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용사【龍蛇】걸출한 인물들을 가리킨다. 춘추 시대 진(晉) 나라 숙향(叔向)의 모친이 “깊은 산 큰 못에는 용사(龍蛇)가 나게 마련이다. 저 여자가 아름다우니, 나는 그가 용사와 같은 아들을 낳아 너희들을 해칠까 두렵다.” 하였는데, 그 주에 “용사란 비상한 물(物)을 말한다.” 하였다. 《春秋左傳 襄公 21年》

용사【龍沙】총령(葱嶺) 근처에 있는 사막인 백룡퇴(白龍堆)를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변경 밖의 먼 지역을 가리킨다. 후한서(後漢書) 반초전(班超傳) 논(論)에 “총설을 활보하고 용사가 지척 사이였다.[坦步葱雪咫尺龍沙]" 고 한 데서 인용된 말. 그는 본시 큰 뜻이 있어 붓[筆]을 던져 버리고 서역(西域)에 출정(出征)하였다가 그곳의 도호(都護)가 되어 부족(部族)들을 안무시켰고 그곳에 있은 지 31년 만에 돌아왔다.

용사【龍蛇】사납게 대드는 흉악한 무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두보(杜甫)의 시에 “간과를 제멋대로 휘두르면서, 참담하게 용사가 대든다마는.[干戈雖橫放 慘憺鬪龍蛇]”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그 주(註)에 “간과(干戈)와 용사(龍蛇)는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杜少陵詩集 卷4 喜晴》

용사【龍蛇】용과 뱀. 불인어록(佛印語錄)에 “범인(凡人)과 성인(聖人)이 함께 사는 것이 마치 용과 뱀이 한데 섞여 있는 것과 같다.” 하였다. 이는 서로가 해치지 않았다는 비유이다.

용사【龍梭】중국 진(晉) 나라 때의 도간(陶侃)이 어렸을 때, 뇌택(雷澤)에서 그물질하다가 북을 하나 건져 벽에 걸어 놓았더니, 잠시 후에 천둥치고 비가 내리면서 그 북이 절로 용으로 변하여 날아가 버렸다는 고사가 있다. 《晉書 陶侃傳》

용사경몽【龍蛇驚夢】용사는 지지(地支)의 진사(辰巳)에 해당하는데, 진사년에는 현인(賢人)이 죽는다는 데서 온 말이다. 후한 때 정현(鄭玄)이 어느날 밤에 꿈을 꾸니,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일어나거라, 금년은 태세가 진(辰)에 있고, 내년은 태세가 사(巳)에 있다.” 하므로, 꿈을 깨고 나서 참서(讖書)로 맞추어 보고는 자기가 죽을 줄을 알았는데, 과연 그해에 죽었다고 한다. 《後漢書 鄭玄傳》

용사구참【龍蛇舊讖】용사(龍蛇)는 진년(辰年)과 사년(巳年)을 말한다. 후한(後漢)의 정현(鄭玄)이 “올해는 진년이고 내년은 사년이다.”라는 공자의 꿈을 꾸고 나서 그해에 죽었다는 고사에 연유하여 현인(賢人)의 죽음을 말하는 표현으로 쓰이게 되었다. 《後漢書 鄭玄傳》

용사루【龍蛇壘】용사는 비범한 인재를 말하기도 하고, 병기의 창을 가리켜 말하기도 한다. 여온(呂溫)이 창을 하사받고 사례하는 글에 무고(武庫)의 용사가 갑자기 누항에 날아왔다고 한 말이 있다.

용사비등【龍蛇飛騰】용과 뱀이 나는 것과 같이 글씨가 힘찬 것을 형용하는 말이다.

용사새상미인수【龍沙塞上美人愁】용사는 총령(蔥嶺) 근처에 있는 사막인 백룡퇴(白龍堆)를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변경 밖의 먼 지역을 가리킨다. 한(漢) 나라 원제(元帝) 때 궁녀(宮女)인 왕소군(王昭君)이 뛰어난 미모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황제의 총애를 입지 못하다가 궁중 화가(宮中畫家)의 농간에 의해 흉노(匈奴)의 선우(單于)에게 시집가게 되었는데, 흉노의 땅으로 갈 적에 비파를 들고 변방 땅을 지나면서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것을 생각하면서 눈물을 흘렸다. 《漢書 卷94下 匈奴傳》

용사세【龍蛇歲】후한(後漢)의 대유(大儒) 정현(鄭玄)이 죽을 때의 고사임. 정현의 꿈에 공자(孔子)가 나타나 이르기를 “빨리 일어나라. 금년은 용해이고 내년은 뱀해이니라.” 하였는데, 잠을 깨어 그 말을 비결로 맞춰보고 자기가 죽을 것을 알았으며 그해 6월에 죽었다고 한다. 《後漢書 卷三十五 鄭玄傳》

용사원【龍沙怨】왕소군(王昭君)이 흉노의 선우(單于)에게 시집가면서 슬퍼한 고사를 말한다. 용사는 총령(蔥嶺) 근처에 있는 사막인 백룡퇴(白龍堆)를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변경 밖의 먼 지역을 가리킨다. 한(漢) 나라 원제(元帝) 때 궁녀(宮女)인 왕소군이 뛰어난 미모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황제의 총애를 입지 못하다가 궁중 화가(宮中畫家)의 농간에 의해 흉노(匈奴)의 선우에게 시집가게 되었는데, 흉노의 땅으로 갈 적에 비파를 들고 변방 땅을 지나면서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것을 생각하면서 눈물을 흘렸다.《漢書 卷94下 匈奴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