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일금일학【一琴一鶴】송 나라 조변(趙卞)의 고사(故事)인데, 촉주 자사(蜀州刺使)로 부임하면서 가지고 가는 물건은 거문고 하나 학 한 마리뿐이었다고 함. 《宋史 趙卞傳》

일급【日及】목근화(木槿花)의 별칭. 이 꽃은 아침에 피었다가 저물녘에 떨어져버리므로 이렇게 이름한 것이다.

일긍【一矜】긍(矜)은 자신의 견해를 지나치게 고수한다는 뜻임. 일긍은 사람이 지닌 세가지 객기인 광(狂)ㆍ긍(矜)ㆍ우(愚) 가운데 하나임. 《論語 陽貨》

일기【逸氣】세속을 초탈한 청수한 기운.

일기【日圻】일기(日畿)와 같은 말로, 도성과 그 부근의 지역을 가리킨다.

일기【壹氣】지순한 기. 도.

일기당천【一騎當千】무예가 아주 뛰어남을 비유. 한 명의 기마병이 천 명을 당해냄. 매우 용맹함을 표현하는 말. 만부부당지용(萬夫不當之勇)

일남【日南】일남은 중국의 교주(交州)에 속하는 남방의 군명(郡名)으로, 그곳의 바다 속에서 보주(寶珠)가 많이 생산된다고 한다. 이백(李白)의 시에 “멀리 일남의 길손에게 부친다.[遠寄日南客]”는 표현이 있다. 《李太白集 卷4 黃葛篇》

일남화【日南花】일남지(日南至)로 동지(冬至)를 가리킨다. 동지는 12월 22~23일 경에 드는데, 동지를 사이에 두고 한 해가 가고 한 해가 온다는 뜻이다.

일년삼수영지【一年三秀靈芝】지초는 신령스런 풀로 1년에 세 번 꽃이 핀다고 한다. 《爾雅翼 芝》

일년이극비【一年二極備】한 해에 여름에는 더위가 극에 달하고, 겨울에는 추위가 극에 달했음을 뜻함. 서경(書經) 홍범(洪範)에 “한 가지만 극도로 갖추어져도 흉하고, 한 가지만 너무 없게 되어도 흉하다.[一極備凶 一極無凶]”하였다.

일념성광【一念聖狂】한 생각에 성인이 되거나 미치광이가 됨.

일념향【一捻香】한 곳에다 마음을 한결같이 쏟는 것.

일념홍【一捻紅】당 명황(唐明皇) 때에 어느 사람이 모란(牡丹)을 드리니 양 귀비(楊貴妃)가 손가락으로 꽃잎에 점을 찍고 선춘관(仙春館)에 심게 하였다. 다음해에도 그 꽃잎에 손가락 자국이 있었으므로, 일념홍(一捻紅)이라 하였다 한다. 《靑▣高議》

일단【一簞】논어(論語)에, “회[顔回]는 한 대바구니 밥과 한 바가지 물을 마시는 생활로서 누추한 거리에 산다.” 하였다.

일단【一端】맹자(孟子)가 말한 사단(四端) 가운데 인(仁)을 말한다.

일단【一端】한 끝.

일단식일표음【一簞食一瓢飮】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안회(顔回)를 공자(孔子)가 칭찬하면서 표현한 말이다. 《論語 雍也》

일당백【一當百】하나가 백을 당해냄(대적함). 아주 용감함을 형용하는 말.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