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어미려【於微閭】동방의 옥산.

어미적【魚尾赤】시경(詩經) 주남(周南) 여분(汝墳)에 “방어 꼬리 붉고 왕실은 불타는 듯.[魴魚赬尾 王室如燬]”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그 주(註)에 “힘을 많이 쓰면서 고생을 하면 물고기 꼬리가 붉어진다.” 하였다.

어미정【魚尾赬】물고기가 피곤하면 꼬리가 붉어지므로, 백성들이 고통받는 것을 꼬리 붉은 물고기에 비유하는 구절이 시경(詩經)에 있다.

어미죽간【魚尾竹竿】탁문군(卓文君)의 백두음(白頭吟)에 “대나무 장대는 왜 그리 간들거리며 물고기 꼬리는 왜 그리 퍼덕거리나.” 하였다.

어변성룡【魚變成龍】물고기가 변하여 용이 됨. 어릴 적에는 신통치 못하던 사람이 자라서 훌륭하게 됨을 일컫는 말이다.

어복【魚腹】굴원이 지은 어부사(漁父辭)에 “어찌 깨끗하고 깨끗한 몸으로 남의 더러움을 받겠는가. 내 차라리 소상강(瀟湘江) 강물에 뛰어들어 강 물고기의 뱃속에 장사될지언정 어찌 희디흰 결백한 몸으로 세속의 더러운 먼지를 뒤집어 쓰겠는가.” 하였다.

어복【魚服】어피(魚皮)로 만든 화살집을 말함.

어복거【魚腹居】물 속에 들어갔다는 말로, 초사(楚辭) 어부(漁父)의 “물고기 뱃속에 장사지낸다.” 한 데서 인용한 말이다.

어부곡【漁父曲】초(楚)의 굴원(屈原)이 쓴 어부사(漁父辭)를 말한 것임.

어부지리【漁父之利】도요새가 조개를 쪼아먹으려다가 둘 다 물리어 서로 다투고 있을 때 어부가 와서 둘을 잡아갔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둘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것. 견토지쟁(犬兎之爭)

어불성설【語不成說】말이 하나의 일관된 논의로 되지 못함. 즉, 말이 이치에 맞지 않음을 뜻한다.

어사구【漁簑句】어사란 고기잡이가 도롱이 쓰고 있다는 뜻으로 당(唐) 나라 도관낭중(都官郞中)이었던 정곡(鄭谷)의 설시(雪詩)에 “강 위에 해질 무렵 그림 그릴 만한 곳에 이르니[江上晩來堪畫處] 고기잡이 도롱이 걸치고 집으로 돌아가네[漁人披得一簑歸]" 라고 읊은 것을 가리킨다.

어사왕관곡【御史王官谷】어사는 당(唐) 나라 때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가 되었던 사공도(司空圖)를 이름. 사공도는 본디 절의가 뛰어났는데, 세상이 어지러워짐을 보고는, 선인(先人)의 토지가 있던 중조산(中條山) 왕관곡(王官谷)으로 들어가 정관(亭觀)을 지어 이를 휴휴정(休休亭)이라 이름하고 여기에 끝내 은거하였던 고사이다.《唐書 卷一百九十四》

어사총【御史驄】동한(東漢)의 환전(桓典)이 시어사(侍御史)가 되어 권귀(權貴)를 가차없이 처벌하였으므로, 그가 총마(驄馬)를 타고 거리에 나가면 사람들이 모두 무서워하면서 “꼭꼭 숨어라, 총마 어사 나가신다.”고 말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37 桓榮列傳 附 桓典》

어상【瘀傷】병으로 몸이 마르고 약해지다.

어색전면【魚索纏綿】부모를 일찍 여의었음을 한탄한 말. 어색은 마른 고기를 매다는 노끈을 가리킨 것으로, 설월(說苑) 건본(建本)에 “마른 고기를 매단 노끈은 얼마 안 가서 썩는 것이요, 두 어버이의 수명은 언뜻 흰말이 틈 지나가기와 같다.[枯魚銜索 幾何不蠹 二親之壽 忽若過隙]" 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어서호죽【魚書虎竹】사신(使臣)이나 자사(刺使)가 가지고 다니는 부절(符節)로, 어부(魚符)ㆍ호부(虎符)ㆍ죽부(竹符)를 가리킨 것이다. 《唐書 兵志》

어서호화【漁書狐火】어서는 고기 뱃속에서 나온 글이며 호화(狐火)는 불을 켜 놓고 여우 울음을 한 것을 말한다. 진(秦) 나라의 폭정(暴政)에 반기를 든 진승(陳勝)은 처음 거사(擧事)할 적에 사람들을 따르게 하기 위하여, ‘진승이 왕이 된다[陳勝王]’는 글을 비단에 쓴 다음 잡아놓은 고기의 뱃속에 넣었으며, 동모자(同謀者) 오광(吳廣)에게 근처의 총사(叢祠)에다가 사람을 시켜 초롱불을 켜놓고 여우의 울음으로 ‘초 나라가 일어나고 진승이 왕이 된다.[大楚興 陳勝王]’고 하게 하였다. 《史記 陳涉世家》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