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양미【揚眉】양미는 두 눈썹을 갑자기 치켜올리는 것, 선종(禪宗)에서 학인을 제접(提接)할 때 쓰는 일종의 선기(禪機)이다. 양미목격【揚眉目擊】공자(孔子)가 온백설자(溫伯雪子)를 만나서 말을 하지 않으므로, 자로(子路)가 묻기를, “온백설자를 만난 지가 오래인데, 만나서는 말씀이 없으시니 무슨 까닭입니까.” 하니, 답하기를, “이런 사람은 만난 것만으로도 도(道)가 있는데, 소리를 내어 말을 할 필요가 없다.” 하였다. 양반아【楊叛兒】이 노래의 옛 가사는, 남제(南齊) 때 여무(女巫)의 아들 양민(楊旻)이 자기 어미를 따라 궁중(宮中)을 드나들다가 하후(何后)에게 총애를 받은 사실을 기롱한 동요(童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 곡명은 양파아(楊婆兒)였는데, 말이 와전되어 양반아가 된 것이라 한다 양방사【兩牓士】당나라 양사복(楊嗣復)이 과거에 시관(試官)이 되었을 때에, 마침 그의 아버지 양오릉(楊於陵)이 지방관(地方官)으로 입조(入朝)하였으므로, 급제한 문생(門生)들을 거느리고 나가서 영접하고 그의 집에서 잔치를 하는데, 오릉은 당상(堂上)에 앉고 사복(嗣復)은 여러 문생과 함께 양편에 앉았었다. 전일에 오릉이 절동관찰사(浙東觀察使) 이사명(李師命)을 급제시킨 일이 있었는데 이 때에 그가 같이 있었다. 사람들이 양씨(楊氏)의 상하 문생(門生)이라 칭하였다. 양백화【楊白華】의고악부(擬古樂府)임. 양백화는 악부 잡곡가사(雜曲歌辭)의 하나인데, 위(魏) 나라 호태후(胡太后)가 명장(名將) 양대안(楊大眼)의 아들 양백화와 가까이 하며 정을 통했는데, 양백화가 후환을 두려워하여 양(梁) 나라에 항복해 가버리므로, 그를 추모하며 노래를 지은 뒤 밤낮으로 궁녀들을 시켜 부르게 하였다 한다. 양번【襄樊】옛날 주(周) 나라 서울 안의 읍 이름. 주 양왕(周襄王) 때 그 땅을 진 문공(晉文公)에게 하사하고 이름을 양번(襄樊)이라 하였음. 양별【梁別】한(漢) 나라 이릉(李陵)이 소무(蘇武)에게 준 송별시에, “손을 잡고 하량에 올라간다[攜手上河梁].” 했는데, 하량은 하수의 다리[橋]이다. 양보【梁甫】양보음(梁甫吟)이라고도 하는데, 악부(樂府)의 서로 화답하는 가사(歌辭)이다. 옛날 증자(曾子)가 태산 아래서 밭 갈다가 눈이 많이 쌓여 몇 달을 두고 집에 갈 수가 없자 부모가 생각나서 지었다고도 하고, 혹자는 제갈량(諸葛亮)이 지은 것이라고도 하는데, 사람이 죽어 양보산(梁甫山)에 장례하였으므로, 장가(葬歌)를 뜻하게 되었다. 《樂府詩集 相和歌辭 禁調曲》 양보음【梁甫吟】악부(樂府) 상화가사(相和歌辭)의 초조곡(楚調曲)의 하나로 만가(挽歌)이다. 촉(蜀)의 제갈량(諸葛亮)이 아버지 현(玄)이 죽자 남양(南陽)에서 몸소 밭갈이를 하며 양보음을 즐겨 불렀다는 데서 은사의 고상한 노래라는 뜻으로 전용된다. 양보음【梁甫吟】악부(樂府)의 서로 화답하는 가사(歌辭)이다. 옛날 증자(曾子)가 태산 아래서 밭 갈다가 눈이 많이 쌓여 몇 달을 두고 집에 갈 수가 없자 부모가 생각나서 지었다고도 하고, 혹자는 제갈량(諸葛亮)이 지은 것이라고도 하는데, 사람이 죽어 양보산(梁甫山)에 장례하였으므로, 장가(葬歌)를 뜻하게 되었다. 《樂府詩集 相和歌辭 禁調曲》 양보음【梁甫吟】제갈량이 은거할 때 즐겨 노래하였다는 악부(樂府)의 곡명. 양보는 태산(泰山) 아래에 있는 작은 산으로 본디 그곳에 묻힌 사람들을 슬퍼하는 만가(挽歌)였는데, 후세에 와서는 불우한 처지를 읊은 처량한 시작품을 가리킨다. 양보지【楊補之】청 나라 강서(江西) 청강(淸江) 사람으로 자는 무보(無補)요 호는 고농 (古農)인데 그림을 잘 그렸고 특히 매화로 유명하였음. 왕사정(王士禎)의 시에 “布衣曾 說楊無補 筆墨風流又一時" 라 하였음. 양복월【楊僕鉞】장수가 되었음을 뜻함. 한 무제(漢武帝) 때에 양복(楊僕)이 누선장군(樓船將軍)이 되어 남월(南越)을 정벌하여 공을 세웠던 데서 온 말이다. 양봉래【楊蓬萊】조선 중기의 서가(書家)로 호가 봉래인 양사언(楊士彦)을 가리키는데, 그는 문재(文才)도 뛰어났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