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양구수견자릉피【羊裘須遣子陵披】엄자릉(嚴子陵)처럼 숨는다는 뜻. 후한서(後漢書) 嚴光傳에 “황제가 어려서 엄광과 함께 배웠으므로 황제가 되매 물색(物色)으로 찾으니 얼마 후 제국(齊國) 땅에 어느 남자가 염소 가죽옷을 입고 못가에서 낚시한다고 아뢰는 사람이 있었다.” 하였다. 양구일백륙【陽九一百六】술수가(術數家)의 설에서 4617년을 일원(一元)이라 하는데, 시작되어 106년이 될 때까지의 사이에 9년의 한재(旱災)가 드는바, 이를 ‘양구’라 한다. 또 태을수(太乙數)에서 456년을 양구, 288년을 백륙이라고 하는데, 도가에서는 하늘의 재앙을 양구, 땅의 붕괴를 백륙이라 한다. 곧 험난한 세상을 지칭하는 것이다. 양구자【羊裘子】염소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은 사람. 한(漢)의 엄광(嚴光)을 말한 것으로 엄광은 자기 학우(學友)였던 무제(武帝)가 제위(帝位)에 오르자 변성명을 하고 세상에 숨어 양피로 된 옷을 입고 여울 가에서 고기를 낚으며 일생을 마쳤음. 《漢書 嚴光傳》 양구재액【陽九災厄】1백 6년마다 찾아 오는 재액으로서 기막힌 불운(不運)을 뜻한다. 양군정【讓君情】고죽군(孤竹君)이 작은아들 숙제(叔齊)를 후계자로 정하고 죽은 뒤에, 숙제가 형 백이(伯夷)에게 그 자리를 사양하였으나, 백이가 아버지의 명령을 존중하여 도망치므로 숙제 역시 뒤따라 도망쳐버린 일을 말한다. 양귀【良貴】본연(本然)의 선(善)을 말한다. 맹자(孟子) 고자 상(告子上)에, “관작(官爵)은 인귀(人貴)이고, 덕은 본래 타고난 귀함[良貴]이다.” 하였다. 양귀【良貴】천부(天賦)의 덕성(德性)인 양심을 말함.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사람들이 귀히 여기는 것은 양귀(良貴)가 아니다. 그러나 조맹(趙孟)이 귀하게 해준 것은 그가 또한 천하게 할 수도 있다.” 한 데서 온 말인데, 조맹은 진(晉) 나라의 경(卿)으로서 작록(爵祿)을 가지고 사람을 귀하게도 천하게도 할 수가 있으나, 본연의 양심인 이 양귀는 누구도 마음대로 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孟子 告子上》 양귀【良貴】하늘로부터 받은 벼슬을 가리키는데, 인(仁)ㆍ의(義)ㆍ충(忠)ㆍ신(信) 등은 하늘로부터 받은 천작(天爵)이고, 공(公)ㆍ경(卿)ㆍ대부(大夫) 등은 인간이 만든 인작(人爵)인데, 양귀는 천작을 말한다. 《孟子 告子上》 양금택목【良禽擇木】어진 사람은 임금을 잘 가려서 섬긴다는 말이다. 춘추좌전(春秋左傳) 애공(哀公) 11년에 “새가 나무를 가려 앉는 법, 나무가 어찌 새를 가리랴.[鳥則擇木 木豈能擇鳥]”라는 말이 있다. 양기【梁冀】동한(東漢) 때의 권신(權臣). 양기는 순제(順帝) 때 양 태후(梁太后)의 오빠로서 권력을 잡았으며, 순제가 죽은 뒤 질제(質帝)를 세웠다가, 질제가 미워하자 그를 독살한 다음 환제(桓帝)를 세웠다. 그런데 환제가 자라서는 양기가 발호하는 것을 미워하여 양기의 권력을 빼앗자 자살하였다. 《後漢書 卷34 梁統列傳 梁冀》 양기【楊基】자는 맹재(孟載), 호는 미암(眉菴). 시문과 서화에 능하였다. 양기【兩岐】한 나라 장감(張堪)이 어양 태수(漁陽太守)로 가서 백성에게 농종(農種)을 가르쳐 해마다 풍년이 드니 백성들이 즐거워서 노래하기를 “桑無附枝 麥穗兩岐 張君爲政 樂不可支" 라고 하였다. 《後漢書 張堪傳》 양기설【養氣說】맹자(孟子) 공손추 상(公孫丑上)에, “나는 남의 말을 잘 알며[知言] 나의 호연지기를 잘 기른다.[我知言 我善養吾浩然之氣]”라고 보임. 양기장【養氣章】맹자(孟子) 공손추 상(公孫丑上)에 맹자가 “나는 남의 말을 잘 알며[知言] 나의 호연지기를 잘 기른다.[我知言 我善養吾浩然之氣]”라고 한 말을 가리킴.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