子州支父】장자(莊子) 양왕(讓王)에 “요 임금이 자주지보에게 천하를 물려주려고 하니, 자주지보가 ‘나를 천자(天子)로 삼으려는 것은 좋습니다. 그러나 내가 마침 우울병이 있어서 지금 막 그것을 치료하려 합니다. 그래서 천하를 다스릴 겨를이 없습니다.’ 하고 사양했다.” 하였다. 자죽【慈竹】대나무 이름으로, 의죽(義竹)ㆍ자효죽(慈孝竹)ㆍ자모죽(子母竹)이라고도 한다. 사계절 죽순이 나오고 새대와 묵은대가 빽빽하게 어우러져 노소(老少)가 서로 의지한 것 같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자중지란【自中之亂】자기 안에서의 어지러움. 같은 패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제 편끼리 하는 다툼.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