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용린【龍鱗】쇳조각을 결어 만든 철갑옷이 용의 비늘같다는 것으로 철갑을 뜻한다.

용림처일【容林處一】자기 분수에 만족해야 한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뱁새가 숲에 보금자리를 만드는 데에 필요한 것은 나무 한 가지에 불과하다.” 하였다.

용마부도래【龍馬負圖來】복희(伏犧) 때 용마(龍馬)가 하수(河水)에서 도서(圖書)를 짊어지고 나왔는데 이것이 역(易)ㆍ홍범구주(洪範九疇)의 근원이 되었음.

용만【龍灣】의주(義州)의 옛 이름이다.

용매【龍媒】준마(駿馬)를 가리킨다.

용면【龍眠】송(宋) 나라 때의 유명한 화가인 이공린(李公麟)의 별호이다. 이공린이 치사(致仕)한 뒤 용면산으로 들어가서 은거하고는 용면거사라고 자호하였다. 박학(博學)한데다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모두 뛰어났음. 산수(山水)와 불상(佛像), 단청(丹靑)을 잘하였음. 용면산인(龍眠山人). 《宋史 文苑傳》

용면거사【龍眠居士】송대(宋代)의 유명한 화가인 이공린(李公麟)의 별호이다. 이공린이 치사(致仕)한 뒤 용면산으로 들어가서 은거하고는 용면거사라고 자호하였다. 이후 화공(畫工)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용무【龍武】금군(禁軍)의 명칭. 당(唐) 나라 금군에 좌우용무군(左右龍武軍)이 있었다.

용문【龍門】경기도 양평군(楊平郡) 용문면에 있는 산. 남한강 줄기가 거쳐가는 곳이기도 하다.

용문【龍門】명망이 높은 인물의 저택을 뜻하는 말이다.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 이응(李膺)의 집을 찾아와 마루에 오르도록 허락을 받으면, 모두 “용문에 올랐다.[登龍門]”고 하면서 영광스럽게 여겼던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德行》

용문【龍文】용문은 명검(名劍)인 간장(干將)의 별칭이다.

용문【龍門】용문은 황하(黃河) 상류에 위치한 곳으로 잉어가 이곳을 뛰어올라야 용(龍)이 된다고 하는데, 사람의 출세를 비유한 말.

용문【龍門】용문처사(龍門處士) 남격(南格). 동강(東岡), 언경(彦經)의 아들로서 조식(曹植)과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임.

용문【龍文】웅건한 문장(文章)이나 시를 말한다.

용문【龍門】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의 서쪽에 있는 산 이름으로, 옛날에 우(禹) 임금이 치수(治水)할 적에 이 용문산이 하수(河水)의 물길을 가로막고 있으므로 파내었다고 한다.

용문【龍門】후한(後漢)의 이응(李膺)이 조정이 날로 어지러워지고 나라의 기강이 무너질 때 남달리 탁월한 식견을 지녀 천하에 그 이름이 높았는데, 선비들 가운데 혹시 그의 허여와 접대를 받은 자가 있으면 용문에 올랐다는 칭호가 붙었다.《後漢書 卷六十七 李膺傳》

용문【龍門】영도의 동쪽 성문

용문【龍門】용문은 산서성(山西省) 하진현(河津縣)에 있는 나루인데 이곳은 물이 험하여 고기들이 올라오지 못한다. 이 때문에 강에서 몰려온 큰 고기떼가 용문에 모여 올라오려 하는데 만일 올라오면 용이 된다 한다.

용문【龍門】용문은 황하의 급류가 쏟아져 내리는 협곡으로, 옛날 우 임금이 즐풍목우(櫛風沐雨)하며 홍수를 다스릴 적에 용문을 뚫었다는 기록이 회남자(淮南子) 수무훈(修務訓)에 나온다.

용문객【龍門客】훌륭한 자리에 참석하게 된 것을 비유한 말이다. 용문(龍門)은 성망(聲望)이 높은 사람에게 비유한 말인데, 후한(後漢) 때 이응(李膺)이 고사(高士)로 명망이 높아, 누구든지 그로부터 한 번 접견(接見)만 받으면 세상에서 그 접견받은 사람에게 “용문에 올랐다" 고 일컬은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李膺傳》

용문구배【龍文龜背】봉(鳳)의 모양이 앞은 기린(麒麟), 뒤는 사슴, 뱀의 머리에 고기 꼬리, 용의 무늬에 거북의 등[龍文龜背] 오색이 있다. 《說文》

용문얼【龍門櫱】옛날 용문에 큰 오동나무가 있었는데, 뿌리가 강물에 씻겨서 반생반사(半生半死)의 상태였던바, 이를 베어서 거문고를 만들었다고 한다. 《文選 卷三十四 七發》

용문염예【龍門염澦】촉중(蜀中)에서 나오는 양자강(揚子江)의 상류에 삼협(三峽)을 지나오는 중간에 물결이 험한 곳이다.

용문점액【龍門點額】이마에 상처를 입음. 물고기가 용문에 오르려다 바위에 부딪쳐 이마에 상처를 입고 떠내려간다는 뜻으로,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고 실패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

용문점액어【龍門點額魚】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해만 당함. 잉어가 용문(龍門)을 통과하면 용이 되지만 통과를 못하면 바위에 이마만 부딪치고 돌아온다고 한다. 《水經 河水注》

용문호【龍門好】후한(後漢) 때의 명사 이응(李膺)이 평소에 함부로 교제를 하지 않아 혹시 그의 접대를 받은 자가 있을 때는 세상 사람들이 용문에 올라간 자라고 예찬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