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은병【銀甁】송(宋) 나라 충신 악비(岳飛)의 딸이다. 악비는 잡혀 죽게 되자 은병을 안고 샘에 빠져 죽었다. 《西湖志》

은불률【銀不律】은불률은 은필(銀筆)의 별칭으로, 필(筆)을 3품(品)으로 나눌 때에 덕행이 청수한 자에게 은필로 써 준다는 고사가 전한다. 《全唐詩話 韓定辭》

은사재주서【殷祀載周書】은(殷) 나라는 해를 ‘사(祀)’라 하였고, 주(周) 나라는 ‘연(年)’이라 하였다. 주서(周書)는 주 나라의 책을 말하는데 여기에서는 서경(書經) 홍범(洪範)을 말한다. 서경(書經) 洪範에 “13사(祀)에 무왕(武王)이 기자(箕子)를 방문하였다.[惟十有三祀 王訪于箕子]" 하였는데, 주 나라 책인 홍범에다 은 나라의 ‘사(祀)’를 쓴 것은 멸망한 은 나라의 친척인 기자를 높였기 때문이라 한다.

은산【銀蒜】은으로 마늘 조각 모양을 만들어 발[簾]에 달아 그 중량에 의해 잘 늘어지게 하는 장식.

은상림용【殷相霖用】은나라 정승 부열(傅說)을 가리키는 말. 은 나라 고종(高宗)은 부열을 정승으로 임명하면서 이르기를 “만일 오래 가물면 너로써 장마[霖雨]를 삼으리라.” 하였다. 《書經 說命》

은수【恩數】임금이 특별히 내리는 하사품(下賜品).

은실요림우【殷室饒霖雨】은(殷)나라의 무정이란 임금이 정승 부열에게 말할 적에, “만일 나라 안에 가뭄이 있으면 그대로 장마 비를 삼으리라” 한 말이 있다.

은어【銀魚】은어는 옛날 고기 뱃속에서 편지가 나왔다는 고사에 의해 즉 편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은어【銀魚】은어는 은어대(銀魚袋)의 약칭으로 은으로 만든 물고기 모양의 패식(佩飾)인데, 당 나라 때 5품 이상의 관리가 궁궐에 출입하는 신표(信標)로 사용하였다.

은어대【銀魚帶】당대(當代)에 5품 이상의 관원이 차던 관인(官印)인데, 보통 지방 수령의 상징적 표현으로 많이 쓰고 있다.

은어학사괘관초【銀魚學士挂冠初】시종신인 문학사의 직책을 사직했다는 말이다. 은어(銀魚)는 당(唐) 나라 때 5품(品) 이상의 관원이 패용(佩用)했던 은(銀)으로 만든 어부(魚符)이다. 한(漢) 나라 봉맹(逢萌)이 왕망(王莽)의 폭정을 접하고는, 곧장 의관(衣冠)을 벗어 성문(城門)에 걸어 놓고 가족과 함께 요동(遼東)으로 떠난 고사가 있다. 《後漢書 逸民傳 逢萌》

은영【恩榮】은영은 은총과 영광으로 주로 임금의 은총을 받는 것을 말함.

은영연【恩榮宴】과거 급제자에게 임금이 베풀어 주는 연회를 말한다.

은은【狺狺】개가 서로 으르렁거리며 물어뜯는 소리.

은은【憖憖】공경하는 모양, 교만을 떨며 자기 몸을 낮추지 않는 모양

은은【殷殷】근심 걱정이 많은 모양, 멀리서 들려오는 소리가 힘차고 큰 모양, 사람이 많은 모양

은은【慇慇】매우 근심하는 모양

은은【垠垠】연이어 높이 솟은 모양

은인자중【隱忍自重】겉으로 나타내지 않고 스스로 참으며, 몸가짐을 신중하게 한다.

은인청수【銀印靑綬】은인장과 푸른 인끈.

은일【隱逸】국화의 별칭. 송(宋) 나라 주돈이(周敦頤)의 애련설(愛蓮說) 가운데 보이는 “나는 국화를 꽃 중에서 은자라고 한다.”라는 구절에서 나온 말이다.

은일【隱逸】은일(隱逸)로 살아간 도연명(陶淵明)이 국화를 매우 사랑하였고, 주무숙(周茂叔)의 애련설(愛蓮說)에, “국화는 꽃 중에 은일(隱逸)이다.” 하였다.

은일【隱逸】주렴계(周濂溪)는 “국화는 꽃 중의 은일(隱逸)이라.”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