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왈가왈부【曰可曰否】어떤 일에 옳거니, 옳지 않거니 하고 말함.

왈리왈시【曰梨曰柹】배 놓아라, 감 놓아라 함. 즉 쓸데없이 남의 일에 간섭함

왕가【王家】오대(五代) 시대 전촉(前蜀)을 세운 왕씨(王氏)의 조정을 말한다.

왕가주수【王家珠樹】당나라 왕발(王勃)의 삼형제(三兄弟)가 모두 글을 잘하므로 두이간(杜易簡)이, “왕씨 집의 세 구슬나무라[王家三珠樹].”고 칭찬하였다.

왕가주수【王家珠樹】왕가는 당(唐) 나라 때의 왕복치(王福峙) 집을 가리키며, 주수(珠樹)는 선목(仙木)으로 남의 훌륭한 아들을 일컫는 말. 복치의 아들 발(勃) 등 5형제가 모두 문장이 뛰어나니 사람들은 주수라고 일컬었다. 한번은 복치가 한언사(韓彦思)에게 아들 자랑을 하자, 언사는 희롱하기를 “무자(武子)는 말을 자랑하는 벽(癖)이 있더니 자네는 아들을 자랑하는 벽이 있네.” 하였다.

왕가주수삼【王家珠樹三】훌륭한 형제들을 일컫는 말이다. 당(唐) 나라 때 왕거(王劇)ㆍ왕면(王勔)ㆍ왕발(王勃) 3형제가 모두 재사(才士)로 이름이 높아 당시에 이들을 삼주수(三珠樹)라 일컬었다.

왕가착색산【王家着色山】왕가는 송(宋) 나라 왕선(王詵)을 가리킨 것으로 자(字)는 진경(晉卿). 시서화(詩書畫)를 잘했으며 동파(東坡) 소식(蘇軾)과 친했다. 착색산은 채색으로 그린 산수화(山水畫). 소식의 왕진경소장착색산(王晉卿所藏著色山) 시에 “그동안 한 번 변하여 풍류가 없어졌으니 누가 장군의 착색산을 보겠는가[爾來一變風流盡 誰見將軍著色山]" 하였다.

왕개【王愷】진(晉)의 왕개(王愷)는 국척(國戚)으로서 호사와 사치를 좋아하여 그 부유함이 석숭(石崇)과 겨룰 정도였는데,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이면 무슨 일이고 기탄없이 저질렀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이 그라면 모두 무서워 피하였고, 그가 죽은 후에는 시호를 추(醜)라 하였음. 《晉書 卷九十三》

왕개보【王介甫】개보는 송(宋) 나라 왕안석(王安石)의 자(字).

왕계묘【王季墓】왕계는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아버지로, 임금의 자리에 있지 않았으므로 조정 신하들이 관구에 조회하지 않았다.

왕관곡【王官谷】사공도가 만년에 중조산(中條山) 왕관곡(王官谷)에 정자를 지어 삼휴라 명명하고 여기에 은거했다.

왕관삼휴【王官三休】왕관곡(王官谷)은 중조산(中條山)에 있는 골짜기 이름이고, 삼휴는 당 나라 사공도(司空圖)가 지은 정자 이름인데, 여기서는 사공도를 가리킨다. 사공도가 말년에 발병이 나서 관직에서 물러난 다음 왕관곡에다가 삼휴정을 짓고 살았다. 《舊唐書 卷190 文苑傳 司空圖》

왕교【王喬】왕교는 왕자 교(喬)로서 주영왕(周靈王)의 태자. 태자 시절에 왕에게 직간하다가 폐해져 서인이 되었다. 그는 젓대를 불어 봉황새 소리를 내었으며 도사(道士) 부구생(浮丘生)을 만나 흰 학을 타고 산꼭대기에서 살았다 한다. 《列仙傳》

왕교【王喬】후한 때 사람으로 신술(神術)이 있었는데, 그가 일찍이 섭현 영(葉縣令)으로 있으면서 매월 삭망(朔望) 때마다 거기(車騎)도 없이 머나먼 길을 와서 조회에 참예하므로, 임금이 그를 괴이하게 여겨 그 내막을 알아보게 한 결과, 그가 올 때마다 오리 두 마리가 동남쪽에서 날아오므로, 그물을 쳐서 그 오리를 잡아 놓고 보니, 바로 왕교의 신발이었다고 한다. 《後漢書 卷八十二》

왕교석【王喬舃】신선들이 신는 신발로, 지방 수령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는바, 후한(後漢) 현종(顯宗) 때 하동(河東) 사람 왕교(王喬)가 섭 영(葉令)이 되었는데, 신술(神術)이 있어서 매달 삭망(朔望)에 대궐에 나와 조회에 참석하였다. 황제가 그가 자주 오는데도 수레가 보이지 않는 것을 괴이하게 여겨 태사(太史)로 하여금 몰래 엿보게 하였다. 그러자 태사가 그가 올 때에는 두 마리의 오리가 동남쪽에서 날아온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오리가 오는 것을 보고 그물을 펴서 잡으니, 단지 신발 한 짝만 있었다.《後漢書 卷82上 方術列傳 王喬》

왕교적석【王喬赤舃】한 명제(漢明帝) 때 상서랑(尙書郞) 왕교(王喬)가 섭현(葉縣)의 수령으로 내려갔다가, 조정에 올라올 적마다 물오리를 타고 오곤 하였는데, 그 오리를 잡고 보니 상서랑 재직시에 하사받았던 신발이었다는 전설이 전한다.《後漢書 方術列傳 王喬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