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어어【圉圉】피로하여 파리한 모양, 고생하여 펴지 못하는 모양

어언무미【語言無味】책을 읽지 않는 사람은 말에도 맛이 없다.

어연【魚鳶】솔개가 하늘 높이 날고 고기가 물에서 활발하게 노는 것은, 각기 그 환경에서 스스로 즐거워하는 것이니, 학문하는 사람도 각자 그 경지에서 임의로 즐길 수 있는 것은 높은 지경에 도달하지 않으면 될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한록(旱麓)에 “솔개 날아 하늘에 이르고 물고기 못 속에서 뛰논다.[鳶飛戾天 魚躍于淵]" 했는데, 중용(中庸)에서 인용하여 “위와 아래에 이치가 나타남이다.” 하였다.

어염제기【魚鹽齊氣】예로부터 산동(山東) 지방의 제(齊) 나라는 물고기와 소금 등 해산물이 풍부하기로 유명하였으므로, ‘어염지지(魚鹽之地)’로 일컬어져 왔다. 《史記 卷32 齊太公世家, 卷69 蘇秦列傳, 卷70 張儀列傳》

어옹허부무릉춘【漁翁虛負武陵春】진(晉) 나라 때에 무릉 땅의 한 고기잡이꾼이 어느 산골의 시내로 고기를 잡으러 들어가다가 복사꽃이 만발한 지방을 발견하였는데, 그곳은 이 세상과는 상관없는 몇 백 년 전에 피난간 사람들만이 사는 곳이라 하였다. 그 고기잡이꾼은 그곳에서 돌아왔다. 다시 그곳을 찾으려 하였으나 다시는 찾지 못하였다 한다. 세상에서는 그곳을 무릉도원(武陵桃源)이라 하여 신선이 있는 곳이라고 생각한다.

어원례【御元禮】원례는 후한(後漢) 때의 고사(高士)인 이응(李膺)의 자인데, 이응은 명성이 천하에 드높아서 천하의 선비들이 모두 그를 사모하였으므로, 그 당시 명사(名士)였던 순상(荀爽)이 일찍이 이응을 찾아가 뵙고 인하여 그의 어자가 되고는 집에 돌아가서 기뻐하여 말하기를, “오늘에야 이군(李君)의 어자가 될 수 있었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六十七》

어유부중【魚遊釜中】고기가 솥 속에서 논다. 목숨이 붙어 있다 할지라도 오래 가지 못할 것을 비유하는 말. 부중지어(釜中之魚)

어읍【於邑】원망과 수심에 잠김. 흥분을 이기지 못함.

어읍【箊邑】초목이 마르고 시듦.

어이기상사【魚以寄相思】옛날 어떤 사람이 먼 곳에서 잉어 두 마리를 보내 왔는데 그 속에서 서한을 발견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애틋한 그리움을 정인(情人)에게 부치는 것을 의미한다. 《古樂府 飮馬長城窟行》

어이명【御李名】어진 사람과 함께 놀았다는 뜻. 후한(後漢)의 순상(荀爽)이 이응(李膺)의 어자(御者) 노릇 한 것을 즐겁게 여겨 자랑한 데서 온 말. 《後漢書 李膺傳》

어인【圉人】말을 기르는 사람, 또는 말을 기르는 것을 맡은 벼슬아치를 말한다.

어인【於牣】문왕(文王)이 연못의 고기를 읊은 시(詩)에, “가득히 고기가 뛰는구나[於牣魚躍].” 하였다. 시경(詩經) 영대(靈臺)

어인【圄人】주대(周代)에 말[馬]을 기르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아치이다. 마부(馬夫).

어인쌍획【漁人雙獲】둘이 서로 다투는 중에 곁에 있던 제삼자가 이익을 차지하는 것을 말한다.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에, “이번에 신이 올 적에 역수(易水)를 지나면서 보니, 조개가 물가로 나오자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먹으려고 하니, 조개가 껍질을 닫아 도요새의 부리를 꽉 물었습니다. 이에 도요새가 조개에게 말하기를, ‘오늘도 비가 안 오고 내일도 비가 안 오면 조개 너는 죽을 것이다.’ 하니, 조개 역시 도요새에게 말하기를, ‘오늘도 빠져나가지 못하고 내일도 빠져나가지 못하면 도요새 너는 죽을 것이다.’ 하면서 서로 버티고 있자 어부가 이를 보고는 조개와 도요새 둘 다를 잡았습니다.” 하였다.

어자【御者】수레꾼

어조【魚藻】시경(詩經) 소아(小雅) 어조(魚藻)에 “물고기가 마름풀 속에 있으니 그 머리가 크기도 하네[魚在在藻 有頒其首]” 한 데서 온 말인데, 이 시는 주왕(周王)이 제후(諸侯)들에게 주연(酒宴)을 베풀 때, 제후들이 천자의 덕을 찬양하여 부른 노래이다.

어조풍운【魚鳥風雲】고대의 진법(陣法)을 말함.

어중【漁仲】송(宋)의 학자 정초(鄭樵)의 자(字).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