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월아【月娥】월아는 월궁(月宮)의 선녀 상아(嫦娥). 월역분신천백억【月亦分身千百億】부처[佛]가 천백억(千百億)의 화신(化身)을 나타내므로 달을 거기에 비유한 것이다. 월영대【月影臺】마산(馬山) 서쪽 해변에 있는 대(臺)인데, 최치원이 놀던 곳이다. 월영대【月影臺】창원(昌原) 남쪽 해항(海港)의 언덕 위에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노닐었던 곳이라 한다. 월영즉식【月盈則食】달이 꽉 차서 보름달이 되고 나면 줄어들어 밤하늘에 안보이게 된다. 한번 흥하면 한번은 망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월왕대【越王臺】한(漢) 나라 때 남월왕(南越王) 조타(趙佗)가 세운 대인데, 지금 광동성(廣東省) 월계산(越季山) 위에 있다. 월외송【月外松】소나무의 나뭇결이 곧아서 쪼개기 쉬운 것을 일컫는 말. 월운【月暈】달의 주위를 에워싼 달무리처럼 적에게 포위된 고성(孤城)을 가리킨다. 한 고조(漢高祖)가 평성(平城)에서 포위되었을 때에도 달무리가 섰다는 기록이 있으며, 임진왜란 때 동래 부사(東萊府使) 송상현(宋象賢)의 시에도 ‘달무리 진 외로운 성[孤城月暈]’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월음【越吟】고향을 생각하고 고국을 그리워하면서 부르는 슬픈 노래를 말한다. 장석(莊舃)은 월(越) 나라 사람으로 초(楚) 나라에 와서 현달하였다. 초왕(楚王)이 “장석은 월 나라 사람인데, 지금도 월 나라를 그리워하는가?”하니, 중사(中使)가 아뢰기를, “대개 사람이 병이 들면 고향을 그리워하는 법입니다. 장석이 월 나라를 그리워한다면 월 나라의 소리로 신음할 것이고, 월 나라를 그리워하지 않는다면 초 나라의 소리로 신음할 것입니다.” 하였다. 그러자 초왕이 사람을 시켜서 알아보니, 장석이 과연 월 나라의 소리로 신음하였다. 《史記 張儀列傳 附 陳軫傳》 월이명서【月裏名書澤】감택(闞澤)이 13세 때 자신의 이름자가 달 속에 환히 쓰여 있는 꿈을 꾸었다. 《吳會稽 先賢傳》 월자【月姊】달 속에 있다는 항아(姮娥)이다. 월재생백야【月哉生魄夜】음력 열엿새를 가리킨다. 백(魄)은 어둡다는 뜻으로 보름이 지나면 달이 점점 기울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월정【月汀】윤근수(尹根壽)의 호이다. 월정선【月汀先】호가 월정인 윤근수(尹根壽)를 말한다. 월정시【月征詩】시경(詩經) 소아(小雅) 소완(小宛)으로, 날마다 학문 공부에 매진하는 뜻을 읊은 시이다. 그 시에, “저 할미새를 보니, 날면서 곧 우는도다. 내 날로 매진하나니, 너도 달로 나아가라.[題彼脊令 載飛載鳴 我日斯邁 而月斯征]”하였다. 월조소남지【越鳥巢南枝】남쪽 월나라에서 온 새는 언제나 남쪽 가지에 앉는다. 즉 고향을 그리워함.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월조장석【越調莊舃】월조는 음조(音調)의 이름으로 상성(商聲) 칠조(七調)의 하나인데, 월 나라에서 나왔다 하여 붙여진 이름임. 전국시대 월 나라 사람인 장석이 초 나라에 벼슬하여 부귀를 누렸으나 고국을 잊지 못해 병중에 고국을 그리며 월 나라의 곡을 노래하였다. 월조평【月朝評】인물에 대한 비평. 후한(後漢) 때 허소(許劭)가 그의 향당의 인물들을 매월 초하루에 비평했다 함. 월중륜【月重輪】악부슬조곡(樂府瑟調曲)의 이름. 한 명제(漢明帝)가 태자 시절 뭇 신하들이 태자를 위해 지은 노래로서 일중광(日重光)ㆍ월중륜(月重輪)ㆍ성중휘(星重輝)ㆍ해중윤(海重潤)의 4장(章)이 있었다고 함. 《樂府詩集》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