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유칙【遺則】남겨준 법도. 유탕【流蕩】이리저리 떠돌아다니다. 유태【有邰】시조(始祖)의 외가(外家)를 비유한 말. 주(周) 나라의 시조 후직(后稷)의 모친 강원(姜嫄)이 유태에서 왔으므로 이른 말이다. 뒤에 후직을 그 나라에 봉하였음. 《史記 周紀》 유편【兪扁】황제(黃帝) 때의 의원인 유부(兪蚹)와 주(周) 나라 때의 의원인 편작(扁鵲)을 합칭한 말로, 뛰어난 명의(名醫)를 말한다. 《史記 卷一百五 扁鵲列傳》 유피옹종장생목【瘤皮臃腫莊生木】원래는 나무에 혹이 생기고 울퉁불퉁하여 소용되지 않는 나무라고 장자(壯子)가 말한 것이 있다. 유필유방【遊必有方】자식은 부모가 생존해 계실 때는 그 슬하에서 모셔야 하며 비록 유학(遊學)을 할지라도 부모가 알 수 있도록 반드시 일정한 곳에 머물러야 한다는 뜻. 유하【流霞】한 잔만 마셔도 몇 달 동안 배고픔을 모른다는 신선의 술 이름이다. 《論衡 卷7 道虛》 유하【流霞】날아 움직이는 붉은 구름빛으로, 하늘의 정기를 뜻한다. 유하【游夏】유하는 공자의 제자 가운데 특히 문학(文學)이 뛰어났던 자유(子游)와 자하(子夏)를 합칭한 말인데, 자유는 공자보다 45세 아래였고, 자하는 공자보다 44세 아래였다. 유하배【流霞杯】유하는 한 번 마시면 몇 달 동안 배고픈 줄을 모른다는 신선의 술 이름이다. 유하정【流霞亭】유하정은 광희문(光熙門)에서 10리 거리인 두모포(豆毛浦) 가에 있음. 유하주【流霞酒】신선이 마시는 술. 곧 좋은 술을 뜻한다. 유하혜【柳下惠】유하혜는 춘추 시대 노(魯) 나라의 어진 대부로, 이름은 획(獲)인데, 유하(柳下)에 살았으므로 유하혜라고 불렀다. 유항【有恒】늘 법도에 맞게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주역(周易) 가인괘(家人卦) 상사(象辭)에 “군자는 이 괘를 보고서 신실하게 말하고 상도(常度)에 맞게 행동하느니라.[君子 以 言有物而行有恒]”하였다. 유항건곤경일낙【劉項乾坤傾一諾】유씨(劉氏)는 한(漢)의 유방(劉邦), 항씨(項氏)는 초(楚)의 항우(項羽)를 가리킨다. 한신이 연전 연승한 공으로 제왕(齊王)에 봉해지니, 항우는 점점 두려워하여 변사(辯士) 무섭(武涉)을 보내어 “현재 두 임금의 일이 족하(足下)에게 달렸으니 족하가 한 나라를 돌보면 한이 이기고 초 나라를 돌보면 초가 이긴다.” 하였으므로 한신의 말 한마디에 초ㆍ한의 승부가 달렸음을 말한 것이다. 《漢書 韓信傳》 유항선생【柳巷先生】한상경(韓尙敬)의 아버지인 한수(韓脩)를 말한다. 한수는 고려 말기의 문장ㆍ명필로, 그의 호가 유항(柳巷)이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유행【儒行】예기(禮記)의 편명. 유향【劉向】전한(前漢) 때의 경학자(經學者). 특히 좌씨전(左氏傳)을 매우 숭상하여 강론과 저술을 많이 하였다. 한(漢)나라 국족으로서 경술(經術)연구에 몰두하여 잠을 자지 않고 밤을 꼬박 새우기가 일쑤였고 뒤에 홍범오행전(洪範五行傳)ㆍ열녀전(列女傳)ㆍ설원(說苑)등 많은 저술을 남긴 대학자이다. 성제(成帝)때 외척 왕씨가 정권을 독단하고 큰 재변이 자주 일어나자, 재변이 일어난 이유가 외척의 세력이 강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홍범오행전론(洪範五行傳論)을 지어 천자에게 올림으로써 왕씨의 권력을 빼앗도록 유도하였는가 하면, 왕릉의 규모를 너무 사치스럽게 만드는 것에 대한 잘못을 간하는 등 여러 번 충언을 올렸으나 천자가 나약하여 한 번도 그의 말을 시행하지 못했다.《漢書 卷三十六 劉向傳》 유향【遺響】여운(餘韻)과 같은 뜻. 유향련군【劉向戀君】한(漢) 나라 원제(元帝) 때 학자인 유향(劉向)이 외척(外戚)을 견제하려 하다가 하옥되고 재이(災異)로 인하여 시정(時政)을 비판하다가 오랫동안 벼슬길에서 물러났던 것을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