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용장【龍藏】석가모니(釋迦牟尼)가 세상을 떠난 지 6백 년 뒤에 용수보살(龍樹菩薩)이 용궁(龍宮)에 감춰져 있는 화엄경(華嚴經)을 가져 왔다는 전설(傳說)이 있다.

용장방란【容長芳蘭】믿고 의지했던 사람이 실속 없이 겉모양만 꾸몄던 것을 알고 실망한 것을 뜻한다.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내가 향초라 여겨 의지했는데, 알맹이는 하나 없고 겉만 번지르르.[余以蘭爲可恃兮 羌無實而容長]”라 하였다.

용재【容齋】용재는 중종(中宗) 때의 상신(相臣) 이행(李荇)의 호로, 택당의 고조(高祖)이다. 남곤(南袞)이 정승에 임명되면서 대제학의 면직을 청하자, 중종이 이어받을 만한 자를 추천하라고 하였는데, 이행(李荇)이 매우 합당하긴 하나 품계(品階)가 낮다고 하자, 중종이 그를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로 특진시켜서 수(守) 대제학으로 임명하였다. 수(守)는 품계에 비해 관직이 높을 경우에 벼슬 이름 위에 붙여 일컫던 말이다. 참고로 대제학은 정2품의 관직이다.

용재공【容齋公】용재는 이행(李荇)의 호이다. 박은과 절친하게 지냈던 벗으로서, 그의 시를 모아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를 냈다. 이식(李植)은 바로 그의 현손(玄孫)이다.

용저【龍猪】용과 돼지. 즉 준수한 사람과 노둔한 사람을 비유한 말이다. 사람의 지혜롭고 어리석음이 몹시 다름을 말한 것인데, 한퇴지(韓退之)의 시에, “30세에 골격이 이루어지면, 하나는 용 되고 하나는 돼지 되네. 묻노니, 왜 그리 되는고. 배우고 안 배움이로다.” 한 구절이 있다.

용저【舂杵】용저는 방아를 찧을 때 힘을 북돋우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사기(史記) 제68권 상군열전(商君列傳)에, “오고 대부(五羖大夫) 백리해(百里奚)가 죽었을 때에는 진나라의 남녀들이 모두 눈물을 흘렸으며, 어린아이들은 가요(歌謠)를 부르지 않았고, 방아를 찧는 자들은 방아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이것이 오고 대부의 덕이다.” 하였다.

용절【龍節】왕명을 받들어서 사신으로 나가는 자가 가지고 가는 용을 그려 넣은 부절(符節)이다. 주례(周禮) 지관(地官) 장절(掌節)에 “산국(山國)엔 호절(虎節), 토국(土國)엔 인절(人節), 택국(澤國)엔 용절(龍節)을 쓴다”하였다.

용정【龍庭】북쪽 지방의 별칭. 본래 흉노(匈奴)의 선우(單于)가 천지의 귀신에게 제사지냈던 장소로 오랑캐 땅을 가리킨다.

용정【龍旌】사신(使臣)이 들고 가는 깃발을 말한다.

용정【龍旌】용을 그린 깃발로, 고대에 왕의 의장용으로 사용되었음.

용정【龍亭】용정은 궁내(宮內)의 전정(殿庭)이다.

용정【龍井】용정은 차[茶]의 별칭이다.

용정점【龍睛點】글 가운데 요점을 드러냄을 말한다. 수형기(水衡記)에 “장승유(張僧繇)가 금릉(金陵) 안락사(安樂寺)에서 네 마리 용을 그리면서 눈동자를 그리지 않고 말하기를 ‘그리면 곧 날아갈 것이다’ 하였다. 사람들이 믿지 않고 강요해서 찍게 했더니 갑자기 번개가 치면서 용이 날아가 버렸다.” 하였다.

용제【龍蹄】오이[苽]의 별칭.

용조【容祖】택당의 고조(高祖)인 용재(容齋) 이행(李荇)을 말한다.

용졸존도【用拙存道】졸(拙)을 써서 도(道)를 보존함.

용종【龍種】서역(西域)에서 생산되는 준마(駿馬)이다.

용주【龍舟】용주는 용 모양을 장식한 큰 배로, 황제가 타는 배를 말한다.

용주금람【龍舟錦纜】수양제가 운하(運河)를 통해 강남(江南)을 순행(巡行)할 때, 자신은 용주에 타고 소후(蕭后)는 봉모(鳳艒)에 태운 뒤, 돛과 닻줄을 모두 비단으로 만들게 하고는, 장장 200여 리에 걸쳐 수백 척의 배로 자신을 뒤따르게 했던 고사가 전한다. 《隋書 卷24 食貨志》

용즉행사즉장【用則行捨則藏】논어(論語) 술이(述而)에 “나를 써 주면 세상에 도를 행하고 나를 버리면 세상을 떠나 은둔한다.[用之則行 舍之則藏]”는 공자의 말이 실려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