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오호【惡呼】야인(野人)들의 말을 취음한 것으로 없다는 뜻. 오호【烏號】양궁(良弓)의 이름이다. 오호【五湖】중국 오(吳) 나라와 월(越) 나라 지방의 호수 이름인데, 그것이 태호(太湖)라느니, 구구(具區)ㆍ요격(洮滆)ㆍ팽려(彭蠡)ㆍ청초(靑草)ㆍ동정(洞庭)이라는 등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춘추시대 말기에 월 나라 대부(大夫) 범려(范蠡)가 월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 나라를 멸망시킨 뒤에 물러나 조각배를 타고 오호로 떠나 숨어버렸다는 데서 흔히 은둔하는 곳의 대명사로 쓰인다. 《史記 卷一百二十九 貨殖列傳》 오호궁【烏號弓】옛날의 명궁(名弓). 뽕나무가지로 만들었다는 질 좋은 활의 이름이다. 오호도【嗚呼島】한 고조(漢高祖)가 항우(項羽)를 죽이고 천하를 통일하자 제왕(齊王) 전횡(田橫)이 손 5백 명을 데리고 동해 바다의 섬 속에 들어가 있었다. 고조가 사람을 보내어 전횡을 부르기를, “오면 왕후(王侯)로 봉할 것이요, 오지 않으면 군사를 보내어 쳐서 죽이리라.” 하니, 전횡이 오다가 낙양(洛陽)에 30리를 못 미쳐서 말하기를, “내가 한왕(漢王)과 같이 왕이라고 칭하다가 이제 와서 한왕의 신하가 될 수 없다.” 하고, 목을 찔러 자살하니, 섬 속에 남아 있던 손 5백 명이 그 소식을 듣고 일시에 모두 자살하였다. 그러므로 그 섬을 오호도(嗚呼島)라고 부른다. 오호일가하인재【五湖一舸何人在】월(越) 나라 대부(大夫) 범려(范蠡)가 월왕(越王)을 도와 오(吳) 나라를 멸망시키고 나라를 회복시킨 뒤에 벼슬을 그만두고는 일엽편주(一葉片舟)를 타고 오호(五湖)로 나가 성명(姓名)을 모두 바꾸고는 숨어살았던 고사가 전한다. 《吳越春秋 卷10 句踐伐吳外傳》 오호주【五湖舟】범려(范蠡)가 공을 이룬 뒤에 미인 서시(西施)를 싣고 오호(五湖)에서 배를 타고 떠났다. 오호춘【五湖春】두보(杜甫)의 시 봉증소이십사군(奉贈蕭二十使君)에 자신이 일찍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났다는 뜻으로, “대궐에서 일찍이 참마(驂馬)를 멈추니, 기러기 돌아오는 오호(五湖)의 봄이로세.” 하였다. 오호풍【五湖風】월 상국(越相國) 범려(范蠡)가 오(吳)를 멸하여 공을 이룬 뒤 벼슬을 사양하고 오호에 놀았다. 오화【烏靴】관원이 신던 흑색 구두를 말한다. 오화【五花】당 나라 때에 국가의 중요한 사건에는 중서사인(中書舍人) 여러 사람이 각각 소견대로 서명(署名)하므로 그것을 오화판사(五花判事)라 하였다. 오화【五花】당나라 때에 여러 재상이 함께 결재할 것에 서명(署名)하는데, 글자의 모양이 꽃처럼 되었으므로 이를 오화판사(五花判事)라 한다. 오화【五花】오화마(五花馬)의 준말로, 청색(靑色)ㆍ백색(白色) 등의 반문(斑文)이 있는 말을 가리킨다. 오화【五花】중서사인(中書舍人)의 별칭. 당(唐) 나라 때 중서성(中書省)에 군국왕사(軍國王事)가 있으면, 중서사인들이 각각 자기의 소견을 가지고 이것저것 적어서 제출하여, 그것을 오화판사(五花判事)라 하였다. 《職林》 오화전【五花甎】오화전은 오색 꽃무늬를 새긴 벽돌로, 그것을 깔아놓은 대궐뜰을 가리킨다. 오화총【五花驄】말의 갈기털을 다섯 잎 꽃무늬 모양으로 다듬어서 장식한 말. 오회【寤懷】깨어나 근심하다. 오회【吳會】오군(吳郡)과 회계군(會稽郡)을 연칭(連稱)하여 오회라 하는데, 본디 오군 송강(淞江)의 농어가 유명하다. 오회장한흥【吳會張翰興】물고기를 잡아 회를 쳐서 먹는 즐거움을 말한다. 오회(吳會)는 중국 회계군(會稽郡)의 오현(吳縣)과 회현(會縣)의 병칭이다.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낙양(洛陽)에 들어가서 동조연(東曹掾) 벼슬을 하다가,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고향인 오중(吳中)의 순채국과 농어회[鱸魚膾] 생각이 나서 곧장 사직하고 돌아간 고사가 있다. 《晉書 卷92》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