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염사【艶詞】남녀간의 애정을 술회하는 노래, 즉 연가(戀歌)와 같은 뜻이다. 염상【炎上】타오르는 불을 이름. 서경(書經) 홍범(洪範)에, “火曰炎上….”이라고 보임. 염생【冉生】중국 사천성 무현(茂縣)을 점거하고 있던 오랑캐 부족 염방(冉駹)으로서, 여기서는 청(淸) 나라의 군대를 의미한다. 《史記 西南夷傳》 염서【鹽絮】눈[雪]을 노래한 시를 말한다. 진(晉) 나라 사안(謝安)의 조카 사랑(謝朗)은 눈발이 휘날리는 것을 보고는 “소금을 공중에 뿌려 놓은 것에 그런대로 비유할 만하다.[散鹽空中差可擬]”라고 하고, 이에 대해 질녀인 사도운(謝道韞)은 “버들강아지가 바람에 날린다고 하는 것이 낫겠다.[未若柳絮因風起]”고 한 고사가 전한다. 《晉書 列女傳 王凝之妻謝氏》 염선소조【念仙搔爪】채경(蔡經)이 마고(麻姑) 선녀가 낟알을 던지니 모래가 되는 것을 보고는, 그 긴 손톱으로 가려운 등을 긁었으면 하고 생각했다고 한다. 염수【染鬚】늙은 사람이 장년(壯年)으로 꾸밈을 이름. 염숙도【廉叔度】숙도는 염범(廉范)의 자이다. 염신【炎神】남방의 신. 염여퇴【灩澦堆】염여퇴는 배를 타고 무사히 건너가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험하다는 장강(長江) 구당협(瞿塘峽)의 큰 암석이 있는 여울물 이름이다. 겨울철에 강물이 줄어들면 수백 척이나 우뚝하게 드러나고 여름에 강물이 불면 수십 척이나 물에 잠기는데, 그 모양이 마치 말과 같으며, 뱃사공들이 무서워서 감히 가까이 다가가지 못한다고 한다. 염염【淡淡】물이 순하게 흘러 편편하게 차는 모양, 물이 흔들리어 움직이는 모양, 사물의 그림자가 아른아른한 모양. 염염【剡剡】번쩍번쩍 빛나는 모양, 일어서는 모양 염염【冉冉】부드러워 아래로 늘어진 모양. 세월 같은 것이 가는 모양. 향기가 나는 모양. 염염【懕懕】편안한 모양, 병을 앓는 모양 염염【厭厭】편하고 고요한 모양, 성하게 자라는 모양, 희미하고 어두운 모양, 나약한 모양, 기분이 좋은 모양 염염【念念】항상 마음에 둠, 생각마다, 아주 짧은 순간 염옹【髥翁】명(明) 나라 서림(徐霖)을 이름. 순수(巡狩)하던 무종(武宗)을 호종하여 서울까지 왔었으나 벼슬을 주자 굳이 사양하고 돌아갔음. 그는 자호를 염옹이라 할 만큼 수염이 남달리 아름다웠다고 함. 《明史 卷286》 염우부【鹽雨賦】다산 49세 때인 순조 10년(1810)7월에 강진(康津)의 유배지에서 폭풍우로 산야의 초목과 곡물이 혹독한 피해를 당한 것을 목격하고 지은 작품이다. 염유【염愉】마음이 편하고 즐겁다. 염이【扊扅】지극히 빈한한 가정 살림을 말한다. 백리해사(百里奚詞)라는 고악부(古樂府)에 “생각하면 이별할 때 씨암탉 삶아 주고 문짝 뜯어 밥했는데 오늘날 부귀하니 나를 잊어버렸구나.[憶別時 烹伏雌 炊扊扅 今日富貴 忘我爲]”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보통 조강지처(糟糠之妻)를 말할 때 쓰는 표현이다. 염이가【扊扅歌】금곡(琴曲)의 이름. 백리해(百里奚)의 아내가 지었다. 백리해는 춘추 시대 우(虞)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우가 멸망하자 곤궁하였다. 그 후 진(秦)의 재상이 되었는데 옛날에 헤어진 그의 아내가 찾아와 “이별할 때, 염이(扊扅 사립문 받침대)를 떼어 암탉을 삶아 주었더니, 부귀해서는 나를 잊는가? [憶別時 烹雌鷄 炊扊扅 今日富貴 忘我爲]" 라는 노래를 불렀다. 여기에 염이란 말이 있으므로 염이가라 한 것이다. 염인【廉藺】전국 시대 조(趙) 나라의 공신인 염파(廉頗)와 인상여(藺相如)를 말한다. 염인고풍【廉藺高風】염파(廉頗)는 전국 시대 조(趙) 나라의 명장(名將)이다. 인상여(藺相如)가 화씨벽(和氏璧)과 관련된 외교 문제를 멋있게 처리하고 진(秦) 나라에서 돌아와 상경(上卿)이 되자, 염파가 자기보다 높은 지위에 앉았다고 하여 모욕을 가했는데, 인상여가 국가의 급선무를 우선하고 사감(私感)을 뒤로 돌리자, 염파가 그를 찾아가 사과한 뒤 함께 국사에 진력했던 것을 말한다. 《史記 卷81》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