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진초【眞草】해서(楷書)와 초서(草書). 진초경【晉楚卿】국가 운명에 관하여 무관심하고 무책임함. 진(晉)과 초(楚)는 전국 시대 칠국(七國)중에서 가장 부강(富强)한 나라였으므로 각국의 유환자(遊宦者)가 많았다. 그러나 그들은 대개가 자기의 영달(榮達)을 추구하는 객경(客卿)들이었기에 그들의 출처 거취는 그 나라 국익(國益)에 관계없이 매우 임의적이었기 때문에 한 말임. 진초대흥【晉楚代興】진(晉) 나라와 초(楚) 나라는 모두 패업(霸業)을 이룩한 강대국들인데, 국어(國語) 정어(鄭語)에 “평왕 말년에 이르러 진, 진, 제, 초가 교대로 일어났다.[及平王之末 而秦晉齊楚代興]”라는 말이 나온다. 진초불납【秦初不臘】진 혜문군(秦惠文君) 12년에 처음으로 납제(臘祭)를 거행하여 그 후로 여러 대(代)를 이어 오다가 진 시황(秦始皇) 31년 12월에 이르러서는 이름을 가평(嘉平)으로 바꾸었다. 《史記 秦本記, 秦始皇本記》 진춘추【晋春秋】진(晋) 나라 때 손성(孫盛)이 찬(撰)한 진양추(晋陽秋)를 이르는데, 말이 바르고 사리가 정당하여 대단히 양사(良史)로 일컬어졌다 한다. 《晋書 卷八十二》 진췌【秦贅】가난한 남자가 데릴사위로 처가살이하는 것을 이름. 이 풍속이 진(秦) 나라에서 시작되었으므로 이른 말인데, 한서(漢書) 가의전(賈誼傳)에 “진 나라 사람들은 가난한 집 자식이 장성하면 데릴사위로 나간다.” 하였다. 진췌【殄瘁】병들고 시달리어 망함. 시경(詩經) 대아 첨앙(瞻卬)에 “어진 신하가 가고 없으니, 나라는 망하겠네.[人之云亡 邦國殄瘁]" 한 데서 온 말이다. 진췌시【殄瘁詩】아까운 인물의 죽음을 말할 때 쓰는 표현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첨앙(瞻卬)에 “현인이 사라짐이여, 나라가 병들어 야위게 되었도다.[人之云亡 邦國殄瘁]”라는 구절이 있다. 진췌탄【殄瘁歎】훌륭한 사람이 죽어서 나라가 병들 것을 탄식하는 것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첨앙(瞻仰)에, “훌륭한 사람이 없으매 나라가 끊기고 병이 들리라[人之云亡 邦國殄瘁].” 하였다. 진췌한【殄瘁恨】현인이 사라지면서 나라의 형세 또한 기울어지는 한스러움을 말한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첨앙(瞻卬)에 “人之云亡 邦國殄瘁”라 하였다. 진침난위제【陳諶難爲弟】진침은 후한(後漢) 때 사람으로, 형 기(紀)와 함께 명망이 높았다. 기의 아들 군(群)과 그의 아들 충(忠)이 서로 자기 아버지의 공덕이 더 높다고 우기다가 결정을 짓지 못하고 조부 식(寔)에게 묻자, “원방(元方 기의 자)은 형 되기 어렵고 계방(季方 침의 자)은 아우 되기 어렵다.” 대답하였다. 진탑【陳榻】진번(陳蕃)이 마련했던 자리를 말한다. 후한(後漢) 때 진번은 예장태수(豫章太守)로 있으면서 빈객(賓客)을 접견하지 않았는데, 오직 서치(徐穉)가 찾아오면 특별히 자리 하나를 마련했다가 깔아주고 그가 떠나면 자리를 걷어 벽에 매달아 두었는데, 서치가 오지 않으면 먼지가 수북히 쌓이도록 그냥 놔 두었다는[穉不至則灰塵積于榻] 고사가 전해 온다. 후세에 특별히 손님을 대우하는 것을 하탑(下榻)이라고 하였다. 《後漢書 徐穉傳》 진탑불요현【陳榻不要懸】빈객을 공경히 대우함을 비유한 말. 후한 때 진번이 예장태수(豫章太守)로 있으면서 다른 빈객은 전혀 접대하지 않았고, 오직 서치(徐穉)가 오면 특별히 걸상 하나를 비치하여 접대하고 그가 간 뒤에는 그 걸상을 걸어놓았던 데서 온 말이다. 진탕【震盪】떨리고 울렁거림. 진택선【震澤仙】술 좋아하는 호걸. 진택(震澤)은 태호(太湖)를 말하는데, 당(唐)의 장욱(張旭)이 술을 좋아하여 당시 사람들이 그를 일러, 태호정(太湖精)이라고 하였음. 《이기(李頎)의 증장욱(贈張旭)》 진퇴격【進退格】일종의 율시 격식으로 진퇴운(進退韻)이라고도 한다. 한 수의 시에 두 개의 서로 비슷한 운부(韻部)인 운자(韻字)를 가지고 격구(隔句)로 압운하여 일진일퇴(一進一退)를 거듭하므로 이렇게 부르는 것이다. 예컨대 1구(句)와 3구에서는 우운(虞韻)을 쓰고 2구와 4구에서는 어운(魚韻)을 쓰는 식이다. 진퇴양난【進退兩難】나아가는 것과 물러나는 것이 둘 다 어려움. 이러기도 어렵고 저러기도 어려운 매우 난처한 처지에 놓여 있음. 진퇴유곡【進退維谷】앞으로 나가고 뒤로 물러서는데 오직 골짜기 임. 궁지에 묶여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음. 앞으로 나아갈 수도 뒤로 물러날 수도 없이 궁지에 빠져 꼼짝 못함. 진퇴체【進退體】율시(律詩)에서 운자(韻字)를 쓰는 격식 가운데 하나로, 한 수의 시에서 두 개의 비슷한 운자를 압운(押韻)으로 하여 격구(隔句)마다 운자를 전환하는 시체(詩體)를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