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남【二南】시경(詩經) 국풍(國風)의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가리키는데, 왕화(王化)의 기초가 되는 가장 아름다운 시풍(詩風)이라 하여 일컫는 말이다. 이남【二南】시경(詩經)의 주남(周南)ㆍ소남(召南) 두 편. 주(周)의 문왕(文王)과 소공(召公)의 교화로 백성이 잘 다스려져 읊어진 시들이다. 이남관기편【二南冠基篇】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은 시경(詩經)의 편명(篇名)으로 맨 앞에 있는데, 여기에는 훌륭한 후비(后妃)의 덕을 칭송(稱頌)한 것이 많다. 훌륭한 후비를 얻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주(周) 나라의 왕업(王業)이 이에서 비롯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이노백고지【狸奴白牯知】이노는 불가의 육십심(六十心)의 하나인 이심(貍心)으로 이노가 금조(禽鳥)를 잡아먹기 위하여 숨을 죽이고 천천히 나아가는 것을 말함. 이능【李陵】이능은 한 무제(漢武帝) 때 흉노와 싸우다 선우(單于)에게 항복한 장군 이름이다. 이능송백벽연면【二陵松柏碧連綿】두 능은 봉은사 곁에 있는 선릉(宣陵)과 정릉(靖陵)이다. 임진왜란 때 왜병에 의해 파헤쳐진 것을 다시 수습하여 봉분을 쌓은 뒤로 오랜 세월이 흘렀다는 것이다. 선조 말기에 일본에 사신을 보낼 때 윤안성(尹安性)이 풍자하는 시를 짓기를 “회답사란 이름 띠고 어디로 향해 가나 오늘날에 화친이라 내 그 뜻 모를레라 한강가에 이르러 저쪽 한번 바라보소 두 능의 송백 아직도 가지 아니 자랐는 걸[使名回答向何之 此日交隣我未知 試到漢江江上望 二陵松柏不生枝]" 하였는데, 다산이 그것을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箕雅 卷四》 이니【旎旎】왕성한 모양 이니【泥泥】풀잎이 부드럽고 윤기가 있는 모양, 이슬에 흠뻑 젖은 모양 이니【伊尼】불서(佛書)에 나오는 사슴의 이명(異名)이다. 《事物異名錄 獸畜 鹿》 이당【李唐】당 고조(唐高祖) 이연(李淵)이 수(隋) 나라를 이어받아 천하를 차지하였으므로 이당(李唐)이라 이름. 이당【李唐】당(唐) 나라 임금의 성이 이(李)였기 때문에 당 나라를 이렇게 일컬음. 이대【鯉對】이정(鯉庭)과 같은 뜻으로, 아들이 아버지의 교훈을 받는 것을 말한다. 논어(論語) 계씨에 “공자가 일찍이 혼자 서 있는데 이(鯉)가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가자, 공자가 ‘너 시(詩)를 배웠느냐?’ 하니, 이가 대(對)하여 아뢰기를’ 배우지 못했습니다.’고 했다.” 한 데서 온 말이다. 이대【移帶】허리띠를 옮긴다는 것은 병을 앓아 몸이 야위어져서 허리띠를 졸라맨다는 것이다. 이대례【二戴禮】중국의 예전(禮典)을 뜻하는 말이다. 서한(西漢)의 금문 경학가(今文經學家)로서 숙질(叔姪)간인 대덕(戴德)과 대성(戴聖)이 편찬한 대대례(大戴禮)와 소대례(小戴禮)를 이대례 혹은 이대(二戴)라고 하는데, 소대례는 바로 지금 전해지는 예기(禮記)이다. 이대문헌【二代文獻】두 대는 하(夏)ㆍ은(殷)인데, 은 나라 사람인 기자(箕子)가 하우(夏禹)의 홍범(洪範)을 전하였다는 말이다. 이대원【李大源】이대원은 선조(宣祖) 20년(1587)에 녹도 만호(鹿島萬戶)로 왜구(倭寇)를 대파한 뒤에 왜적에게 붙잡혀 끝내 항복하지 않고 순절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