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양곽【羊鞹】자신의 재능이 부족했다고 겸사한 말로, 자공(子貢)의 말에 “문채는 바탕과 같고 바탕은 문채와 같아야 하는 것이니, 범이나 표범의 가죽도 털을 제거하면 개나 염소의 가죽과 같다.[文猶質也 質猶文也 虎豹之鞹猶犬羊之鞹]" 한 데서 온 말이다. 곽(鞹)은 즉 털을 제거한 가죽을 말한다. 《論語 顔淵》 양관【兩館】홍문관과 예문관의 병칭이다. 양관【楊綰】당(唐) 나라 대종(代宗) 때의 예부 시랑으로 진사(進士)ㆍ명경과(明經科)를 폐지하고 효렴(孝廉)의 제도를 도입할 것을 주장하였다. 《新唐書 卷44 選擧志 上》 양관곡【陽關曲】이별을 슬퍼하는 노래. 양관무고인【陽關無故人】양관은 중국 감숙(甘肅) 돈황현(敦煌縣) 서남쪽에 있는 관문이름으로, 고대에 서역(西域)과 통하는 험한 길이다. 왕우승집(王右丞集) 권5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의 “권하노니 그대여 한 잔 더 드시게나 서쪽 양관 나서면 정겨운 벗 없으리[勸君更盡一杯酒 西出陽關無故人].”에서 나온 것이다. 양관삼첩【陽關三疊】양관(陽關)은 곡(曲)의 이름인데, 당(唐) 나라 왕유(王維)의 시에, “渭城朝雨浥輕塵 客舍靑靑柳色新 勸君更進一盃酒 西出陽關無故人”이란 것을 뒷사람이 악부(樂府)에 편입시켜 송별의 곡으로 삼았다. 이를 양관곡(陽關曲)이라고도 하는데 이 양관곡을 삼첩(三疊)하는 것을 말한다. 삼첩이란 시(詩)를 창(唱)할 때에 “읍경진(浥輕塵), 읍경진, 조양읍경진(朝雨浥輕塵), 조양읍경진, 조양읍경진, 위성조양읍경진(渭城朝雨浥輕塵).”이런 식으로 4구(句)를 창하는 것이다. 이 시의 본래의 제목은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임. 양관삼첩가【陽關三疊歌】금곡(琴曲) 이름으로, 당 나라 왕유(王維)의 시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의 가사를 주된 내용으로 한 곡인데, 이별의 정을 노래한 곡이며, 원시(原詩)를 세 차례 반복하여 읊으므로 삼첩가라고 한다. 후대에는 범범하게 이별의 노래를 양관곡(陽關曲)이라고도 한다. 양관삼첩가【陽關三疊歌】왕유(王維)의 작별하는 시에, “그대여, 한 잔술 다시 권하노니, 서쪽으로 양관(陽關)에 나가면 고인(古人)이 없느니.” 하였다. 양광피발【佯狂被髮】머리를 풀어헤치고 거짓 미치광이 노릇을 함. 은(殷) 나라가 망해갈 때 기자(箕子)가 그랬다고 함. 《史記 宋世家》 양교【陽橋】설원이정(說苑理政)에 의하면, 양교(陽橋)라는 물고기는 생김새가 얇고 맛이 좋지 않다고 하였다. 양교【楊喬】후한 환제(後漢桓帝) 때의 정치가. 자는 성달(聖達). 환제가 그를 부마(駙馬)로 삼으려 했으나, 끝내 듣지 않고 굶어 죽었음. 벼슬이 상서(尙書)에 이름. 양구【陽九】술수가(術數家)의 설에서 4617년을 일원(一元)이라 하는데, 시작되어 106년이 될 때까지의 사이에 9년의 한재(旱災)가 드는바, 이를 ‘양구’라 한다. 또 태을수(太乙數)에서 456년을 양구, 288년을 백륙이라고 하는데, 도가에서는 하늘의 재앙을 양구, 땅의 붕괴를 백륙이라 한다. 곧 험난한 세상을 지칭하는 것이다. 양구【羊裘】양구는 양의 가죽으로 만든 갖옷인데, 후한(後漢) 때 은사 엄광(嚴光)이 양구를 입고 늪에서 낚시질하며 은거(隱居)했던 데서 온 말이다. 전하여 은사의 옷을 뜻한다. 《後漢書 逸民傳 嚴光》 양구【羊求】양구는 한 애제(漢哀帝)때 단정하고 청렴하기로 이름난 양중(羊仲)과 구중(求仲)의 병칭(竝稱)이다. 당시에 그들의 벗 장후(蔣詡)가 왕망(王莽)이 섭정을 하자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와 은거하면서 외부와 통하는 길 세 가닥을 터놓고 하나는 자기가, 나머지는 그들이 각기 다니는 길로 삼아 서로 왕래하며 살았다 한다. 삼보결록(三輔決錄)에 “장허(蔣詡)……집 가운데 세 오솔길에서 양중과 구중만이 그를 따라 놀았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