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장물【長物】장물(長物)은 두 개 이상의 여유 있는 물건을 말한다. 진(晉) 나라 왕공(王恭)이 숙부인 왕침(王忱)의 요청을 받고 단 하나밖에 없는 돗자리를 주었는데, 나중에 그 사실을 알고 왕침이 미안하게 생각하자, “숙부께서 나를 잘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 것일 뿐입니다. 저는 원래 장물(長物)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라고 대답한 고사가 유명하다.《世說新語 德行》 소식(蘇軾)의 시에 “장물을 쌓아 두는 것은 천진한 본심을 해치는 일, 늙어 시골에 돌아갈 건 오직 이 한 몸뚱이뿐.[平生長物擾天眞 老去歸田只此身]”이라는 표현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25 送竹 與謝秀才》

장미로【薔薇露】장미꽃으로 만든 향수. 유종원(柳宗元)이, 한유(韓愈)가 보내온 시를 읽으려면서 우선 장미꽃 향수로 손을 씻고나서 펴보았다고 한다. 《雲仙雜記》

장미산【薔薇山】충주(忠州) 서쪽 28리 지점에 있는 산.

장박망【張博望】한 무제(漢武帝) 때 박망후(博望侯)에 봉해진 장건(張騫)을 가리킨다. 황제의 명을 받고 대하(大夏)에 사신으로 나가 황하(黃河)의 근원을 찾았는데, 이때 배를 타고[乘槎] 은하수로 올라가 견우(牽牛)와 직녀(織女)를 만났다는 전설에 기인하여 그를 선사객(仙槎客)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장발【壯髮】이마에까지 내려와서 머리털이 난 것으로 제왕의 기상을 갖춘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원제(元帝)가 장발이라서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으려고 두건으로 감추었던 고사가 있다. 《輟耕錄 巾幘考》

장보【章甫】공자(孔子)가 썼다는 갓 이름.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송(宋) 나라 어떤 사람이 장보관을 팔기 위해 월(越) 나라에 갔으나 월 나라 사람들은 모두 머리를 깎고 갓을 쓰지 않았던 까닭에 아무 소용이 없었다.” 하였다.

장보관【章甫冠】상(商) 나라 때 쓰던 모자로, 흔히 선비들이 쓰는 관을 일컫는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송(宋) 나라 사람 중에 장보관을 사 가지고 월(越) 나라로 팔러 간 사람이 있었는데, 월 나라 사람들은 모두 단발(斷髮)을 하고 문신(文身)을 새겼으므로 소용이 없었다.” 하였다.

장본【獐本】술그릇의 하나로 모양이 도고(鼗鼓)와 같이 생겼는데 배[腹]에 입이 있다.

장봉【藏鋒】날카로운 칼끝을 감추다.

장봉의마【莊蓬倚麻】쑥대가 삼 속에서 자라면 자연히 곧아진다는 뜻이다. 순자(荀子) 권학(勸學)에 “쑥대가 삼 속에서 자라면 자연히 곧아지고, 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면 똑같이 검어진다.”고 하였다.

장부【醬瓿】쓸모없는 저서(著書)는 장독이나 덮는다는 말로, 곧 서투르게 지은 시문(詩文)을 버린다는 뜻이다. 한서(漢書) 양웅전(揚雄傳) 찬(贊)에 “후파(侯芭)가 늘 웅에게 태을법언(太乙法言)을 배웠다. 유흠(劉欽)이 그것을 보고 웅에게 ‘부질없이 괴로울 뿐이다. 아마도 후세 사람들이 장독이나 덮으려 할 것이다.’ 했다.”는 말이 있다.

장부계【壯夫戒】양웅(揚雄)의 법언(法言) 오자(吾子)에, “동자들 잔재주 부리는 짓을 장부(壯夫)라면 하지 않는다.” 하였음.

장부일언중천금【丈夫一言重千金】장부의 한 마디는 천금보다 무겁다.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