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일하【日下】서울의 별칭.

일하무혜경【日下無蹊徑】해가 비치고 있는 곳에는 눈을 피해 갈 수 있는 좁은 지름길이 없다. 나쁜 일이 행해지지 아니한 것을 탄미한 말.

일학【一貉】“예와 지금이 모두 한 언덕의 여우와 같다[古與今如一丘之貉].”는 옛글이 있다.

일한념아제포재【一寒念我綈袍在】전국 시대 위(魏) 나라 수가(須賈)가 진(晉)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범수(范睢)를 만나 보고는 “지금까지도 이렇게 추위에 떠는 신세가 되어 있는가.[一寒如此哉]”하고, 명주 솜옷 한 벌[一綈袍]을 주었던 고사가 있다. 《史記 卷79 范睢列傳》

일한수념여【一寒誰念汝】옛정을 생각해서 빈한한 처지를 동정해 주는 사람도 없는 야박한 세태를 개탄한 말이다. 전국 시대 범수(范睢)가 온갖 고생 끝에 장록(張祿)으로 이름을 바꾸고 진(秦) 나라 승상이 된 뒤, 빈궁한 사람의 모습으로 변장을 하고는 옛날 함께 노닐었던 수가(須賈)의 앞에 나타나자, 수가가 애처롭게 여긴 나머지 술과 음식을 대접하고는 “범숙이 여전히 이렇게까지 빈한하게 산단 말인가.[范叔一寒如此哉]”하고 탄식하면서 명주로 만든 솜옷을 입혀 주었던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79 范睢列傳》

일행【一行】당(唐) 나라 때 고승(高僧)임.

일현담【一現曇】사물이나 인물이 나타났다가 금방 사라지는 것을 말한다. 담화는 우담발화(優曇鉢華)로, 피었다가는 금방 지는 꽃이다.

일현화【一縣花】일현화는 한 고을이 온통 꽃으로 덮혔다는 뜻인데, 진(晉) 나라 반악(潘岳)이 하양현령으로 있을 때 온 고을에 복숭아와 오얏나무를 심어 봄이 오면 장관을 이루었다고 한다. 《白氏六帖 縣令》

일화【日華】도교(道敎)의 용어로, 태양의 정화(精華)를 말한다.

일확천금【一攫千金】한번에 천금을 움켜쥠. 힘들이지 않고 단번에 많은 재물을 얻음.

일환니【一丸泥】한 덩이의 진흙. 후한(後漢) 초기 파촉(巴蜀) 지방을 할거(割據)하고 있던 외효(隗囂)는 한 광무(漢光武)에게 귀순하려 하자 이를 즐기지 않는 장군(將軍) 왕원(王元)은 “신(臣)이 한 덩이의 진흙으로 대왕을 위하여 동쪽으로 가서 함곡관을 봉폐하겠다.” 하여 스스로 왕이 될 것을 설득하였다. 외효는 이 말을 따라 귀순하지 않았다가 결국 멸망하고 말았다. 《後漢書 隗囂傳》

일훈일유【一薰一유】향초와 냄새나는 풀. 좋은 냄새나는 풀과 고약한 냄새나는 풀을 같이 놓으면 악취만 난다. 선행(善行)은 지키기 힘들고 악행(惡行)은 제거되기 힘들다는 것을 비유.

일휘【一麾】외직(外職), 즉 지방 관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남조 송(宋) 안연지(顔延之)의 오군영(五君詠) 가운데 완시평(阮始平), 즉 완함(阮咸)을 읊은 시에 “몇 번 추천 받았어도 조관(朝官)이 못 되다가, 한 번 배척받고 지방 수령 나갔다오.[屢薦不入官 一麾乃出守]”라는 구절에서 유래한 것이다.

일휘【一麾】조정의 관원으로 있다가 외임(外任)을 맡아 나가는 것을 뜻한다. 당 나라 두목(杜牧)의 즉사시(卽事詩)에, “한 깃발로 동쪽으로 내려감을 비웃지 말라, 강 가득한 가을 물결 푸르르다네.[莫笑一麾東下計 滿江秋浪碧參差]”하였다.

일휘영【一麾詠】지방 수령으로 나가는 섭섭한 감정을 읊은 시이다. 남조 송(南朝宋)의 안연지(顔延之)가 영가 태수(永嘉太守)로 나가면서 읊은 ‘오군영(五君詠)’ 가운데 “屢薦不入官 一麾乃出守”라는 구절이 있는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南史 顔延之傳》

일휘위속리【一麾爲俗吏】지방관(地方官)이 되어 감을 이름. 안연지(顔延之)의 시에 “한 깃대로 태수가 되어간다[一麾乃出守]” 한 데서 온 말이다.

일휘출수【一麾出守】외방의 관원으로 나가는 것을 말한다. 삼국 시대 위(魏) 나라의 완함(阮咸)이 순욱(荀勗)에게 계속 배척을 받다가 겨우 시평태수(始平太守)로 나가게 된 것과 관련하여, 남조 송(南朝宋)의 안연지(安延之)가 ‘오군영(五君咏) 완시평(阮始平)’에서 “누차 천거해도 관직 얻지 못하다가, 한 번 휘두름에 수령으로 나갔도다.[屢薦不入官 一麾乃出守]”라고 읊은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일휘의 휘(麾)는 배척한다는 뜻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