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여로【黎老】노인을 말함. 여룡주【驪龍珠】깊은 물속에 사는 여룡의 턱 아래에 있다고 하는 보주(寶珠)로, 진귀한 사람이나 사물을 비유하는 말이다. 여리【閭里】동리(洞里). 여리박빙【如履薄冰】마치 얇은 얼음을 밟고 가듯 매사를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뜻. 《詩經 小雅 小旻》 여린촉처난구보【驪鱗觸處難求寶】용은 턱밑에 비린(批鱗)이라 불리는 역린(逆鱗)이 있는데, 만일 이 비늘에 찔리면 죽는다 한다. 그러므로 용이 갖고 있는 여의주(如意珠)를 구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훌륭한 도묘(道妙)를 터득하려면 수많은 고난이 뒤따름을 의미한 것이다. 여림심천【如臨深泉】깊은 샘가에 있는 것처럼 조심해야 함. 여마동【呂馬童】항우의 옛날 친구. 항우(項羽)가 패하여 오강(烏江)을 건너려 할 때 왕예(王翳)에게 저 사람이 바로 항우라고 가르쳐주어 그의 목을 베도록 했었음. 여망【呂望】강태공. 周文王의 스승. 점을 쳐서 스승으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있음. 여명【驢鳴】후한(後漢) 말에 위왕(魏王) 조조(曹操)의 아들 조비(曹丕)가 평소 친하게 지내던 왕찬(王粲)이 죽자, 함께 노닐던 이들과 함께 찾아와 조문하면서 “그가 나귀 울음소리를 좋아했으니 우리 모두 한 번씩 그 소리를 들려주어 그를 보내자.”고 하여, 조객 모두가 나귀 울음소리를 냈다는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傷逝》 여몽【呂蒙】재상 노숙이 병사(病死)하자 여몽은 그 뒤를 이어 오왕 손권을 보필, 국세(國勢)를 신장하는데 힘썼음. 여몽은 촉(蜀) 땅을 차지하면 형주(荊州)를 오나라에 돌려주겠다던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유비(劉備)의 촉군(蜀軍)을 치기 위해 손권에게 은밀히 위(魏)나라의 조조(曺操)와 화해‧제휴할 것을 진언, 성사시키고 기회를 노렸음. 그러던 중 형주를 관장하고 있던 촉나라의 명장 관우(關羽)가 중원(中原)으로 출병하자 여몽은 이 때를 놓이지 않고 출격하여 관우의 여러 성(城)을 하나하나 공략(攻略)한 끝에 마침내 관우까지 사로잡는 큰 공을 세움으로써 오나라의 백성들로부터 명장으로 추앙을 받았음. 여몽령【如夢令】옛 사패 이름. 일명 억선자(憶仙姿)라고도 하는 33자로 된 시체임. 《詞律 卷二》 여미화【酴醾花】꽃나무. 이 꽃가루를 술에 타면 술맛이 좋다고 한다. 여민동락【與民同樂】왕이 백성과 즐거움을 함께 나눔을 말한다. 여민해락(與民偕樂) 여반장【如反掌】손바닥을 뒤집는 것과 같이 매우 쉬움. 이여반장(易如反掌) 여배승흥【驢背乘興】시흥(詩興)이 일어날 만한 기막힌 분위기라는 말이다. 옛날 정계(鄭綮)가 “시를 한 편 짓기 위해서는, 눈 오는 날, 나귀를 타고 패교를 건너갈 때와 같은 분위기[灞橋風雪中驢子背上]가 필요하다.”고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全唐詩話 5 鄭綮》 여번【璵璠】춘추(春秋) 시대 노(魯) 나라의 보옥(寶玉) 이름이다. 여복【黎服】백성. 여복【汝復】이경용(李景容)의 자(字)이다. 여부【廬阜】강서성(江西省)에 있는 여산(廬山)을 가리킨다. 진(晉) 나라 때 혜원(慧遠)이 이 산에 있는 동림사(東林寺)에서 18명의 학승(學僧)들과 더불어 수업(修業)하면서 백련사(白蓮社)라고 하였다. 여부계원【廬阜溪源】송유(宋儒)인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의 마음 근원이라는 말이다. 주돈이가 만년에 강서(江西)의 여부(廬阜) 즉 여산(驪山) 연화봉(蓮花峯) 아래에 옮겨 와 살면서, 그 아래에 흐르는 냇물의 이름을 염계(濂溪)라고 하고는 이를 자신의 호로 삼았다. 《宋史 卷427 周敦頤傳》 여부주【廬阜酒】여부는 여산(盧山)을 말한다. 동진(東晋) 때 혜원(惠遠)이 여산에서 연사(蓮社)를 결성(結成)하여 도연명(陶淵明)에게 입사(入社)를 청하니, 연명이 말하기를, “술마시기를 허락하면 들어가겠다.” 하였다. 여분【餘分】여분은 정통(正統)이 되지 못하고 윤통(閏統)에 해당하는 국가에 대한 폄사(貶辭)이다. 여분【汝墳】여수(汝水) 가의 큰 제방을 이름. 《詩經 周南 汝墳》 여붕우교이불신호【與朋友交而不信乎】증자(曾子)가 하루에 세 가지를 돌아본 것 중의 하나로 벗과 사귀는 데에 신의로서 하지 않은 것이 있었는가?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