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완선【頑癬】완선은 피부병을 말함.

완선【頑仙】이제 막 초보 단계에 접어든 어수룩한 신선이라는 말이다.

완성군【完城君】최명길(崔鳴吉)의 봉호(封號)이다.

완시【宛市】지금의 하남성(河南省) 남양시(南陽市).

완안【完顔】여진족(女眞族). 대대로 중국 송화강(松花江) 동쪽에 살았는데, 송(宋) 나라 때에 와서 그 부족이 강대하여 금(金) 나라를 세웠다.

완안【阮眼】진(晉) 나라 완적은 예속(禮俗)의 선비를 싫어하여, 일찍이 모친상을 당했을 때 혜희(嵇喜)가 가서 정중히 조문을 하자 백안(白眼)으로 그를 대하더니, 혜희의 아우인 혜강(嵇康)이 술과 거문고를 가지고 가자 그제는 크게 기뻐하여 청안(靑眼)으로 그를 대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완안씨【完顔氏】완안씨(完顔氏)는 금(金) 나라이다.

완염【琬琰】둘 다 옥이름.

완완【宛宛】구불구불 길게 이어지는 모양, 용이 나는 모양, 부드러운 모양, 나긋나긋한 모양

완완【婉婉】낭창거리는 모양, 착하고 순한 모양, 아름다운 모양, 구불구불 구부러진 모양

완완【睕睕】해가 서산에 지는 모양

완우【阮瑀】삼국 시대에 위(魏)의 완우는 서기(書記)의 솜씨가 뛰어났다는 품평을 받았다.

완유【阮隃】완유는 산 이름.

완유【阮裕】완유는 진(晉) 나라 때 사람으로 자는 사광(思曠)인데, 사람은 글을 많이 배우는 것보다는 예절과 겸손한 행동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왕돈(王敦)에게 발탁이 되어 그의 주부(主簿)가 되었으나 그에게 아부하지 않아 쫓겨났으며, 나중에 임해(臨海)ㆍ동양(東陽) 두 군의 태수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晉書 卷四十九 阮裕傳》

완음획이개【頑陰劃已開】주역(周易) 64괘(卦) 가운데 일양(一陽)이 시생(始生)하는 지뢰복(地雷復 ▣)괘는 동짓날 자시(子時) 반(半)에 시작된다는 송(宋) 나라 소옹(邵雍)의 자반설(子半說)을 인용한 것이다.

완이【莞爾】빙그레 웃는 모양.

완적【阮籍】진(晉) 나라 때 죽림칠현(竹林七賢) 중의 한 사람. 자(字)는 사종(嗣宗)으로 제서(諸書)를 박람하였고 특히 노장(老莊)을 모범으로 삼았다. 평소 술을 너무 좋아하여 보병주(步兵廚)에 술이 1백 곡(斛)이나 저장되어 있다는 말을 듣고 보병교위(步兵校尉) 벼슬을 구하여 부임하자 매일 술에 취하여 업무를 폐할 정도였으며, 모상(母喪)을 당해서는 술에 취해 통곡하다 피를 쏟고 기절할 정도로 행동이 예절을 벗어났다 한다.《晉書 卷二十一》

완적곡【阮籍哭】진(晉)의 완적(阮籍)이 아무 곳이나 마음 내키는 대로 가다가 길이 막혀 더 이상 갈 수가 없으면 곧 수레에서 내려 통곡을 하고 되돌아왔었음.《晉書 卷四十九》

완적곡도궁【阮籍哭途窮】앞길이 가망이 없음에 상심하여서 통곡하는 것을 말한다. 진(晉) 나라의 명사인 완적은 사람됨이 활달하여 일반적인 격식에 구애받지 않았다. 그는 마음속에 답답한 일이 있으면 때때로 혼자서 수레를 타고 마음내키는 대로 길을 가다가 길이 막혀 갈 수 없는 곳에 이르러서는 한바탕 크게 통곡하고서 돌아왔다고 한다. 《晉書 卷四十九 阮籍傳》

완적광무탄【阮籍廣武嘆】진(晋) 나라 완적(阮籍)이 광무성(廣武城)에 올라서 옛날 초한(楚漢)의 전쟁하던 터를 보고 탄식하기를, “때에 영웅이 없어서 더벅머리 자식들로 하여금 이름을 이루게 하였도다.” 하였다. 이태백은 이 말을 그릇 해석하여, “초한(楚漢) 시절에 영웅이 없어 항우(項羽)ㆍ패공(沛公) 같은 더벅머리 자식들이 이름을 이뤘다는 뜻이라.” 하였고, 소동파(蘇東坡)는, “완적 자신이 사는 당시에 패공ㆍ항우 같은 영웅이 없어서 조조(曹操)나 사마의(司馬懿) 같은 더벅머리 자식이 이름을 이뤘다는 뜻이다.” 하였다.

완적도로곡【阮籍徒勞哭】진(晉) 나라 완적이 혼자 수레를 몰고 나갔다가 길이 막다른 곳에 이르러 문득 통곡하고 돌아온 고사가 있다. 《晉書 阮籍傳》

완적위주환【阮籍爲酒宦】진(晋) 나라 때 죽림칠현(竹林七賢) 가운데 한 사람인 완적이 매우 술을 좋아하여, 보병교위영(步兵校尉營)에는 술 3백 석을 저장해 두었다는 말을 듣고 자청하여 보병교위가 되었던 데서 온 말이다. 《晋書 卷四十九》

완적장소【阮籍長嘯】진(晉) 나라 사람. 자(字)는 사종(嗣宗),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하나. 박학하였고 장로(莊老)를 즐겼으며, 휘파람을 잘 불고 거문고에 능했다.

완적청안【阮籍靑眼】푸른 눈이란 곧 반겨주는 표정의 눈을 말한다. 진(晉) 나라 완적이 본디 법도 있는 선비를 미워하여 자기 어머니 초상을 당했을 때, 혜희(嵇喜)가 예의를 갖추어 조문하자 그것이 못마땅하여 눈을 희게 뜨더니, 혜강(嵇康)이 술과 거문고를 가지고 찾아가자 그제야 좋아하여 눈을 푸르게 떴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晉書 卷四十九 阮籍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