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질어【叱馭】마부를 다그쳐 말을 빨리 몰게 한다는 뜻으로 국은(國恩)에 보답하기 위해 험한 길도 주저하지 않고 내닫는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왕양(王陽)이 익주자사(益州刺史)로 부임할 때 험난한 사천성(四川省) 공래산(邛郲山)의 구절판(九折阪)을 넘으면서 혹시 몸을 상해 어버이에게 누를 끼칠까 염려하여 그냥 돌아왔는데, 뒤에 왕존(王尊)이 같은 일로 이 고개를 넘으면서 마부를 꾸짖어[叱馭] 말하기를 “왕양(王陽)은 효자라서 자기 몸을 아꼈지만, 나는 충신이니 말을 빨리 몰아라.”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漢書 王尊傳》

질어경험조【叱馭經險阻】한(漢)나라 왕량(王良)이 익주 자사(刺史)로 가다가 검각산(釰閣山) 험한 곳에 이르러 말을 돌리며, “어찌 부모의 끼쳐 준 몸으로 이 험한 곳을 지나랴.” 하였다. 그 뒤에 왕존(王尊)이 익주 자사로 가다가 그 곳에 이르자 어자(御者)가 말하기를, “여기가 왕량이 말을 돌린 곳이요.” 하니, 왕존이 어자를 꾸짖으며, “왕량은 부모를 위한 효자(孝子)가 되었는데, 왕존은 나라를 위한 충신(忠臣)이 될 수 없으랴.” 하고, 그 곳을 통과하여 부임(赴任)하였다.

질어공판로【叱馭邛阪路】한(漢) 나라 왕존(王尊)이 익주 자사(益州刺史)에 임명되어 험하기로 유명한 공래(邛郲) 구절판(九折阪)을 지나갈 때, 마부를 꾸짖으며[叱馭] “옛날 왕양(王陽)은 효자라서 주저했지만, 나는 충신이니 빨리 말을 몰아라.”라고 했던 고사가 전한다. 《漢書 卷76 王尊傳》

질어심【叱馭心】충신의 마음을 말한다. 국은(國恩)에 보답하기 위해 험한 길도 주저하지 않고 내닫는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왕양(王陽)이 험난한 구절판(九折阪)을 넘으면서 혹시 몸을 상해 어버이에게 누를 끼칠까 염려하여 그냥 돌아왔는데, 뒤에 왕존(王尊)이 이 고개를 넘으면서 마부를 꾸짖어[叱馭] 말하기를 “빨리 몰아라. 왕양은 효자요, 왕존은 충신이니라.”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漢書 王尊傳》

질전【疾顚】국어(國語) 주어 하(周語下)에, 지위가 높으면 순식간에 엎어진다[高位寔疾顚]는 말이 있다.

질종【秩宗】예부(禮部)의 별칭이다.

질지【郅支】흉노 선우(匈奴單于)의 명호인데, 그는 한 원제(漢元帝) 때 한 나라 사신(使臣)을 죽이고 반항하다가 장탕(張湯) 등에 의해 참살(斬殺)당하였다.

질지불난착【郅支不難斮】한(漢)나라 부개자(傅介子)가 서역(西域)의 질지왕(郅支王)의 목을 베었다.

질질【挃挃】거두어들이기 위하여 곡식을 베는 소리

질질【叱叱】꾸짖는 소리, 혀를 차는 소리, 소나 말을 모는 소리, 사십 구

질청【秩廳】아전들이 모여서 사무를 보는 곳인데 성청(星廳)의 별칭임.

질출배척【嫉逐排斥】시기하고 미워하여 물리침.

질풍노도【疾風怒濤】세차게 부는 빠른 바람(폭풍暴風)과 성난 파도. 이유 없는 반항기의 불안정한 상태의 청소년기를 비유하기도 함

질풍지경초【疾風知勁草】바람이 세게 불어야 강한 풀임을 안다. 위급하거나 곤란한 경우를 당해봐야 의지과 지조가 굳은 사람을 알 수 있게 됨을 비유하는 말. 세한연후지송백(歲寒然後知松栢).

짐심【斟尋】나라이름. 한착의 아들 포악한 요(澆)가 폭력으로써 짐심과 싸워 그 배를 뒤집어 이를 패하고 천하를 얻었다.

짐치【斟雉】꿩국을 잘 요리하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