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이규보【李奎報】고려 숙종 때 사람. 자는 춘경(春卿). 호는 지헌(止軒) 또는 백운거사(白雲居士). 본관은 여주.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거쳐 태자태보(太子太保)가 됨. 기개가 있고 강직한 성품으로 인중룡(人中龍)의 경가를 들었다. 호탕 활달한 시풍(詩風)으로 당대를 풍미했고 2천 수가 넘는 시를 남겼음. 저서에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이 있음. 시호는 문순(文順).

이극【李克】전국 시대 위(魏) 나라 문후(文侯)의 신하.

이금【泥金】금분(金粉)으로 꾸민 서전(書箋)인데, 당(唐) 나라 때에 새로 급제(及第)한 사람은 가서(家書)에다 이것을 첨부하여 등과(登科)의 희소식을 전했던 데서 온 말이다.

이금보【泥金報】금분(金粉)으로 장식한 서신을 말하는데, 당(唐) 나라 때 새로 급제한 사람은 가서(家書)에다 이금첩(泥金帖)을 첨부해서 등과(登科)의 기쁜 소식을 전했던 데서 온 말이다.

이금오【李金吾】이금오는 당(唐) 나라 명장 이정(李靖)을 말하는데, 이정은 병법(兵法)에 뛰어나 고조(高祖) 태종(太宗) 2대에 걸쳐 행군대총관(行軍大總管)으로서 누차 출정하여 위대한 공훈을 세웠다. 《舊唐書 卷六十六》

이기【離奇】이리저리 구부러지고 엉킨 모양.

이기【梨祈】’梨祈’는 ‘梨其’인데 약초임.

이기【李錡】당(唐) 나라 사람. 관직을 역임하면서 많은 보화를 축적하여 권세가에게 뇌물을 주고 출세하였으며 드디어는 황제의 총애까지 받았으나 뒤에 모반하다가 복주(伏誅)되었다.

이기【李寄】동월(東越) 민(閩) 지방 산간지대에서 거대한 이무기가 늘 해를 입혔다. 관리는 무당의 말만 믿고 소녀를 강제로 이무기에게 먹이로 바쳤는데, 여러 해 동안 죄 없는 소녀 아홉 명이 벌써 이무기의 먹이가 되었다. 소녀 이기가 예리한 칼과 먹을 것, 사냥개 등을 준비해 용감하게 나아가 이 거대한 이무기를 단번에 죽여 그 지방의 큰 화근을 제거한다.

이기【二紀】한 기(紀)는 12년.

이기발형신【利器發硎新】달인(達人)의 경지에서 일을 능수능란하게 처리했다는 말이다. 옛날 유명한 백정이 오랜 세월 소를 잡았는데도 그 칼을 보면 무디어지지 않고 항상 숫돌에서 금방 꺼낸 것과 같았다.[刀刃若新發於硎]는 일화에서 유래한 것이다. 《莊子 養生主》

이기오행【二氣五行】이기는 음양(陰陽), 오행은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

이기체【移氣體】환경이 좋은 곳에서 수양을 하지 못했다는 뜻. 맹자(孟子) 진심상(盡心上)에 “거처가 사람의 기를 옮겨 놓으며 수양이 체질을 옮겨 놓는다.[居移氣 養移體]" 한 말이 있으므로 인용한 것이다.

이낙【伊洛】이수(伊水)와 낙수(洛水). 정자(程子)와 주자(朱子)가 이곳에서 강학하였다.

이난【二難】난형난제(難兄難弟), 즉 형제가 모두 훌륭한 것을 가리킨다.

이난【二難】이난은 두 가지 갖추기 어려운 것으로, 즉 현주(賢主)와 가빈(嘉賓)을 말한다.

이난별학【離鸞別鶴】난새와 학은 신선이 타고 다니는 것인데 그것들이 다 곁을 떠나 신선 생활을 할 수가 없으므로 원망스럽다는 것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