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염장【斂葬】시체를 염습하여 장사지냄.

염절【廉折】옛 음악의 용어인데 날카롭고 급한 소리를 말함. 사기(史記) 전경중완세가(田敬仲完世家)에 “小弦廉折" 이라 하였음.

염정【廉貞】청렴하고 곧은 것

염제【炎帝】농업과 의약을 관장하는 신(神)인 신농씨(神農氏).

염제【炎帝】염제는 남방을 다스리는 신으로 여름과 불을 주관한다고 한다.

염제친소상【炎帝親所嘗】염제(炎帝)는 신농씨(神農氏), 책은 신농본초(神農本草)를 가리킨다. 신농씨가 각종 초목의 맛을 보며 온갖 질병에 대해 처방을 제시했는데, 후세에 이를 전승하여 신농본초(神農本草)라는 책을 만들었다고 한다.《史記 三皇紀ㆍ通志 三皇紀》

염조【鹽竈】소금을 굽는 가마.

염주【炎洲】전설 속에 나오는 뜨거운 열기가 솟는다고 하는 남해(南海)의 섬을 말한다. 해내십주기(海內十洲記)에, “염주는 남해 바다 속에 있는데, 사방이 2천 리이고 북안(北岸)에서의 거리가 9만 리이다.” 하였다.

염지【染指】좌전(左傳)에 “고기 국물 속에 손가락을 넣어 맛보면서 침을 흘린다는 뜻이다.[染指垂涎]”는 말이 나오는데, 정(鄭) 나라 자공(子公)이 평일에 진기한 음식을 얻어먹게 되면 반드시 식지(食指)가 동하였다. 하루는 자공이 영공(靈公)을 보러 들어가는데, 식지가 동하므로 같이 가던 자가(子家)도 함께 들어가니 과연 자라[鼇]를 잡아서 국을 끓이고 있었다. 두 사람이 서로 보고 웃으니 영공이 물었다. 자가가 이야기를 하였더니, 영공이 자공에게는 국을 주지 않았다. 자공은 국솥에 손가락을 넣어서 찍어서 맛을 보고 나왔다. 《春秋左傳 宣公 4年》

염지미상선타이【染指未嘗先朶頤】먹고 싶은 욕심에 입맛을 다시면서 침을 흘리는 것을 말한다. 춘추 시대 정(鄭) 나라 공자 자공(子公)이 자라 요리를 먹지 못하게 되자 자라 삶은 솥 속에 손가락을 담갔다가 그 손가락을 빨면서 나갔다[染指於鼎 嘗之而出]는 이야기가 전한다.《春秋左傳 宣公 4年》 그리고 주역(周易) 이괘(頤卦) 초구(初九)에 “그대의 신령스러운 거북을 버리고 나를 보고서 턱을 움찍거리니 흉하다.[舍爾靈龜 觀我 朶頤 凶]”는 말이 있다.

염진【炎塵】무더운 낮에 일어나는 먼지를 말한다.

염차광생【厭次狂生】염차(厭次)는 고을 이름. 한대(漢代)의 부평(富平)ㆍ동방삭(東方朔)이 평원(平原) 염차 사람으로 자칭 ‘염차의 광생’이라 하였으며, 그는 해학에 뛰어나고 사부(辭賦)에도 능했다.

염차태행【鹽車太行】현재(賢才)가 세상에 제대로 쓰이지 못한 채 매몰되어 곤경에 처한 것을 말한다. 옛날 천리마(千里馬)가 소금 수레[鹽車]를 끌고 태항산(太行山)을 올라가다가 더 이상 못 가고 쓰러졌는데, 백락(伯樂)이 이 말을 알아보고는 통곡을 하며 옷을 벗어 덮어 주자, 천리마가 백락을 쳐다보며 슬프게 울었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것이다. 《戰國策 楚策4》

염촉사인【厭髑舍人】신라(新羅) 법흥왕(法興王) 때에 불법(佛法)을 위해 몸을 바친 박염촉(朴厭髑)의 사실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상세하며 사인(舍人)은 염촉의 벼슬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