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원공【園公】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인 동원공(東園公)을 말한다. 성현군보록(聖賢群輔錄) 상(上)에 “동원공의 성은 원이고 이름은 병(秉)이고 자는 선명(宣明)인데, 진류(陳留) 양읍(襄邑) 사람으로 늘 원중(園中)에 거처하였으므로 원공이라 불렀다.” 하였다. 원공【遠公】원공은 진(晉) 나라 때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 있었던 고승(高僧) 혜원법사(慧遠法師)를 가리키는데, 그가 하루는 당대의 고사인 도잠(陶潛)ㆍ육수정(陸修靜)을 전송할 때 이야기에 팔려 자기도 모르게 호계를 건너가 범 우는 소리를 듣고서야 비로소 정신을 차리고 세 사람이 서로 크게 웃었다는 고사가 있다. 원공【猿公】전국시대 월 나라의 검술에 능했다는 전설 속의 인물. 구야자(歐冶子)가 월 나라 왕 구천(句踐)을 위해 명검을 만들어 구천이 그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검술에 능한 어떤 처녀를 불렀는데, 그녀가 원공이라 자칭하는 한 노인을 만나 함께 칼을 시험하였다는 데서 나왔다. 《吳越春秋 句踐陰謀外傳》 원공당【遠公堂】원공의 법당으로 곧 중이 있는 절간을 뜻한다. 원공은 동진(東晉) 때의 고승으로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 있으면서 유유민(劉遺民)ㆍ종병(宗炳)ㆍ혜영(慧永) 등 18인과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하여 정토(淨土)의 불법을 닦았다. 원공재광산【遠公在匡山】원공은 진(晉) 나라 고승(高僧) 혜원법사(慧遠法師)인데, 그가 광산에 있을 적에 도연명(陶淵明)ㆍ육수정(陸修靜)과 어울려 놀았다. 《廬山記》 원관【園官】농원(農園) 관리자 원관송채【園官送菜】도독(都督)의 채소밭을 가꾸는 관리가 도독의 명으로 두보에게 야채를 가져다 주면서 겨우 명목만 채울 뿐 성의 없이 대하는 것을 개탄하여 지은 ‘원관송채(園官送菜)’라는 시가 있다. 《杜少陵詩集 卷19》 완화당은 성도(成都) 완화계(浣花溪) 옆에 있던 두보의 초당(草堂)을 가리키고, 택풍당은 여강(驪江)에 있던 택당의 집 이름이다. 원광【圓光】특히 불(佛), 보살(菩薩) 등의 이마 위에서 방사(放射)하는 원륜(圓輪)의 광명(光明)을 가리키는 말이다. 원굉【袁宏】진(晉) 나라 원굉이 소싯적에 집이 가난하여 남의 집 세미(稅米)를 운반해 주며 생계를 꾸려 나갔는데, 어느 날 배를 타고 가며 자기가 지은 영사시(詠史詩)를 읊었을 때, 마침 뱃놀이를 하며 달을 감상하던 진서 장군(鎭西將軍) 사상(謝尙)의 눈에 띄어 크게 인정을 받고 명성을 날리게 되었던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文學》 원교【員嶠】발해(渤海)의 동쪽에 있다는 다섯 선산(仙山) 가운데 한 산의 이름이다. 원교【圓嶠】전설 속의 선산(仙山), 즉 발해에 있다는 삼신산(三神山). 은사(隱士)나 신선이 사는 곳을 말한다. 원교근공【遠交近攻】중국 전국 시대 위(魏) 나라 범수가 주장한 외교정책. 먼 곳에 있는 나라와 우호관계를 맺고 가까이 있는 나라를 하나씩 쳐들어가는 일. 원교산【員嶠山】발해(渤海)의 동쪽에 있다는 다섯 선산(仙山) 중의 하나.《列子 湯問》 원구【轅駒】멍에 메고 수레를 끄는 데 익숙하지 않은 망아지로, 맡은 일에 비하여 힘이 부족하거나 기국이 작은 사람을 뜻한다. 원구【元舅】원구는 왕의 외척(外戚). 임금의 장인(丈人)을 말한다. 원군【元君】원군은 여도사(女道士)의 칭호이다. 원규【元規】유량(庾亮)의 자. 원규진【元規塵】원규(元規)는 곧 진(晉) 나라 유량(庾亮)을 자. 왕도(王導)는 유량의 권세가 너무 중한 것을 미워하여 항상 서쪽 바람이 불 때면 부채로 낯을 가리고 “원규(元規)의 티끌이 사람을 더럽힌다.” 하였다. 《晉書 卷六十五 王導傳》 원금함석전해평【寃禽銜石塡海平】염제(炎帝)의 딸이 동해(東海)에 빠져 죽은 뒤 정위(精衛)라는 새로 변해 그 원한을 풀려고 늘 서산(西山)의 목석(木石)을 입에다 물고서 동해에 빠뜨려 메우려고 했던 이야기가 전한다. 《山海經 北山經》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