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응전【鷹鸇】응전(鷹鸇)은 모두 매의 종류로 군주에게 무례하거나 부모에게 불효하는 자를 보면 매가 새들을 쫓듯이 몰아냄을 뜻한다. 후한(後漢) 때에 구람(仇覽)은 자를 계지(季智), 일명 향(香)이라고 하였는데, 포정(蒲亭)의 장(長)으로 있으면서 홀어머니에게 불효하는 진원(陳元)이라는 자를 형벌로 다스리지 않고 말로 타일러 교화시켰다. 이에 사람들이 “응전의 뜻이 적은 것이 아니냐?”고 묻자, “나는 매가 봉황만 못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 《後漢書 卷七十六 循吏 仇覽傳》 응점덕성취【應占德星聚】참석한 사람들 모두가 어진 덕을 지닌 현인(賢人)이라는 말이다. 후한(後漢)의 명사(名士) 진식(陳寔)이 자제들을 이끌고 순숙(荀淑) 부자(父子)를 찾아갔을 때 하늘에 덕성이 모이는 천문 현상이 일어났다는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德行》 응접불가【應接不暇】여유가 없을 만큼 매우 바쁜 상황이라는 뜻의 고사성어. 응진【應眞】범어(梵語)인 나한(羅漢)을 의역(意譯)한 말로, 진도(眞道)를 터득한 사람을 뜻하는데, 손작(孫綽)의 ‘유천태산부(遊天台山賦)’에 “응진이 석장(錫杖)을 날려 허공을 밟고 다닌다.[應眞飛錫以躡虛]”는 표현이 있다. 응창【應瑒】삼국시대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하나로 뛰어난 문장으로 조조(曹操) 부자(父子)의 예우를 받았다. 응천【凝川】밀양(密陽)의 고호이다. 응체어물【凝滯於物】속세의 일에 얽매어 막히다. 응풍【鷹風】입추가 되면 응준(鷹隼)이 맹위를 떨친다는 말에서 비롯하여 가을바람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漢書 五行志上》 의【擬】원래는 ‘재다’‘가늠하다’의 뜻인데, 여기서는 ‘베다’‘내리치다’의 뜻으로 쓰임. 의【儀】짝하다. 의가【宜家】시경(詩經) 주남(周南) 도요(桃夭)에 “야들야들 복사꽃, 열매가 주렁주렁. 이분 시집감이여, 가실 화순케 하리로다.[桃之夭夭 有蕡其實 之子于歸 宜其家室]”하였다. 의가재교초【宜家在敎初】“부인은 처음 시집올 때 잘 가르쳐야 하고, 아들은 나이가 어릴 때 잘 가르쳐야 한다.[敎婦爲初來 敎兒爲孀孩]”는 속담이 전해 왔다 한다. 《顔氏家訓 敎子》 의갈부【衣褐夫】중산은 지명으로 품질 좋은 붓을 생산하던 곳이고, 의갈부란 털옷을 입었다는 뜻으로 즉 토끼를 의인화(擬人化)하여 이른 말이다. 의감【醫鑑】동의보감(東醫寶鑑). 의개조란【倚蓋鳥卵】모두 하늘의 형상에 대한 주장인데, 진서(晉書) 천문지(天文志)에는 “하늘은 우산을 기울인 것 같다.” 하였고, 서경(書經) 순전(舜典)의 선기옥형(璿璣玉衡) 대목의 소(疏)에는 “혼천설(渾天說)에 의하면 하늘의 형상은 새의 알과 비슷한데 하늘이 땅의 바깥을 싼 것이 마치 알이 노른자를 싼 것과 같다.” 하였다. 의갱명환【蟻坑名宦】세상의 부귀영화가 꿈결처럼 허무한 것을 비유한 말. 이문집(異聞集)에 “당(唐) 나라 때의 순우분(淳于棼)이 어느 날 술에 취하여 집 앞 느티나무 밑에서 잠이 들었다가 괴안국왕(槐安國王)의 사신이라는 자를 따라가 괴안국왕으로부터 남가군수(南柯郡守)를 임명받아 20여 년 동안 영화를 누렸는데, 깨어나니 한바탕 꿈이었고 나무 아래를 보니 굴은 텅 빈 개미굴로, 왕개미 한 마리가 있었다.” 하였다. 의경【意境】문예 작품에 표현되어 나온 정조(情調)와 경계(境界)로, 명(明) 나라 주승작(朱承爵)의 존여당시화(存餘堂詩話)에 “作詩之妙 全在意境融徹 出音聲之外 乃得眞味”라는 말이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