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의형【儀刑】법식 또는 모범.

의형【劓刑】코를 베는 형벌로 5형의 하나임.

의희【義熙】의희는 동진 안제(東晉安帝)의 연호로, 안제가 혼암(昏暗)함으로 인하여 역신(逆臣) 환현(桓玄)이 제위(帝位)를 찬탈하기까지에 이르렀다.

이【螭】뿔없는 용.

이【爾】이처럼

이가【吏加】가집(加執) 중에서 아전이 모르게 하는 것을 이가(吏加)라 한다.

이가식두로【已可識頭顱】전정(前程)이 어떻게 전개될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는 말이다. 소식(蘇軾)의 시에 “四十豈不知頭顱 畏人不出何其愚”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13 送段屯田 分得于字》

이가인【伊家人】자기네 집 사람. ‘伊’는 ‘彼’‘他’와 통함. ‘저이’‘그이’의 뜻.

이가정【李柯亭】가정은 이숙기(李叔琪)의 호.

이가환【李家煥】자는 정조(廷藻), 호는 금대(錦帶)ㆍ정헌(貞軒), 본관은 여흥(驪興),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종손(從孫)으로 문장에 능하고 필법이 뛰어났다. 만년에 천주교 신자가 되어 신유박해(辛酉迫害)때 그의 숙부 승훈(承薰)과 함께 체포되어 순교하였다.

이각로【二閣老】중국에서 두 사신이 와서 안평대군의 글씨를 칭찬하였다.

이간【已看】이미 보다.

이간방현【夷簡妨賢】범중엄(范仲淹)이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郞)으로 있을 적에 당시에 정권을 잡고 있던 여이간(呂夷簡)이 자신의 당파 사람들을 진출시키는 것을 보고, 백관도(百官圖)를 올리면서 사사로이 한다고 지적을 해 여이간과 사이가 좋지 않게 되었다. 그러다가 건도(建都)하는 문제로 인해 범중엄이 여이간을 한 나라 때의 간신인 장우(張禹)에 비기면서 배척하자, 여이간이 범중엄을 가리켜 “군신 사이를 이간질하며 당파 사람들을 끌어들인다.”고 모함하였다. 이에 인종(仁宗)이 범중엄을 파직시키고 요주(饒州)로 내쫓았다. 《宋史 卷314 范仲淹列傳》

이감【李甘】당(唐)의 시어사(侍御史). 자는 화정(和鼎).

이감【離坎】모두 팔괘(八卦) 가운데 하나로, 이(離)는 방위로는 남방에 해당되고 물질로는 화(火)에 해당되며, 감(坎)은 방위로는 북방에 해당되고 물질로는 수(水)에 해당된다. 여기서는 물과 불을 가리킨다.

이개【李鍇】이개의 자는 철군(鐵君)으로 봉천(奉天) 사람이다. 그는 처부(妻父)가 되는 색액도(索額圖)가 태부(太傅)로서 권세가 너무 높으므로 멀리 반산(盤山)으로 피하여 치봉산(豸峯山) 아래 밭을 사서 갈면서 편안히 지냈다. 저서로 함중집(含中集)ㆍ남사고(南史稿)가 있다.

이거【離居】멀리 있는 자. 은둔자

이거【貳車】뒤따르는 수레로 즉 보좌하는 사람을 말한다. 예기(禮記) 소의(少儀)에 “이거를 타면 구부리고 좌거(佐車)를 타면 구부리지 않는다.” 했는데, 주(注)에 “이거와 좌거는 다 부거(副車)이다.” 하였다.

이격【李格】이격은 무신으로 자는 천로(天老), 호는 만오(晩悟),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1748년에 태어났다.

이견【利見】주역(周易)의 건괘(乾卦)에서 이견(利見)은 임금과 신하의 만남을 의미한다.

이경【離經】이경은 이경반도(離經畔道)의 약칭으로 정도(正道)를 벗어난다는 것임.

이경【二頃】이경은 바로 이백 묘(二百畝)의 토지로서 옛날 중농(中農)에 해당한다고 한다.

이경【二更】이경은 밤 9시에서 11시 사이를 가리킨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