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일옹운【一甕雲】야외에서 술을 마실 때면 술동이에 구름 그림자가 비치는 것을 말한다.

일용우【一龍友】화흠(華歆)ㆍ병원(邴原)ㆍ관녕(管寧) 세 사람이 절친한 벗이었으므로 그때 사람들이 흠을 용의 머리, 원을 용의 배, 녕을 용의 꼬리라 칭했다. 《魏略》

일우명지【一牛鳴地】소의 우는 소리가 들릴 만한 가까운 거리를 말한다.

일운【日暈】해무리

일운훈호명【逸韻塤箎鳴】질나팔과 저를 부는 형과 동생처럼 화기애애하게 잘 조화된 것을 말한다. 《詩經 小雅 何人斯》

일원【一元】12만 9600년을 가리키며, 이것을 다시 십이지(十二支)로 나누어 회(會)마다 각각 1만 800년씩 배정하는바, 자회(子會)에서 하늘이 처음 열리고 축회(丑會)에서 땅이 열리고 인회(寅會)에서 사람과 물건이 생겨났다고 한다. 여기서는 태고 시대의 순박한 시절을 가리킨 것이다. 《皇極經世書 卷四 觀物內篇》

일원【一元】천지 만물을 생성(生成)시키는 한 원기란 말이다.

일월【日月】일월상(日月相)의 준말로, 즉 임금의 상(相)을 뜻한다.

일월춘풍【一月春風】주광정(朱光庭)이 처음 정명도(程明道)에게 배우고 돌아와서 사람에게 말하기를, “한 달을 봄바람 속에 앉아 있었다.” 하였음.

일유【一遊】맹자(孟子)에, “임금이 나가서 농민의 실정을 순시하여 봄에는 심는 것을 보고, 가을에는 거두는 것을 살펴 부족한 것을 보조하므로, 한 번 놀고[一遊] 한 번 즐김이 법도가 된다.” 하였다.

일음무하【日飮無何】한(漢) 나라 원앙(爰盎)이 오국(吳國)의 상(相)으로 가서, 날마다 술만 먹고 다른 일은 하지 않음으로써[日飮無何] 무사하게 되었던 고사가 있다. 사(絲)는 원앙의 자(字)이다.《史記 爰盎晁錯列傳》 참고로 소식(蘇軾)의 시에 “酸寒可笑分一斗 日飮無何足爰盎”이라는 표현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14 趙旣見和 復次韻答之》

일음일양【壹陰壹陽】죽고 사는 것. 일생일사.

일의대수【一衣帶水】간격이 매우 좁다는 뜻의 고사성어.

일이【日珥】태양 주위에 청적황백색의 운기(雲氣)가 나타나는 현상 둥 둥글고 작은 것이 태양의 하부 주위에 나타나는 것을 ‘일이’라 한다. 이런 현상은 해무리(日暈)가 졌을 때에 잘 보이며, 예전에는 이것을 길조(吉兆)로 여겼다.

일이관지【一以貫之】하나의 이치로써 모든 일을 꿰뚫는다는 뜻의 고사성어.

일일【日日】날마다

일일【一一】하나하나 죄다 모조리. , 한 사람 한 사람, 각자

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 속에 가시가 돋친다.

일일삼추【一日三秋】하루가 3년처럼 길게 느껴짐. 즉 몹시 애타게 기다림.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함

일일수경삼백배【一日須傾三百杯】이태백(李太白)의 양양가(襄陽歌)에 있는 시구인데, 사람이 일생 동안 날마다 술 3백 잔을 마셔야 한다는 말이다.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하루가 삼년같이 지루함. 하루를 만나지 않았는데도 3년을 만나지 않은 것 같다. 애타게 기다리는 일, 혹은 만나고 싶어 그리운 정이 더욱 깊어진다는 뜻

일일장호【一日長乎】나이가 약간 더 많다는 것. 논어(論語) 선진(先進)에 “내 나이가 너희보다 하루가 더 많다고 하여 지나치게 조심하지만 나이가 더 많다는 것 때문에 그처럼 조심하지는 말라.[以吾一日長乎爾 毋吾以也]" 하였음.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