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육룡【六龍】태양을 가리킨다. 전설에, 태양의 신이 타는 수레를 여섯 마리의 용이 끄는데, 희화(羲和)가 그 수레를 몬다고 한다. 육룡【六龍】임금의 수레를 끄는 여섯 마리의 말의 미칭(美稱). 육룡구일【六龍驅日】여섯 필의 용. 주역(周易)건괘(乾卦)에 “육룡을 타고 하늘에 휘몰아 다닌다.” 한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세월이 빠르다는 말이다. 육룡륜【六龍輪】태양을 가리킨다. 태양의 신이 타는 수레를 여섯 마리의 용이 끄는데, 희화(羲和)가 그 수레를 몬다고 한다. 육률【六律】고대 악률(樂律)의 표준이 되는 십이율(十二律) 가운데 양성(陽聲)에 속하는 여섯 가지 음으로, 황종(黃鍾), 대주(大蔟), 고선(姑洗), 유빈(蕤賓), 이측(夷則), 무역(無射)을 말한다. 육리【陸離】화려한 모양. 얼룩덜룩. 육마증문제앙말【六馬曾聞齊仰秣】백아(伯牙)가 금(琴)을 타면 소리가 매우 아름다워서 꼴을 먹고 있던 여섯 마리의 말이 일제히 고개를 들고 하늘을 우러러 슬피 울었다고 한다. 《荀子 勤學》 육막【六漠】천지사방. 육면【六冕】육면은 임금이 착용하는 여섯 가지의 면류관을 이름. 육몽【六夢】주례(周禮) 춘관(春官) 점몽(占夢)에 “일월성신(日月星辰)으로써 여섯 가지 꿈을 점치는데 첫째는 정몽(正夢), 둘째는 악몽(噩夢), 셋째는 사몽(思夢), 넷째는 오몽(寤夢), 다섯째는 희몽(喜夢), 여섯째는 구몽(懼夢)이다.”라 하였음. 육물【六物】여섯 가지 중요한 물건, 즉 명산 대천에 제사 지낼 술을 만드는 재료인 술도(秫稻)ㆍ국얼(麴蘗)ㆍ담치(湛熾)ㆍ수천(水泉)ㆍ도기(陶器)ㆍ화제(火齊)를 이른다. 《禮記 月令》 육방옹【陸放翁】육방옹(陸放翁)은 송(宋) 나라 때의 시인인 육유(陸游)를 말함. 방옹은 그의 호이다. 육백【六百】한(漢) 나라 병단(邴丹)이 항상 자신의 덕을 닦으며 관직 생활을 하는 중에 6백 석 이상의 자리에는 결코 몸담으려 하지 않다가 왕망(王莽)이 집권하자 바로 사직을 하고 고향에 내려갔다. 《漢書 卷72》 육백【六魄】불교 용어로 사람의 몸속에 존재하는 여섯 가지 탁귀(濁鬼)를 말한다. 육백관시【六百館試】육백관시(六百館試)ㆍ육백별시(六百別試)ㆍ삼백관시(三百館試)ㆍ삼백별시(三百別試)는 조선시대 때 국가나 조정에 경사가 있을 경우 주로 치루어진 별시의 일종으로서, 합격자의 정수가 삼백 명일 경우 삼백별시라 하고 육백 명일 경우 육백관시 또는 육백별시라 하였다. 육백석【六百石】한(漢) 나라 태중대부(太中大夫) 병한(邴漢)의 조카 병단(邴丹)이 양지(養志) 자수(自修)하면서 6백 석 이상의 관직에는 결코 몸담지 않으려 하였던 고사가 있다. 왕망(王莽)이 점차 위세를 부리던 때 병한이 향리로 돌아가자 그 역시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갔는데, 그 이름이 병한보다도 드높았다고 한다. 병단은 그의 자(字) 만용(曼容)으로 더 알려져 있다. 《漢書 卷72, 卷88》 육부【六府】육부는 수(水)ㆍ화(火)ㆍ금(金)ㆍ목(木)ㆍ토(土)ㆍ곡(▣). 육비【陸飛】육비의 자는 기잠(起潛)이고 호는 소음(篠飮)인데, 절강(浙江) 인화(仁和) 사람으로 강희(康熙 청 성조(淸聖祖)의 연호) 기해년(숙종 45, 1719)에 태어났다. 육비【六飛】고대 황제의 수레는 말 여섯 마리가 끌었다 하여 나온 말로, 임금의 행차를 뜻한다. 비(飛)는 신속하게 달림을 형용한 말이다. 육비잠굴분양가【六飛暫屈汾陽駕】황궁(皇宮)에서 나와 천하를 순행(巡行)하는 천자의 거가(車駕)를 말한다. 육비(六飛)는 황제의 수레를 끄는 여섯 마리의 준마(駿馬)를 가리킨다. 분양가(汾陽駕)는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의 “요 임금이 …… 묘고야산 분수 북쪽으로 가서 네 사람을 만나 보았다.[堯 …… 往見藐姑射之山 汾水之陽]”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