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예송【禮訟】조선조 효종 기해년에 효종이 승하하자, 장렬 왕후(莊烈王后)의 복제로 인한 예송(禮訟)이 유신(儒臣) 허목(許穆)ㆍ송시열(宋時烈)의 사이에서 일어났음. 예순이동【豫順以動】예는 모든 일을 미리 대비함으로써 즐거움을 얻게 된다는 뜻으로, 주역(周易) 예괘(豫卦) 단사(彖辭)에 “예는 순하고 동한다[豫順以動].” 하고, 또 “예의 시기와 의리가 크다[豫之時義 大矣哉].” 한 데서 온 말이다. 예양【豫讓】전국 시대 진(晉) 나라 사람으로, 조양자(趙襄子)를 죽여 지백(智伯)의 원수를 갚으려고 스스로 벙어리가 되기까지 했던 유명한 자객(刺客)이다. 조양자가 예양에게 “어째서 옛날 섬기던 주인을 위해서는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유독 지백을 위해서만 복수를 하려 하는가?”하고 묻자, “옛날 범씨와 중행씨를 섬길 때 그들이 나를 보통 사람[衆人]으로 대우했기 때문에 나도 그렇게 했지만, 지백은 나를 국사(國士)로 대했기 때문에 나 역시 국사의 입장에서 보답하려 하는 것이다.”라고 대답했던 고사가 있다. 《史記 卷86》 예양【豫讓】춘추 시대 진(晉) 나라 사람으로 임금 지백(智伯)이 조 양자(趙襄子)에게 죽임을 당하자, 몸에 옻칠을 하여 문둥이로 가장하고 숯을 삼켜 벙어리 행세를 하면서 원수를 갚으려 하였다. 그러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마침내 발각되어 죽었다. 《通鑑節要 周紀》 예양교【豫讓橋】전국 시대(戰國時代) 지백(智伯)의 충신 예양(豫讓)이 조양자(趙襄子)에게 피살된 다리. 양자가 그의 원수 지백을 죽이고 지씨의 종족을 멸하자, 지백의 국사(國士) 대접을 받던 예양은 원수를 갚기 위해 온몸에 옻칠하여 나환자처럼 꾸미고 숯을 삼켜 벙어리가 된 다음, 시장에서 걸인 행세를 하니 아무도 아는 자가 없었다. 마침 그를 알아본 친구가 “조양자를 섬기다가 기회를 노려 복수하면 쉬울 터인데 뭣하러 이런 고생을 하는가?" 하자 그는 글을 써서 대답하기를 “내가 이 짓을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내가 이것을 하는 뜻은 장차 천하 후세의 신하가 되어 두 마음을 품는 자를 부끄럽게 하려고 해서이다.” 하고는 끝내 충절을 지켰으며, 뒤에 양자를 죽이려고 다리 밑에 숨었다가 결국 발각되어 피살되었다. 예양탄탄감단시【豫讓呑炭邯鄲市】전국 시대 진(晉) 나라 지백(智伯)의 신하 예양(豫讓)이 자기 임금을 죽인 조양자(趙襄子)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몸에는 옻칠을 발라 문둥이처럼 꾸미고 숯불로 혀를 태워 벙어리 행세를 하면서 품안에 비수를 품고 조양자 변소에 들어가서 양자가 나타나기를 기다렸음. 《史記 卷86》 예예【橤橤】꽃술마다, 드리워져 떨어지는 모양 예예【曳曳】나부끼는 모양, 힘들일 때 내는 소리, 함성, 웃음소리 예예【呭呭】수다스러운 모양 예오【倪汚】난찬예오(嬾瓚倪迂)의 준말로 원(元) 나라 예찬(倪瓚)의 호. 시화(詩畫)에 능하였다. 만년에 전원에 묻혀 명화(名畵)와 전적을 많이 수집해 놓고 스스로 호를 운림거사(雲林居士)라 하였다. 예우【倪迂】예우는 원(元) 나라 때의 문인화가인 예찬(倪瓚)의 호이다. 예찬이 평소에 삼묘호를 왕래하면서 풍류를 즐겼다 한다. 예원【藝苑】글을 저술하는 일을 담당하거나 서책을 간수하는 곳으로, 홍문관과 예문관 따위를 가리킴. 예원【藝苑】예원은 국가의 문장 짓는 곳이나, 일정한 관청은 없고 지제교(知製敎)라는 관직만이 있다. 예원자황【藝苑雌黃】송(宋) 나라 엄유익(嚴有翼)이 지은 책으로, 현존하는 것은 후인의 가탁이라 함. 예원진【倪元鎭】원(元) 나라 때의 뛰어난 문인화가인 예찬(倪瓚)을 이름. 예찬의 자는 원진(元鎭)으로 시ㆍ서ㆍ화에 모두 뛰어났는데, 명(明) 나라가 창업함에 이르러 그는 대삿갓을 쓰고 일엽편주를 타고서 진택(震澤)ㆍ삼묘(三泖) 사이를 왕래하며 숨어살았다. 《明史 卷二百九十八》 예원치언【藝苑巵言】왕세정이, 명(明) 나라 서 정경(徐禎卿)이 찬한 담예록(談藝錄)과 엄우(嚴羽)의 창랑시화(滄浪詩話)의 미비점을 보충해 만든 책. 총 6권으로 되었음. 예위【禮闈】예위는 과거(科擧) 회시(會試)를 말한다. 예이가상【曳履歌商】장자(莊子) 양왕편(讓王篇)에 “뒤축이 없는 신발을 끌고 상송(商頌)을 노래하는데 소리가 금석(金石)에서 나오는 것 같았다.” 하였음.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